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아라비카 커피 선물(KCZ25)은 화요일 +7.95센트(+1.92%) 급등해 마감했으며, 1월 ICE 로부스타 커피(RMF26)는 -5달러(-0.11%) 하락했다다.
2025년 11월 11일, 바차트(Barchart)의 보도에 따르면 커피 선물시장은 혼조세로 마감했다다. 아라비카 커피는 2.5주래 최고가를 기록하며 상승세를 이어갔고, 반면 로부스타 커피는 약보합을 보였다다. 특히 브라질 헤알화(^USDBRL)의 강세가 두드러져 수출업자들의 매도 유인을 약화시키며 아라비카 가격을 지지한 것으로 분석된다다. 헤알화는 화요일 17개월래 최고 수준으로 올라섰다다.
“브라질 헤알 강세는 현지 생산자들의 달러화 기준 수익을 낮추지 않기 위해 수출 시점 조절을 유도하며, 이는 단기적으로 국제 아라비카 선물가격을 지지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로부스타 커피는 하방 압력을 받았다다. 지난 목요일 베트남에 상륙한 태풍 칼매기(Kalmaegi)와 관련해 초기 평가 결과, 베트남 주요 커피 산지에 유의미한 피해가 없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공급 우려가 다소 완화됐다다.
한편, 전일에 이어진 타이트한 글로벌 공급 신호도 가격을 받쳐줬다다. 국제커피기구(ICO)는 현재 마케팅 연도(10월~이듬해 9월) 기준 전 세계 커피 수출이 전년 대비 -0.3% 감소한 1억3,865만8천 포대를 기록했다고 보고했다다.
ICE 인증 재고의 축소 역시 상승 요인으로 평가된다다. 특히 미국의 브라질산 수입품에 대한 50% 관세 부과가 ICE 커피 재고의 급격한 감소로 이어졌다는 분석이 제시됐다다. ICE 모니터링 아라비카 재고는 화요일 1.75년래 최저인 406,129포대로 줄었고, ICE 로부스타 재고는 월요일 3.75개월래 최저 수준인 5,873 로트(lots)를 기록했다다. 미국 바이어들은 브라질산 수입에 대한 50% 관세 때문에 신규 계약을 취소하고 있으며, 이는 미국 내 공급 타이트닝을 심화시키고 있다다. 참고로 미국이 수입하는 생두의 약 3분의 1은 브라질에서 공급된다다.
반면, 브라질의 충분한 강우는 가뭄 우려를 완화해 가격에 하방 요인으로 작용했다다. 기상정보업체 소마르 메테오롤로지아(Somar Meteorologia)에 따르면, 브라질 최대 아라비카 산지인 미나스 제라이스주는 11월 7일로 끝난 한 주 동안 강수량 72.1mm를 기록해 역사적 평균의 160%에 달했다다.
한편 미국 해양대기청(NOAA)은 9월 16일 남반구에서 10월~12월 기간 라니냐 발생 확률을 71%로 상향했다다. 이는 브라질에 과도한 건조를 가져올 수 있으며, 2026/27 시즌 커피 작황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경고로 해석된다다. 브라질은 전 세계 아라비카 커피 최대 생산국이다다.
베트남발 공급 증가는 가격에 약세 요인으로 평가된다다. 베트남 통계청은 지난 목요일 2025년 1~10월 커피 수출이 전년 대비 +13.4% 증가한 131만 톤(1.31 MMT)이라고 밝혔다다. 또한 2025/26 시즌 베트남 커피 생산은 전년 대비 +6% 늘어난 176만 톤(1.76 MMT), 즉 2,940만 포대로 4년래 최고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다다. 베트남커피코코아협회(Vicofa)도 10월 24일, 기상 여건이 우호적일 경우 2025/26 시즌 생산량이 전년도 대비 10% 증가할 것이라고 밝혔다다. 베트남은 전 세계 로부스타 커피 최대 생산국이다다.
코나브(Conab)는 9월 4일 브라질 2025년 아라비카 생산 추정치를 5월 전망치 3,700만 포대에서 -4.9% 낮춘 3,520만 포대로 하향 조정했다다. 아울러 브라질 2025년 전체 커피 생산 전망도 5월의 5,570만 포대에서 -0.9% 하향한 5,520만 포대로 제시했다다.
미국 농무부(USDA) 해외농업국(FAS)은 6월 25일 보고서에서 2025/26 글로벌 커피 생산이 전년 대비 +2.5% 증가한 1억7,868만 포대로 사상 최고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다. 이 가운데 아라비카 생산은 -1.7% 감소한 9,702만2천 포대로 예상된 반면, 로부스타 생산은 +7.9% 증가한 8,165만8천 포대로 내다봤다다. 브라질 2025/26 생산은 +0.5% 증가한 6,500만 포대, 베트남 2025/26 생산은 +6.9% 늘어난 3,100만 포대로 전망됐다다. 2025/26 기말재고는 +4.9% 늘어난 2,281만9천 포대로, 2024/25의 2,175만2천 포대 대비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다.
공시 및 고지에 따르면, 기사 게재일 현재 리치 애스플런드(Rich Asplund)는 본문에서 언급된 증권에 대해 직·간접적인 포지션을 보유하지 않았다다. 본 기사에 포함된 모든 정보와 데이터는 정보 제공 목적이며, 관련 바차트 공개정책(Disclosure Policy)을 참조하도록 안내했다다.
바차트 더 많은 뉴스
– What Did We Learn About Markets at Tuesday’s Close?
– How Low Can World Sugar Prices Fall?
– Dear Grain and Cotton Traders, Mark Your Calendars for November 14
– Another Similarity Between Soybeans and Cattle Is…
용어·배경 설명
– 아라비카 vs 로부스타: 아라비카는 고지대 재배, 향미가 섬세하고 가격 변동성이 크다. 로부스타는 평지·열대기후에서 잘 자라며 수확량이 많고 카페인이 높아 가격이 상대적으로 낮다다.
– 선물 코드: KCZ25는 ICE 아라비카 커피 선물 2025년 12월물, RMF26은 ICE 로부스타 2026년 1월물을 뜻한다다.
– ICE 인증 재고: 선물 인도에 사용할 수 있도록 거래소가 검증한 재고로, 단기 실물 타이트/완화의 신호로 쓰인다다.
– 포대(백)와 로트(lot): 커피 국제거래 표준단위로 보통 60kg 포대를 기준으로 하며, 선물시장에선 로트는 정해진 수량을 의미한다다.
– MMT(million metric tons): 백만 톤 단위다다.
– 헤알 환율: 현지 통화가 강세일수록 생산자들은 수출을 늦추거나 가격 상향을 시도하는 경향이 있어, 국제 가격에는 상승 요인으로 작용한다다.
– 라니냐: 적도 태평양 동부 냉수 발달 현상으로, 남미(특히 브라질)엔 상대적 건조를 유발할 수 있어 커피 생육·수확에 변수로 작용한다다.
– ICO·Conab·USDA FAS: 각각 국제커피기구, 브라질 정부 산하 농업통계·작황기관, 미국 농무부 해외농업국으로, 글로벌 수급과 전망의 핵심 레퍼런스를 제공한다다.
해설과 전망
1) 환율-수출 연계: 브라질 헤알 강세는 생산자들의 현지통화 기준 수익 방어를 위해 선적 지연·판매 축소를 유발할 수 있다. 이는 ICE 인증 재고의 추가 축소와 뉴욕 아라비카 선물의 백워데이션 심화로 이어질 수 있다다.
2) 관세 리스크: 미국의 브라질산 수입에 대한 50% 관세는 거래 재배치(리라우팅)와 스프레드 왜곡을 촉발한다. 단기적으로는 미국 내 공급 타이트와 프리미엄 확대를 낳고, 중기적으로는 대체 원산지 확대와 물류비 증가가 혼재할 수 있다다.
3) 기상 변수: 미나스 제라이스의 충분한 강우는 꽃눈 형성과 생육 개선에 우호적이지만, NOAA의 라니냐 경고(발생 확률 71%)는 2026/27 시즌에 대한 중기적 작황 리스크를 상기시킨다다. 단기 호우 vs 중기 건조라는 상반된 신호는 변동성 확대 요인이다다.
4) 베트남 공급: 베트남의 수출·생산 증가는 로부스타 중심의 공급 완화를 뚜렷하게 지지한다. 이는 아라비카-로부스타 스프레드에 하방 압력을 가할 수 있으며, 블렌딩 비중 조정을 통해 로부스타 수요가 상대적으로 강화될 여지를 만든다다.
5) 체크 포인트: 브라질 헤알의 추세, ICE 인증 재고의 저점 갱신 여부, 베트남 수확·선적 속도, 그리고 관세 정책의 지속성이 향후 커피 가격 방향성의 핵심 변수다다. 단기적으로 아라비카는 환율·재고 이슈에 민감한 상방 탄력을, 로부스타는 베트남발 물량에 따른 완만한 조정 가능성을 시사한다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