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선물 시장의 변동성 확대
9월물 ICE 뉴욕 카카오(CCU25)는 18일(현지 시각) 전 거래일 대비 +491달러(▲6.72%) 오른 톤당 7,765달러에 마감했고, 9월물 ICE 런던 카카오(CAU25) 역시 +245파운드(▲5.10%) 상승한 톤당 5,058파운드에 거래를 마쳤다.
2025년 7월 19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북미 지역 2분기 카카오 그라인딩(분쇄) 실적이 예상보다 양호하게 나타나면서 투자자들의 쇼트 커버링(short covering)*1이 급격히 늘어났고, 이에 따라 카카오 선물 가격이 급등했다.
북미 2분기 카카오 그라인딩 물량은 101,865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2.8% 감소하는 데 그쳤다. 같은 기간 유럽(-7.2%)과 아시아(-16.3%)의 감소폭보다 상대적으로 작아 시장에 ‘수요 회복’ 가능성을 시사했다.
펀드 포지션과 공매도 압력
ICE 선물거래소가 7월 15일 기준으로 집계한 자료에 따르면, 유럽 카카오 선물 시장에서 펀드들은 순공매도 포지션을 전주 대비 1,010계약 늘려 총 6,361계약으로 확대했다. 이는 2년여 만에 최대 규모다. 이렇게 누적된 공매도 포지션 덕분에 가격 반등 시 쇼트 스퀴즈(short squeeze)가 촉발돼 상승 폭이 커졌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이번 주 초까지만 해도 뉴욕 카카오는 8개월래, 런던 카카오는 17개월래 최저치로 밀려 있었으며, 글로벌 수요 위축 우려가 가격을 압박했다. 7월 18일 유럽코코아협회(ECA)는 2분기 유럽 분쇄량이 331,762톤으로 전년 대비 –7.2% 줄었다고 발표했는데, 이는 시장 예상치(–5%)를 밑도는 수준이었다. 또한 코코아협회오브아시아(CAA)는 2분기 아시아 분쇄량이 176,644톤으로 –16.3% 급감했다고 밝혔다.
생산 여건과 재고 흐름
가격 하락 압력 요인으로는 서아프리카 주요 산지(코트디부아르·가나)의 양호한 기상 조건이 거론된다. 다만 나이지리아와 카메룬은 다소 불안정한 날씨가 이어지고 있다. ICE 모니터링 기준 미국 항만 재고는 6월 18일 236만 3,861자루로 10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7월 18일 기준 233만 7,085자루로 소폭 감소했으나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가나 코코아위원회는 2025/26 수확연도 생산량이 65만 톤(+8.3%)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가나는 세계 2위 카카오 생산국이므로 생산 증가 전망은 가격에 부담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코트디부아르 산지에서는 현재 진행 중인 미드 크롭(mid-crop)*2 품질 악화가 보고된다. 가공업체들은 트럭 단위로 들여온 원료 중 5~6%를 불량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이는 주수확기(main crop) 불량률(1%) 대비 크게 높다. Rabobank에 따르면, 우기로 접어드는 시점이 늦어져 결실이 고르지 못했던 점이 품질 저하의 원인으로 지목된다. 업계 평균 전망치상 올해 코트디부아르 미드 크롭 수확량은 40만 톤으로, 전년(44만 톤) 대비 –9%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수급 균형과 장기 전망
국제코코아기구(ICCO)는 5월 30일 보고서에서 2023/24 시즌 글로벌 카카오 공급부족 규모를 –49만 4,000톤으로 수정했다. 60여 년 만의 최대 적자다. ICCO는 올해 생산량이 전년 대비 –13.1% 감소한 438만 톤이라고 밝혔다. 그 결과 재고/분쇄 비율이 46년 만의 최저치인 27.0%로 추락했다.
반면 2024/25 시즌에는 14만 2,000톤 흑자로 전환될 가능성이 제시됐다. ICCO는 생산량이 전년 대비 +7.8% 증가한 484만 톤으로 회복될 것으로 전망했다. 시장 참여자들은 이러한 중·장기 전망과 단기 수요 지표 사이에서 포지션 관리에 신중을 기하고 있다.
투자 전략 및 기자의 시각
쇼트 커버링이란, 선물 가격 하락을 예상해 공매도했던 투자자들이 손실을 막거나 이익을 실현하기 위해 포지션을 되돌리는 과정을 뜻한다. 공매도 규모가 클수록 가격이 반등할 때 매수 압력이 가중돼 급격한 상승(쇼트 스퀴즈)이 나타날 수 있다.
이번 상승세는 ‘단기 기술적 반등’ 성격이 강하다. 유럽·아시아 수요 부진과 재고 증가, 생산 회복 전망이 여전히 상존하기 때문이다. 다만 북미 실적처럼 수요 둔화가 바닥을 통과했다는 신호가 추가로 확인되면, 중기적 가격 안정 구간이 형성될 여지는 있다. 또 미드 크롭 품질 저하가 원두 가용량 감소로 이어질 경우, 일부 고급 초콜릿 제조업체는 블렌딩(혼합비) 조정에 나서야 할 가능성도 크다.
투자자 입장에서는 펀더멘털(기초체력)과 펀드 포지션을 동시에 주시해야 한다. 특히 재고/분쇄 비율이 역사적 저점에 머무는 한, 가격 폭락 가능성은 제한적일 수 있다. 반면 생산국 기후가 정상화되고 재고가 누적되면, 작년 봄과 같은 급락장도 배제 못 한다.
용어 설명
*1쇼트 커버링(Short Covering): 선물·주식 등에서 공매도 포지션을 청산하기 위해 매수로 되돌리는 행위. 주로 가격 급반등 시 나타나며 상승 탄력을 키운다.
*2미드 크롭(Mid-crop): 카카오 수확은 연 2회 이뤄지는데, 4~9월 사이의 중간 수확기를 일컫는다. 주수확기(Main crop)보다 생산량은 적지만, 시장에 꾸준히 공급돼 가공업체에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