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 선물 가격이 하락 압력을 크게 받았다. 12월물 아라비카 커피 선물(KCZ25)은 -13.85센트(-3.35%) 급락했고, 1월물 ICE 로부스타 커피(RMF26)도 -152달러(-3.24%) 떨어졌다. 로부스타는 1주 만의 최저가를 기록했다. 시장 참가자들은 브라질의 예상 강우와 베트남의 공급 증가를 핵심 하락 요인으로 지목하고 있다.
2025년 11월 6일, 바차트(Barchart)의 보도에 따르면, 향후 일주일간 브라질 주요 재배지에 꾸준한 소나기가 예보되면서 그간의 건조 우려가 완화돼 아라비카 가격을 압박하고 있다. 같은 맥락에서, 베트남의 커피 수출이 늘고 2025/26년 생산 증가 전망이 강화되면서 로부스타에도 하방 압력이 커졌다.
베트남발 공급 신호가 뚜렷하다. 베트남 통계총국(National Statistics Office)은 2025년 1~10월 베트남 커피 수출이 전년 대비 13.4% 증가한 131만 톤(1.31 MMT)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또한 2025/26년도 커피 생산은 전년 대비 6% 증가한 176만 톤(1.76 MMT), 마대 기준으로는 2,940만 포대에 달할 전망으로, 이는 4년 만의 최고치다. 여기에 베트남커피카카오협회(Vicofa)는 10월 24일 “기상 여건이 우호적이라면 2025/26년 생산량이 전년 대비 10% 증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베트남은 세계 최대 로부스타 생산국이다.
“미국이 브라질산 커피에 부과한 50% 관세를 조만간 해제할 것이라는 추측도 아라비카 가격을 누르고 있다. 지난주 월요일, 브라질의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과의 회담이 ‘놀라울 정도로 좋았다’며, 며칠 내 미-브라질 통상 문제에 ‘최종 해결’이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기상 리스크는 여전히 가격의 바닥을 지지하는 요인이다. 소마르 메테오롤로지아(Somar Meteorologia)에 따르면, 브라질 최대 아라비카 생산지인 미나스제라이스는 10월 31일로 끝난 주 동안 강수량 33.4mm를 기록해 역사적 평균의 75%에 그쳤으며, 그 전 주에는 정상치의 1%에 불과했다. 또한 태풍 칼마기(Kalmaegi)가 목요일 또는 금요일 베트남 남부에 상륙할 것으로 예보돼, 베트남 커피 재배지의 로부스타 작물 피해 가능성이 제기됐다.
ICE 재고 축소도 가격 하방을 제한한다. 미국의 브라질산 커피 수입 관세 50% 부과로 ICE 인증 재고가 빠르게 줄었다. 수요일 기준 ICE 모니터드 아라비카 재고는 429,770포대로 1.75년 만의 최저를 기록했고, 오늘 ICE 로부스타 재고도 6,030계약으로 3.5개월래 최저를 찍었다. 관세 부담으로 미국 바이어들이 브라질산 신규 계약을 취소하면서 미국 내 공급이 빠듯해졌는데, 이는 미국의 생두 수입 중 약 3분의 1이 브라질에서 오기 때문이다. 이어지는 문장에서 adverse glo…로 문장이 중단되어 있으나, 맥락상 글로벌 악천후 관련 진술이 이어질 내용으로 해석된다.
한편, 미국해양대기청(NOAA)은 9월 16일 남반구의 라니냐 발현 확률을 10~12월 기준 71%로 상향했다. 이는 브라질에 과도한 건조를 유발해 2026/27년도 커피 작황을 훼손할 수 있는 요인으로 지목된다. 브라질은 세계 최대 아라비카 생산국이다.
수급 면에서는 수출 증가가 가격에 약세 요인으로 작용한다. 국제커피기구(ICO)는 10월 6일 현 행정연도(10월~다음 해 8월) 세계 커피 수출이 1억 2,792만 포대로 전년 대비 0.2%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는 공급이 비교적 원활함을 시사한다.
브라질 작황 전망은 엇갈린다. 브라질 농업공급회사 코나브(Conab)는 9월 4일 브라질 2025년 아라비카 생산 전망을 3,700만 포대에서 3,520만 포대로 -4.9% 하향했다. 같은 날 브라질 2025년 전체 커피 생산 전망도 5,570만 포대에서 5,520만 포대로 -0.9% 낮췄다.
장기 수급에서 미국 농무부(USDA) 해외농업국(FAS)은 6월 25일 세계 2025/26년 커피 생산이 전년 대비 2.5% 증가한 1억 7,868만 포대로 사상 최대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세부적으로 아라비카는 -1.7% 감소한 9,702만 2,000포대, 로부스타는 +7.9% 증가한 8,165만 8,000포대로 전망했다. 국가별로는 브라질 2025/26 생산 6,500만 포대(+0.5%), 베트남 2025/26 생산 3,100만 포대(+6.9%)로 예측했다. 기말재고는 2024/25년 2,175만 2,000포대에서 2025/26년 2,281만 9,000포대로 +4.9% 증가할 전망이다.
시장 맥락과 해석전문가 시각
현재 가격 하락은 단기적으로는 브라질 강우 재개와 베트남발 공급 확장이라는 현물 약세 요인이 주도하고 있다. 동시에 ICE 재고 축소와 라니냐 불확실성은 하방 경직성을 제공한다. 만약 미국의 브라질산 50% 관세가 실제로 해제된다면, 미국 내 조달 경로가 정상화되며 단기적으로는 미국 내 공급 타이트 현상이 완화되고, 프리미엄이 축소될 가능성이 있다. 반대로 관세가 유지된다면 재고 감소와 미국-브라질 계약 취소가 지속되어 ICE 인증재고의 추가 하락이 가격의 하단을 지지할 수 있다. 중기적으로는 NOAA가 시사한 라니냐의 강도와 지속 기간이 브라질 생육기 수분 스트레스에 미칠 영향이 관건이며, 이는 2026/27 작황 리스크로 재평가될 수 있다. 수요 측면에서 특별한 약화 신호가 본문에 제시되지는 않았으나, ICO의 수출 증가와 FAS의 생산·재고 증가 전망은 구조적으로 공급 우위의 그림을 뒷받침한다. 요약하면, 단기 약세/중기 변동성 확대 구간으로, 기상 변수와 정책(관세) 변수가 가격 경로를 좌우할 가능성이 크다.
용어 설명
• 아라비카(Arabica): 고지대 재배, 향과 산미가 강조되는 품종으로 스페셜티 시장 비중이 높다.
• 로부스타(Robusta): 저지대 및 열대지역 재배, 카페인 함량이 높고 인스턴트·블렌딩 수요가 크다. 베트남이 세계 최대 생산국이다.
• ICE 인증 재고: 국제거래소(ICE)가 검증·모니터링하는 선물 인도 적격 재고로, 선물-현물 가격 연계의 핵심 지표다.
• 라니냐: 적도 태평양 동부 수온 하강으로 전지구적 기상 패턴 변화(브라질 건조화 가능 등)를 유발하는 현상이다.
• 코나브(Conab): 브라질 정부 산하 농업 생산·수급 전망 기관이다.
• USDA FAS: 미국 농무부 해외농업국으로, 글로벌 농산물 수급 전망을 정기적으로 제시한다.
참고: “원유부터 커피까지, 바차트의 원자재 분석 뉴스레터를 무료 구독하라”는 프로모션 문구가 기사 중간에 포함되어 있다.
관련 동향 더 보기
• 또 하나의 콩과 가축의 유사성은 무엇인가?
• 커피는 끓고 있다. 여기서 가격은 얼마나 더 오를까?
• 중국의 콩·밀 매입 재개로 곡물 강세가 돌아왔다. 다음은 무엇인가?
• 10월의 원자재 성과 결산: 상위·하위 종목
공시
게재일 기준으로, 리치 아스플런드(Rich Asplund)는 본문에 언급된 어떤 증권에도 직·간접 보유 포지션이 없다고 밝혔다. 본 기사의 모든 정보와 데이터는 정보 제공 목적이며, 바차트 공시 정책을 참조하라고 명시했다.
면책
“여기 담긴 견해와 의견은 전적으로 필자 개인의 것이며, 나스닥(Nasdaq, Inc.)의 견해를 반드시 반영하지는 않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