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설탕 선물 가격이 혼조세로 마감했다. 3월 만기 뉴욕 원당 #11(SBH26)은 +0.05센트(+0.35%) 상승 마감한 반면, 12월 만기 런던 ICE 백설탕 #5(SWZ25)은 -0.30달러(-0.07%) 하락했다. 뉴욕 가격은 브라질 통화 강세의 지지로 반등했고, 런던 가격은 약보합권에서 마감했다.
2025년 11월 11일, 바차트(Barchart)의 보도에 따르면, 브라질 헤알화(^USDBRL)이 달러 대비 17개월래 최고치로 강세를 보이면서 브라질 설탕 업체들의 수출 유인이 약화되었고, 이로 인해 뉴욕 원당 선물에서 공매도 환매(쇼트 커버링)가 촉발됐다. 강세 통화는 현지 생산자의 달러 표시 수익성을 낮춰 단기적으로 수출 물량을 지연시키는 경향이 있다.
브라질 헤알 강세는 “수출 의지 약화 → 선물시장의 매도 포지션 청산”으로 이어지며, 뉴욕 원당 #11 가격의 저가 방어에 기여했다.
공급 과잉 전망의 압박은 지난 한 달 동안 설탕 가격을 짓눌렀다. 전일(월요일) 런던 백설탕은 근월물 기준 4.75년래 신저가를 새로 썼고, 지난주 목요일에는 뉴욕 원당이 근월물 기준 5년래 신저가까지 밀렸다. 배경에는 브라질의 높은 생산과 글로벌 설탕 공급 과잉 전망이 있다. 설탕 트레이더 Czarnikow는 지난 수요일, 2025/26 글로벌 설탕 잉여 전망치를 7.5백만톤(MMT) → 8.7 MMT로 +1.2 MMT 상향했다.
브라질 기록적 생산 전망도 가격에 하방 압력을 더한다. 브라질 농업공급청 코나브(Conab)는 지난주 화요일 2025/26 설탕 생산 전망을 44.5 MMT → 45 MMT로 높였다. 업계 단체 유니카(Unica)에 따르면, 10월 상반기 브라질 센터-사우스(Center-South) 지역 설탕 생산은 전년 대비 +1.3% 증가한 2.484 MT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사탕수수의 설탕 배분 비율도 47.33% → 48.24%로 상승했다. 누적 기준으로는 2025/26년도 10월 중순까지 센터-사우스 설탕 생산이 36.016 MMT로 전년 대비 +0.9% 증가했다. 한편, 다타그로(Datagro)는 10월 21일 2026/27 센터-사우스 설탕 생산이 전년 대비 +3.9% 증가한 사상 최대 44 MMT에 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인도 공급 변수도 가격 약세 요인이다. 세계 2위 생산국인 인도에서 인도설탕제조협회(ISMA)는 화요일 2025/26 설탕 생산 전망을 30 MMT → 31 MMT로 상향했고, 이는 전년 대비 +18.8% 증가에 해당한다. 아울러 인도의 에탄올용 설탕 전환 예상 물량은 7월 전망치 5 MMT → 3.4 MMT로 하향되어, 인도의 설탕 수출 가능성을 키우는 변수로 해석된다.
인도 수출 확대 가능성은 가격에 부정적이다. 인도 기상청(IMD)은 9월 30일 기준 누적 몬순 강수량이 937.2mm로 정상 대비 +8%, 최근 5년래 가장 강한 몬순이었다고 발표했다. 인도 국립협동조합설탕연맹(NFCSF)은 6월 2일 2025/26 설탕 생산이 전년 대비 +19% 증가한 34.9 MMT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ISMA가 집계한 2024/25 생산 -17.5% (26.1 MMT)라는 5년래 최저에서 반등하는 흐름이다.
추가적인 약세 요인으로, 설탕 트레이더 수크덴(Sucden)은 인도가 2025/26 시즌에 에탄올용 전환을 4 MMT 수준에 그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 경우 국내 잉여 완화에 충분치 않아 인도 설탕 공장들이 최대 4 MMT까지 수출할 수 있으며, 이는 기존 2 MMT 기대치를 웃도는 물량이라는 분석이다.
태국의 회복세도 주목된다. 태국설탕제조업협회는 10월 1일 2025/26 설탕 생산이 전년 대비 +5% 증가한 10.5 MMT가 될 것으로 예상했다. 태국 사탕수수·설탕위원회(OCSB)는 5월 2일 2024/25 생산이 전년 대비 +14% 증가한 10.00 MMT였다고 보고했다. 태국은 세계 3위 생산국이자 2위 수출국이다.
국제 기구·정부 기관 전망치는 엇갈린 신호를 보낸다. 국제설탕기구(ISO)는 8월 29일 2025/26 시즌 글로벌 설탕 수급이 -231,000톤의 소폭 적자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2024/25 시즌 -4.88 MMT 적자에서 적자폭이 크게 축소되는 그림이다. ISO는 2025/26 글로벌 생산을 +3.3% 증가한 180.6 MMT, 소비를 +0.3% 증가한 180.8 MMT로 추정했다.
반면, 미국 농무부(USDA)가 5월 22일 발표한 반기 보고서에서는 2025/26 글로벌 설탕 생산이 전년 대비 +4.7% 증가한 사상 최대 189.318 MMT에 이를 것으로 제시됐다. 인류 소비는 +1.4% 증가한 177.921 MMT로, 기말 재고는 +7.5% 늘어난 41.188 MMT가 예상됐다. USDA 산하 해외농업국(FAS)은 브라질의 2025/26 생산이 +2.3% 증가해 사상 최대 44.7 MMT에 달하고, 인도는 +25% 증가한 35.3 MMT로 확대되며, 태국은 +2% 증가한 10.3 MMT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용어·시장 구조 설명
원당 #11(Sugar #11)은 뉴욕 ICE에서 거래되는 원당(원료당) 국제 벤치마크 선물로, 주로 브라질 등에서 생산한 원당의 글로벌 가격 지표다. 백설탕 #5(White Sugar #5)는 런던 ICE에서 거래되는 정제 설탕 선물이다. 두 시장은 상호 연동되지만 원당과 백설탕 간 가공 마진, 물류, 지역 수급에 따라 가격 괴리가 발생한다.
근월물(nearest-futures) 신저가란 가장 가까운 만기 계약 기준의 최저치를 뜻한다. 현물과 가장 밀접하게 연동되는 구간이어서, 근월물의 신저가 갱신은 단기 수급 심리를 민감하게 반영한다. 센터-사우스(Center-South)는 브라질 사탕수수 벨트의 핵심 생산지로, 브라질 설탕 생산 동향을 대표한다. 에탄올용 전환은 사탕수수를 설탕 대신 에탄올 생산에 배분하는 비중을 의미하며, 배분이 줄면 설탕 공급이 늘어 가격에 하방 요인으로 작용하기 쉽다.
환율과 가격의 상호작용도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현지 통화 강세는 달러 표시 수출 가격의 매력을 낮춰 생산자의 즉각적 물량 출하를 둔화시킨다. 이때 선물시장에서는 매도 포지션을 보유한 참여자들이 쇼트 커버링에 나서며 가격이 반등하는 국면이 나타날 수 있다. 다만 통화 요인의 영향은 일시적일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실물 공급과 재고가 방향성을 좌우한다.
수급 전망의 ‘엇갈린 숫자’ 해석에서 주의할 점이 있다. 기사 속 ISO와 USDA 수치는 절대 수준과 기간 설정, 집계 범위, 회계연도 정의 등이 다를 수 있어 단순 비교가 어렵다. 시장은 이런 차이를 감안해 방향성(잉여/적자)과 변화폭에 초점을 맞춘다. 예컨대 ISO는 소폭 적자를, USDA는 생산·재고 확대를 강조한다. 투자·헤지 관점에서는 동일 시즌이라도 기관별 가정치(작황, 강우, 수확·분배 비율, 정책)와 시간차를 확인해야 한다.
전문적 통찰: 현재 브라질·인도·태국의 생산 증대 신호가 결합하며 중기 공급 우위 서사가 강화되고 있다. 단기적으로는 브라질 헤알 강세 같은 거시 변수가 가격을 지지할 수 있으나, 재고 누적이 가시화되면 반등 탄력은 제한될 수 있다. 인도의 에탄올 전환 축소와 수출 확대 가능성은 아시아발 공급 압력을 키우는 요인이다. 반면, 기상 변동성(우박·가뭄·과도한 강우)이나 정책 변화(수출 제한, 보조금, 혼합 의무 변경)가 돌발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거래·조달 전략에서는 기관 전망치의 업데이트 타이밍, 환율 추세, 사탕수수의 설탕/에탄올 배분 변화를 핵심 체크포인트로 삼는 것이 합리적이다.
참고 이미지
바차트 추가 기사:
What Did We Learn About Markets at Tuesday’s Close? (https://www.barchart.com/story/news/36055241/what-did-we-learn-about-markets-at-tuesday-s-close),
How Low Can World Sugar Prices Fall? (https://www.barchart.com/story/news/36054335/how-low-can-world-sugar-prices-fall),
Dear Grain and Cotton Traders, Mark Your Calendars for November 14 (https://www.barchart.com/story/news/36030715/dear-grain-and-cotton-traders-mark-your-calendars-for-november-14),
Another Similarity Between Soybeans and Cattle Is… (https://www.barchart.com/story/news/35950965/another-similarity-between-soybeans-and-cattle-is)
면책: 본 기사 작성일 기준, 리치 애스플런드(Rich Asplund)는 본문에 언급된 어떤 증권에도 직접적·간접적 포지션을 보유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본 기사의 모든 정보와 데이터는 정보 제공 목적이다. 바차트 공개 정책(https://www.barchart.com/terms#disclosure)을 참조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