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질 강수량 부족에 커피 선물가 반등…헤알화 강세도 상승세 거들어

국제 커피 선물가격4일(현지시간) 상승세로 출발했다. 이날 미국 ICE(Intercontinental Exchange)에서 거래되는 9월물 아라비카 커피(KCU25)는 전일 대비 +1.34% 오른 3.80센트 상승했으며, 같은 달물 로부스타 커피(RMU25)는 +2.19%+73달러 상승했다.

2025년 8월 4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브라질 주요 산지의 평균 이하 강수량이 투기적 공매도 청산(쇼트커버링)을 자극하며 가격을 밀어올렸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브라질 기상조사기관 소마르 메테오롤로지아(Somar Meteorologia)는 세계 최대 아라비카 생산지인 미나스제라이스 주가 7월 27일~8월 2일 한 주 동안 2.7㎜의 비만 기록, 평년의 31%에 그쳤다고 발표했다.

또한 브라질 통화인 헤알화(USD/BRL)가 달러 대비 3.5주 만에 최고치를 경신한 점도 수출 유인을 약화시켜 커피 가격에 지지력을 제공했다. 통상 헤알화 가치가 높아지면 브라질 생산자들이 달러 표시 계약 체결을 미루는 경향이 있어 국제 시세에 상승 압력을 가한다.


펀드 공매도 누적, 로부스타 변동성 확대 가능성

ICE 유럽이 7월 29일 기준으로 집계한 데이터에 따르면, 헤지펀드를 비롯한 투기세력의 로부스타 커피 순공매도 규모5,854계약으로 2년 만의 최고치다. 전문가들은 ‘숏’ 포지션이 과도하게 쌓인 가운데 기상 악화 같은 촉매가 등장할 경우, 대규모 숏커버링이 가격 급등을 부를 수 있다고 내다봤다.

미국 관세 면제 논의…단기 조정 요인 부각

한편 지난주 아라비카 선물가는 3주 저점까지 밀리기도 했다. 시장에선 트럼프 대통령이 브라질산 커피를 관세 대상에서 제외할 가능성이 거론되면서 공급 우려가 완화됐기 때문이다. 브라질 커피수출협회(Cecafe)와 전미커피협회(NCA)는 미 무역대표부(USTR)와 면제 방안을 협의 중이라고 밝혔다. 또, 뤼트닉 미 상무장관은 “미국 내에서 생산되지 않는 품목은 관세 예외가 가능하다”고 언급해 시장에 영향을 미쳤다.


브라질 수확률 가속…단기 공급 압력

브라질 최대 커피 협동조합인 코옥수페(Cooxupé)는 7월 25일 기준 조합원들의 수확 진행률이 67%라고 발표했다. 시장조사기관 사프라스&메르카도(Safras & Mercado)도 같은 날짜를 기준으로 2025/26 시즌 브라질 전체 커피 수확이 84%까지 진척됐다고 전했다. 세부적으로는 로부스타 96%, 아라비카 76%가 수확 완료된 상태다.

이처럼 추가 물량 유입이 예상되면서 최근 석 달간 커피 선물가는 전반적 하향 곡선을 그렸다. 지난달에는 아라비카가 8개월, 로부스타가 1년 3개월 만의 저가를 기록하기도 했다.


글로벌 수급 전망과 재고 동향

미국 농무부(USDA) 해외농업서비스(FAS)는 6월 25일 발표한 반기 보고서에서 2025/26 세계 커피 생산량이 전년 대비 +2.5% 늘어난 1억7,868만 8,000포대(60㎏ 기준)로 사상 최대를 기록할 것으로 예측했다. 특히 로부스타 생산은 +7.9% 증가해 8,165만 8,000포대에 달할 전망이다. 반면 아라비카 생산은 -1.7% 감소가 예상돼 품종 간 수급 불균형 가능성이 제기됐다.

동 보고서는 2025/26 기말 재고가 2,281만 9,000포대로 +4.9% 늘어날 것으로 전망, 장기적으론 가격 압박 요인으로 평가됐다. 그러나 전문 트레이더 하우스 볼카페(Volcafe)는 같은 시즌 아라비카 적자폭850만 포대로 확대될 것이라고 별도 예측을 내놨다.

실제 재고 동향을 살펴보면, ICE 감독 하의 아라비카 재고는 8월 1일 761,453포대로 5.5개월 만의 최저치를 찍어 가격 지지 요인이 됐다. 반대로 로부스타 재고는 7,029계약으로 1년 최고치로 증가, 품종별로 상반된 흐름을 보였다.


브라질·베트남 수출 및 생산 동향

브라질 커피수출협회는 7월 16일 6월 녹색 커피 수출이 전년 대비 -31% 감소한 230만 포대로 집계됐다고 발표했다. 아라비카(-27%)와 로부스타(-42%) 모두 급감해 단기적으로 공급 타이트 현상을 부각시켰다.

베트남의 상황도 변수다. 가뭄으로 2023/24 시즌 생산량이 전년 대비 -20% 감소한 147만 2,000톤으로 4년 최저치를 기록했다. 베트남 통계총국은 올해 1~6월 수출이 +4.1% 증가했지만전년동기대비(y/y) 중·장기 전망은 불투명하다고 덧붙였다. 베트남커피코코아협회(Vicofa)는 2024/25 생산 전망치를 당초 2,800만 포대에서 2,650만 포대로 하향 조정했다.


용어·배경 설명

아라비카·로부스타는 커피 종(種)을 뜻한다. 아라비카는 향미가 풍부하고 산미가 높은 고급 품종으로 남미·아프리카 고지대에서 주로 재배된다. 로부스타는 카페인 함량이 높고 쓴맛이 강해 주로 인스턴트 커피나 블렌딩에 사용되며, 베트남·인도네시아 등 저지대에서 대량 재배된다.

숏커버링(Short Covering)은 공매도자가 가격 상승 위험을 피하기 위해 미리 빌려 판 상품을 되사들이는 행위다. 이는 수급 불균형을 단기간에 심화시켜 가격 급등을 유발할 수 있다.


전문가 진단 및 전망

시장 참가자들은 “향후 2~3개월 동안 브라질 건기와 엘니뇨 재발 가능성에 주목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로부스타의 과도한 공매도 포지션이 폭발적인 단기 랠리로 이어질 여지가 있다는 설명이다. 반면 장기적으로는 USDA가 예상한 대로 세계 재고가 늘어날 경우, 가격 상승폭은 제한될 수 있다는 점도 유의해야 한다.

한 국제 곡물 브로커는헤알화 강세브라질 강수 부족이라는 쌍두마차가 단기적 모멘텀인 것은 맞지만, 북반구 소비 비수기에 접어드는 4분기에는 수요 둔화 리스크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결국 커피 시장은 기상 변수·통화 가치·펀드 포지셔닝·무역 정책이라는 네 축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형태다. 투자자라면 재고 흐름수확 진도를 면밀히 체크하며, 단기 변동성이 확대될 때 위험 관리에 각별히 유의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