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 선물 시세 동향] 9월물 아라비카 커피 선물(KCU25)은 5일(현지시간) 뉴욕 ICE 선물거래소에서 파운드당 10.15센트(+3.52%) 상승한 반면, 런던 ICE의 9월물 로부스타 커피(RMU25)는 톤당 9달러(-0.26%) 하락하며 혼조 마감했다.
2025년 8월 6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아라비카 가격은 브라질 중남부의 강수량 부족이 재차 부각되면서 이틀 연속 급등했다. 브라질 기상 분석기관 소마르 메테오롤로지아는 8월 2일까지 일주일 동안 최대 산지인 미나스제라이스주의 강수량이 평년 대비 31% 수준(2.7㎜)에 그쳤다고 밝혔다. 반대로, 세계 최대 로부스타 생산국인 베트남에는 주중 광범위한 비 예보가 나와 로부스타 가격에는 압박으로 작용했다.
ICE 재고 동향도 아라비카 강세를 뒷받침했다. ICE가 모니터링하는 아라비카 재고는 5일 14.5개월 만의 최저치인 754,516포대로 감소했다. 반면 로부스타 재고는 7,029계약으로 1년래 최고 수준을 기록해 약세 요인으로 지목됐다.
“펀드(헤지펀드·자산운용사 등)의 로부스타 순매도 규모가 5,854계약으로 2년 만의 최대치다. 향후 쇼트커버(환매수)가 발생할 경우 가격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 — ICE 선물유럽 통계
무역·수급 변수도 가격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지난주 아라비카 가격은 ‘미국이 브라질산 커피를 관세 대상에서 제외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자 3주 만의 저점을 기록했다. 브라질 커피수출협회(세카페)와 미국 전미커피협회(NCA)는 미 상무부와 관세 면제 협의를 진행 중이며, 루트닉 미 상무장관은 “국내에서 생산되지 않는 품목은 관세 면제가 가능하다”고 밝혔다.
한편, 브라질 최대 커피 협동조합인 쿠크수페(Cooxupé)는 8월 1일 기준 조합원들의 2025/26 수확률이 74%에 이르렀다고 발표했다. 시장조사기관 사프라스 & 메르카도는 7월 30일 브라질 전체 커피 수확률을 90%로 추정했으며, 세부적으로 로부스타 98%, 아라비카 85%가 끝난 것으로 집계했다.
중장기 공급 전망 역시 가격 조정을 부르고 있다. 미 농무부(USDA) 해외농업국(FAS)은 6월 25일 발표한 반기 보고서에서 2025/26 글로벌 생산량이 1억7,868만 포대(+2.5% YoY)로 사상 최고치를 경신할 것으로 내다봤다. 그러나 품목별로는 아라비카가 –1.7% 감소(9,702만 포대), 로부스타가 +7.9% 증가(8,166만 포대)할 것으로 전망했다. 같은 보고서에서 기말 재고는 2,281만 포대로 4.9%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다.
글로벌 커피 트레이더 볼카페(Volcafe)는 2025/26 시즌 아라비카 공급 부족 규모가 850만 포대로 전년(550만 포대) 대비 확대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는 5년 연속 공급 적자가 이어질 가능성을 시사한다.
수출 흐름도 변수다. 세카페에 따르면 브라질의 6월 생두 수출은 230만 포대로 전년 동월 대비 31% 감소했다. 아라비카 수출(-27%, 180만 포대)과 로부스타 수출(-42%, 47만6,334포대) 모두 크게 줄었다.
세계 최대 로부스타 산지인 베트남은 2023/24 작황이 가뭄으로 전년 대비 20% 감소(147만2,000t)해 최근 4년 사이 최저를 기록했다. 베트남 통계청은 2024년 수출 물량이 135만t(−17.1%)로 줄었다고 발표했으며, 베트남커피카카오협회는 3월 12일 2024/25 생산 전망을 2,650만 포대로 하향 조정했다. 다만 올해 1~6월 수출은 94만3,000t으로 4.1% 늘어난 것으로 집계돼 향후 생산 회복 여부가 주목된다.
전문가 해석 및 전망
아라비카 가격은 재고 감소와 브라질 기상 리스크가 중첩되며 단기적으로 상승 모멘텀이 우세하다. 특히 브라질 동남부의 건조한 겨울 날씨가 꽃눈 형성 시점까지 계속될 경우, 2026/27 시즌 생육에까지 부담을 줄 수 있어 시장은 9월 옵션 만기(8월 말) 전후로 변동성 확대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
반면 로부스타는 기대강수와 재고 증가, 그리고 펀드의 과도한 숏 포지션이 혼재돼 움직임이 엇갈리고 있다. 펀드 매도가 정점에 달했다는 신호가 확인되면 저점 매수세가 유입될 소지가 있다. 따라서 원·로부스타 스프레드 트레이딩 전략이 유효할 가능성이 크다.
결론적으로, 단기 시장은 브라질 강우·베트남 수확·펀드 수급이라는 세 축의 변수를 중심으로 ‘불안정한 균형’ 국면이 이어질 전망이다. 투자자는 재고 변동과 무역 정책 발표 시점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며 포지션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 본 기사는 시장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것이며, 투자 권유가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