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질, 해외 빅테크 유치를 위한 ‘레데이터’ 데이터센터 세제 인센티브 9월 초 발표 예정

마르셀라 아이어스·베르나르도 카람 | 브라질리아

브라질 정부가 9월 초 해외 빅테크 기업의 데이터센터 투자를 유치하기 위한 대규모 세제 감면 프로그램 ‘레데이터(REDATA)’를 공식 발표할 예정이다. 로이터통신이 2025년 8월 29일(현지 시각) 두 명의 경제 정책 담당 고위 관계자 발언을 인용해 보도했다.

해당 관계자들은 익명을 조건으로 “레데이터는 연방 차원의 수입세(Import Duty)와 PIS·Cofins·IPI 등 브라질의 대표적 연방 조세를 전면 면제해 자본 비용을 대폭 낮추는 방안”이라며 “100% 재생에너지 사용 등 일정 기준을 충족하는 데이터센터 투자에 한해 혜택을 제공한다”고 설명했다.

주목

미·브라질 통상 긴장 완화 ‘신호탄’

관계자들은 “해당 프로그램은 미국을 포함한 해외 빅테크와의 관심사 정렬 및 우호 분위기 조성을 목표로 한다”고 밝혔다. 미국은 브라질산 수입품에 50%의 상계관세를 부과했으며,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이 조치가 전 대통령 자이르 보우소나루의 재판 및 미국 내 소셜미디어 ‘검열’ 논란과 직접 연계돼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레데이터는 미국 기업의 이익에도 부합한다. 몇몇 미 주(州)는 전력 수급 문제로 데이터센터 투자를 제한 중이지만, 브라질은 잉여 전력이 풍부하다. 우리는 이를 협상 카드로 활용해 통상 대화를 투자 중심으로 전환하려 한다.”


정책 추진 과정과 정치적 변수

애초 대통령령 형태로 올해 상반기 발표가 예정됐던 레데이터는, 정부가 금융거래세를 인상하면서 국내 정치적 반발이 거세지자 잠정 보류됐다. 한편 정부는 미국과의 갈등 확대를 우려해 디지털세 도입 계획도 전격 취소했다.

브라질 정부는 지난 7월 수출가공구역(ZPE) 제도를 개정, 데이터센터를 포함한 첨단 산업의 입주를 허용하며 레데이터의 사전 포석을 깔았다. 개정안은 신규 건설되는 재생에너지 발전소에서만 전력을 공급받아야 한다는 조항을 포함하고 있으며, 의회 승인을 거쳐야 최종 확정된다.


투자 확대 기대와 구체적 사업

재생에너지가 풍부하고 전력 단가가 상대적으로 낮은 브라질은 남미 데이터 허브로 부상할 잠재력을 지닌다. 시장 참가자들은 “레데이터가 정식 발효되면 막대한 외국인직접투자(FDI) 유입이 가시화될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다.

주목

특히 북동부 세아라주 페셍항 복합단지(Pecém Port Complex)에는 바이트댄스(ByteDance·틱톡 모회사)와 브라질 신재생에너지 기업 Casa dos Ventos가 합작한 초대형 데이터센터 프로젝트가 추진 중이다. 업계는 “레데이터가 시행되면 사업 타당성이 대폭 개선되고, 추가 글로벌 플레이어들도 투자에 뛰어들 것”이라고 전망한다.


용어 설명 및 배경

PISCofins는 브라질 연방정부가 부과하는 사회보장 기금 성격의 간접세다. IPI는 국산·수입산 공산품에 매겨지는 소비세다. 이들 세목은 국내 총세수에서 상당 비중을 차지해, 전면 면제 시 투자 비용 감소 효과가 크다.

또한 수출가공구역(ZPE)은 관세·세금·행정 규제가 완화된 특별경제구역으로, 제조·가공·물류기업 유치를 목표로 한다. 이번 개정으로 데이터센터도 입주 대상이 되면서, 친환경 및 디지털 전환 투자의 ‘실험장’ 역할을 하게 됐다.


전망

관계자들에 따르면 레데이터 프로그램은 대통령령(Executive Order) 형태로 발표된 뒤 120일 이내에 의회 승인을 받아야 한다. 현지 경제 분석가들은 “친환경 전력 인프라 확충, 통상 관계 완화, 디지털 경제 활성화라는 세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는 정책”이라며 기대감을 나타냈다.

다만 미국의 대(對)브라질 무역 정책이나 브라질 내부 정치 리스크가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는 지적도 존재한다. 에너지 전문가들은 “신규 재생에너지 발전소 건설 속도가 정책 효과를 결정짓는 핵심”이라고 입을 모았다.

브라질 정부가 계획대로 9월 초 레데이터를 시행하면, 남미 최대 경제국인 브라질은 풍부한 재생에너지와 세제 혜택을 무기로 글로벌 데이터센터 경쟁에 본격 가세하게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