블룸버그 이코노믹스 “미·인도 포괄적 무역협정 체결 시 향후 10년 내 대(對)미 상품 수출 두 배 가능”

■ 핵심 내용
블룸버그 이코노믹스는 미국과 인도 간 포괄적 무역협정이 체결될 경우 인도의 대미(對美) 상품 수출이 10년 안에 거의 두 배로 확대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동시에 인도 국내총생산(GDP)도 0.6%포인트 상승해 제조업과 수출 주도형 성장을 가속화할 것으로 내다봤다.

2025년 7월 4일, 인베스팅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양국 협상단은 트럼프 대통령이 부과한 ‘상호주의(Reciprocal) 관세’ 유예 조치가 7월 9일 만료되기 전에 타결을 목표로 집중 교섭을 벌이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4월 초 백악관 ‘해방의 날(Liberation Day)’ 행사에서 인도산 수입품에 26%의 고율 관세를 예고했으나, 협상 시간을 벌기 위해 임시로 10%로 낮춘 상태다.


■ 협상 난항… 최대 걸림돌은 농업·축산 분야
그러나 로이터통신은 협상 사정에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해 “미국산 유전자변형(GMO) 옥수수·대두·밀·쌀에 대한 인도의 수입 관세 인하 문제를 두고 이견이 좁혀지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인도 측은 자국 농가 보호를 이유로 ‘낮출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 교착 국면이 이어지고 있다.

■ 관세 시나리오별 경제 효과블룸버그 이코노믹스 추정

협정 체결 시 인도의 상품 수출은 97% 증가하고, 서비스까지 포함한 전체 수출은 64% 확대될 것이다. 특히 섬유·가구·완구 등 경공업 분야가 수혜를 볼 전망이다.”

반면, 합의 불발로 26% 관세가 현실화될 경우 인도는 대미 수출의 33% 이상을 잃고, GDP는 0.7% 하락할 수 있다는 경고도 제시됐다.

■ ‘상호주의 관세’란?
‘Reciprocal Tariff’는 상대국의 평균 관세율과 동일한 수준의 관세를 부과해 무역 불균형을 해소하겠다는 방식을 뜻한다. 트럼프 행정부는 이를 활용해 협상력을 높여왔으며, 이번 인도 사례 역시 그 연장선상에 있다.

■ 백악관의 다각적 압박 전략
백악관은 인도 외에도 중국·영국·베트남과 순차적으로 한정적(Framework) 합의를 체결하며 ‘관세 시한’ 압박을 병행하고 있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는 “중국·베트남이 더 높은 미국 관세를 부담하게 될 가능성이 커지면서, 글로벌 기업들이 공급망 다변화 차원에서 인도를 선택할 유인이 강화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 유전자변형 작물 논란
인도는 GMO 곡물에 대해 엄격한 규제를 유지하고 있다. 현지 농민단체는 “GMO로 인해 토종 종자 다양성이 훼손될 수 있고, 장기적 식량주권이 위협받는다”는 논리를 내세운다. 이에 대해 미국 농업계는 “과학적 근거 없는 보호주의”라고 반박하며 관세 인하를 요구하고 있다.

■ 전문가 시각
뉴델리 소재 싱크탱크 ‘인도경제연구소(IEI)’ 관계자는 “미국 시장은 인도 제조업이 고부가가치 체제로 전환할 ‘테스트베드’가 될 수 있다”며 “무역협정에 성공적으로 안착한다면 중·장기적으로 인도가 글로벌 가치사슬(GVC) 중심축으로 부상할 가능성이 크다”고 평가했다.

■ 향후 일정 및 전망
현재로서는 7월 9일 유예 만료 전 ‘원 포인트’ 합의 가능성이 가장 높다는 관측과, 난항 속 협상이 장기화될 수 있다는 엇갈린 전망이 공존한다. 그러나 양국 모두 대규모 관세 충돌에 따른 정치·경제적 비용을 부담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타협의 여지’가 남아 있다는 게 중론이다.


※ 용어 설명
1 Framework Deal: 세부 조항은 추후 조율하기로 하고, 시장 접근·관세율 등 큰 틀의 방향만 합의하는 계약 형태.
2 GVC(Global Value Chain): 원자재·부품·완제품 생산이 국경을 넘어 분업화돼 있는 글로벌 공급망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