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질 가뭄·작황 우려로 커피 선물 가격 상승

커피 선물 가격이 브라질의 이례적 가뭄 우려와 공급 불안 속에 일제히 상승했다.

2025년 9월 10일(현지시간),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ICE 선물 시장에서 12월물 아라비카 커피(KCZ24)는 전일 대비 4.20센트(+1.71%) 오른 파운드당 249.75센트에, 1월물 로부스타 커피(RMF25)는 54달러(+1.25%) 상승한 톤당 4,354달러에 각각 마감했다.

가격 상승의 가장 큰 배경은 브라질 최대 아라비카 생산지인 미나스제라이스 주의 건조한 날씨다. 민간 기상조사기관 소마르 메테오롤로지아(Somar Meteorologia)는 지난주(8월 31일~9월 6일) 미나스제라이스에 내린 강수량이 주 평균 27.4㎜로, 역사적 평균치의 64%에 불과했다고 밝혔다. 이 지역은 브라질 전체 아라비카 생산량의 3분의 1 이상을 차지한다.

주목

Coffee beans

브라질 자연재해 모니터링 센터( Cemaden )는 1981년 이후 가장 심각한 건조기를 겪고 있다고 분석한다. 특히 개화기에 비가 부족하면 열매 형성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2025/26년 수확량에 타격을 줄 가능성이 크다.

로부스타 시장도 사정은 비슷하다. 베트남 농업농촌개발부(MARD)는 3월 26일 발표에서 2023/24년 커피 생산량이 전년 대비 20% 감소한 147만 t으로 4년 만에 최저치라고 밝혔다. 미 농무부(USDA) 해외농업국(FAS)은 5월 31일 보고서에서 베트남의 2024/25년 로부스타 생산량을 2,790만 포대(60㎏ 기준)로 소폭 하향 조정했다.

브라질 국영 작황예측기관 코나브(Conab)도 9월 19일 2024년 브라질 커피 생산 전망을 5480만 포대로 5월 전망치보다 400만 포대 낮췄다. 이는 시장에 추가적인 공급 불안 심리를 자극했다.

주목

재고 역시 타이트하다. ICE가 모니터링하는 아라비카 재고는 2023년 11월 24년 만의 최저치(224,066포대)에서 다소 회복됐지만, 9월 9일 기준 863,440포대로 1년 반 만의 고점 수준이다. 반면 ICE 로부스타 재고는 7월 기록했던 6,521계약(톤)에서 9월 9일 3,904계약으로 6개월 만의 최저치를 찍었다.

Coffee price graph

다만 공급 측 호재만 있는 것은 아니다. 국제커피기구(ICO)는 10월 7일 보고서에서 8월 전 세계 커피 수출이 전년 동월 대비 6.5% 늘어난 1,092만 포대라고 밝혔다. 2023/24년(10월~8월) 누적 수출도 9.9% 증가한 1억 2,567만 포대를 기록했다.

브라질에서도 수출 증가세가 눈에 띈다. 브라질 커피수출협회(CECAFÉ)는 9월 9일 보도자료에서 9월 그린커피 수출이 전년 동월 대비 34% 늘어난 410만 포대라고 집계했다. 2023/24시즌 연간 수출은 전년 대비 33% 급증한 4,730만 포대로 사상 최고치다.

ICO에 따르면 2023/24 글로벌 생산량은 전년 대비 5.8% 증가한 1억 7,800만 포대, 소비는 2.2% 증가한 1억 7,700만 포대로 100만 포대의 공급 과잉이 발생했다.

미 농무부 FAS의 6월 20일 반기 보고서도 비둘기파적이다. FAS는 2024/25년 세계 커피 생산량이 4.2% 증가한 1억 7,623만 포대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아라비카 생산은 4.4% 증가한 9,985만 포대, 로부스타 생산은 3.9% 증가한 7,638만 포대다. 2024/25년 기말 재고는 2,578만 포대로 전년보다 7.7% 늘 것으로 전망된다.


아라비카·로부스타는 무엇이 다른가?

아라비카(Arabica)는 향미가 섬세하고 산미가 높은 고급 품종으로 고지대에서 재배된다. 로부스타(Robusta)는 쓴맛과 카페인이 강해 블렌드·인스턴트용으로 주로 쓰이며, 평지와 고온 건조 환경에 강하다. 두 품종은 재배 지역·날씨·지리적 조건이 달라 가격 변동 요인도 다르다.

포대(bag) 단위 설명*

국제 커피 시장에서는 60㎏짜리 마대 한 개를 ‘1 bag’으로 환산한다. 통계와 보고서에서 흔히 사용하는 단위이므로, 수치 해석 시 반드시 해당 단위에 유의해야 한다.


“지속되는 브라질 가뭄이 내년 꽃눈 형성에 결정적 악영향을 미칠 경우, 2025/26 수확은 다시 한 번 ‘쇼크’ 수준으로 줄어들 수 있다.” — 현지 애널리스트 견해

전문가들은 최근의 단기 랠리가 재고·수출·생산 전망이라는 상반된 지표 사이에서 변동성 장세를 예고한다고 본다. 아라비카는 브라질 강우, 로부스타는 베트남·인도네시아 가뭄이 최대 촉매로 작용할 전망이다.

한편, 기사 작성자인 리치 애스플런드(Rich Asplund)는 해당 종목에 대해 직·간접적 보유포지션이 없다고 밝히며, 모든 정보는 참고용임을 명시했다. 본 기사에서 제시되는 견해는 애스플런드 개인 의견일 뿐 나스닥(Nasdaq, Inc.)의 공식 입장과는 무관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