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O PAULO — Banco do Brasil SA(이하 Banco do Brasil)는 2025년 2분기 실적 발표에서 조정 순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60% 감소한 38억 레알(약 7억0240만 달러)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시장조사 기관 LSEG가 집계한 애널리스트 전망치 50억 레알을 크게 밑돌았다.
2025년 8월 14일, 로이터통신 보도에 따르면 이번 실적 부진은 농업금융(아그리비즈니스) 대출 포트폴리오의 연체율 급등과 최근 규제 변경의 이중 악재가 맞물린 결과로 분석된다. 지난 1분기에도 동일한 요인이 영향을 미치며 Banco do Brasil 주가는 당시 발표 직후 30% 이상 급락한 바 있다.
은행은 이날 연간 조정 순이익 가이던스를 기존 370억~410억 레알에서 210억~250억 레알로 대폭 하향 조정했다. 새로 제시된 중간값 230억 레알조차 LSEG 조사 컨센서스인 268억 레알에 못 미친다. 더불어 2025년 주주 환원 정책도 손질해, 배당성향을 종전 40~45%에서 30%로 줄이겠다고 공시했다.
주요 숫자 및 일정*
• 2분기 조정 순이익: 38억 레알 (전년 대비 -60%)
• 시장 기대치(LSEG): 50억 레알
• 2025년 연간 순이익 가이던스: 210억~250억 레알
• 초기(연초) 가이던스: 370억~410억 레알
• 새 배당성향: 30% (기존 40~45%)
• 환율: 1달러 = 5.4101 레알
*모든 수치는 Banco do Brasil 공식 보도자료 및 증권신고서, 그리고 LSEG(구 리피니티브) 컨센서스를 기반으로 한다.
배경 설명: ‘농업금융(아그리비즈니스) 포트폴리오’란?
아그리비즈니스(agribusiness)는 농업·축산업·식품 가공 등 1차 산업 전반을 포괄하는 용어다. 브라질은 세계 최대 커피·대두 수출국 가운데 하나로, 은행권 대출에서 이 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크다. 특히 정부 주도 농업보조금 제도와 연계된 정책금리 대출이 많아, 기후 요인이나 국제 곡물가 변동에 따라 연체율이 급격히 오르는 위험이 내재돼 있다.
시장 반응 및 파급 효과
1분기 실적 발표 후 Banco do Brasil 주가는 30% 이상 폭락했으며, 이번 부진한 2분기 결과로 하락세가 장기화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배당 축소 역시 연기금·소액주주 모두에게 부정적이다. 기관투자자들은 은행의 자본비율 방어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이익 질이 개선되지 않는다면 할인 평가가 장기화될 수 있다”는 신중론을 유지했다.
브라질 정부는 Banco do Brasil의 최대주주로 50% 이상의 지분을 직접·간접 보유하고 있다. 따라서 배당 축소 결정은 재정수입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브라질 재무부는 아직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았으나, 일부 현지 언론은 공기업 배당 의존도가 높은 연방정부 예산에 부담이 커질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전문가 분석(오피니언)
단기적으로 주가 조정 가능성 — 연체율 악화와 규제 변화라는 구조적 요인이 여전히 해소되지 않아, 투자 심리는 당분간 위축될 것으로 보인다. 금융권 규제 완화 또는 농업부문 신용지원책 확대 등이 뚜렷이 나타나기 전까지는 밸류에이션 리레이팅이 어렵다는 관측이다.
중장기적 과제: 디지털 전환 — Banco do Brasil은 경쟁 은행 대비 디지털 채널 전환 속도가 늦다는 평가를 받는다. 중소형 핀테크의 공격적인 시장 잠식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수익성 회복을 위해서는 비대면 여신 심사 및 빅데이터 기반 리스크 관리 강화가 필수적이다.
정책 변수 — 브라질 중앙은행은 기준금리를 2025년까지 단계적으로 인하할 가능성을 시사했다. 금리 디스카운트가 진행될 경우 대출 마진이 축소될 수 있지만, 차주 상환 부담 경감으로 연체율이 개선될 여지도 있다. 시장에서는 “
농업 파생상품 헤지 확대, ESG 채권 발행 등으로 신규 수익원을 다각화해야 한다
”는 목소리도 나온다.
용어 정리
• 조정 순이익(Adjusted Net Profit): 일회성 비용과 수익을 제외해 핵심 영업이익성을 보여주는 지표다.
• 배당성향(Payout Ratio): 순이익 중 주주에게 배당으로 지급되는 비율.
• LSEG: 런던증권거래소그룹(London Stock Exchange Group) 산하 금융정보기업.
• 가이던스(Outlook): 기업이 제시하는 향후 예상 실적 범위.
위 용어들은 금융 기사에서 자주 등장하지만 일반 독자에게는 다소 생소할 수 있어 본문에 별도 설명을 덧붙였다.
© 2025 Investing Media.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