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물 아라비카 커피 선물(KCZ25) 가격이 -0.80센트(-0.21%) 내린 반면, 11월물 로부스타 커피 선물(RMX25) 가격은 +36달러(+0.80%) 상승하며 혼조세를 보였다.
2025년 9월 11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로부스타 가격은 1주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고 아라비카 가격은 이틀 전 4개월 고점에서 추가로 후퇴했다. 브라질 주요 산지의 가뭄 지속이 전반적인 상승 압력으로 작용했으나, 다음 주 미나스제라이스 지역에 강우가 집중될 것이라는 Climatempo 예보가 하락 전환을 이끌었다.
Somar Meteorologia는 9월 6일로 끝난 한 주 동안 브라질 최대 아라비카 산지인 미나스제라이스 주에 강수량이 전무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Climatempo는 “다음 주부터 강우가 본격화될 전망”이라고 전하며, 이는 개화기 전 수분 공급 부족 우려를 일부 완화했다.
재고 동향
국제커피거래소(ICE)가 모니터링하는 아라비카 재고는 수요일 679,548포대로 16개월 최저치를 기록했다. 같은 날 로부스타 재고 역시 6,563로트로 2주 만에 최저 수준을 나타내며 8월 28일 7주 최저치(6,552로트)에 근접했다.
브라질 작황 전망
브라질 국영 농업통계기관 코나브(Conab)는 9월 5일 2025년산 아라비카 생산 전망을 3,700만 포대에서 3,520만 포대(-4.9%)로 하향 조정했다. 전체 커피 생산 전망도 5,570만 포대에서 5,520만 포대(-0.9%)로 낮췄다.
수출 감소
국제커피기구(ICO)는 9월 4일 7월 세계 커피 수출이 전년 대비 -1.6% 줄어 1,160만 포대였다고 발표했다. 2024/25 회계연도(10월~7월) 누적 수출은 -0.3% 감소한 1억1,561만 포대에 그쳤다.
“미국 수입업체들이 브라질산 생두 신규 계약을 잇달아 취소하고 있다. 미국 정부가 브라질산 커피에 50% 관세를 부과하면서 국내 공급 부족이 우려된다.”
미국 전체 생두 수입의 약 3분의 1이 브라질산이라는 점에서, 관세 이슈는 미국 내 공급 타이트닝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수확 동향
브라질 최대 커피 협동조합 코옥수페(COOXUPÉ)는 9월 5일 기준 회원농가 2025/26 수확률이 97%에 도달했다고 밝혔다. 시장조사업체 사프라스&메르카두는 8월 20일 기준 브라질 전체 수확률이 99%라고 전했다. 세부적으로 로부스타 100%, 아라비카 98%가 완료됐다.
브라질 수출 감소
브라질 무역부는 8월 6일 7월 생두 수출이 전년 대비 -20.4% 감소한 16만1,000톤이라고 발표했다. 민간 수출업체 연합 Cecafe에 따르면 7월 그린커피 수출은 -28% 줄어 240만 포대에 그쳤으며, 이 가운데 아라비카는 -21%, 로부스타는 -49% 급감했다. 올해 1~7월 누적 수출은 -21% 감소한 2,220만 포대로 집계됐다.
베트남 상황
세계 2위 커피 생산국 베트남은 가뭄 여파로 2023/24 생산량이 전년 대비 -20% 감소한 147만2,000톤(4년 만에 최저)으로 추정된다. 베트남 통계청은 2024년 커피 수출이 -17.1% 감소해 135만 톤이었다고 밝혔다. 반면 2025년 1~8월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7.8% 늘어난 114만1,000톤을 기록했다.
세계 공급 전망
미국 농무부 해외농업국(USDA FAS)은 6월 25일 보고서에서 2025/26 세계 커피 생산량이 전년 대비 +2.5% 증가한 기록적 수준인 1억7,868만 포대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아라비카는 -1.7% 줄어 9,702만2,000포대, 로부스타는 +7.9% 늘어 8,165만8,000포대로 예측됐다. 같은 기간 전 세계 재고는 +4.9% 증가해 2,281만9,000포대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
그러나 스위스 커피 무역사 Volcafe는 2025/26 아라비카 공급 부족을 -850만 포대로 추정, 2024/25 시즌(-550만 포대)보다 적자 폭이 확대될 것으로 예측했다. 이는 5년 연속 공급 부족에 해당한다.
용어 설명
아라비카(Arabica)는 고지대에서 재배돼 향이 뛰어나고 산미가 강한 품종이다. 로부스타(Robusta)는 저지대에서 자라 카페인 함량이 높고 쌉싸래한 맛이 특징이다. ICE(Intercontinental Exchange)는 세계 주요 원자재 선물거래소로, 커피 재고 통계를 제공한다. Conab은 브라질 농업·공급부 산하 기관으로, 국내 농산물 생산을 정기적으로 예측·발표한다.
전문가 시각
브라질의 강우 패턴이 개화기에 큰 영향을 미치는 만큼, 예보가 현실화되면 단기적인 가격 하락 압력이 불가피하다. 그러나 재고가 역사적 저점에 근접하고, 세계 최대 수출국 브라질과 2위 생산국 베트남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수출 감소가 이어지는 상황은 중장기적으로 커피 가격에 지지력을 제공할 것으로 전망된다.
본 기사에 언급된 정보는 투자 조언이 아니며, 시장 상황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