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미 2분기 카카오 그라인딩 ‘선방’… 공매도 대량 청산으로 선물가격 급등

카카오 선물 가격이 대규모 쇼트커버링(공매도 청산)으로 급격히 반등했다. 18일(현지시간) 뉴욕 ICE선물거래소 9월물(CCU25)은 파운드(lb)당 491달러(+6.72%) 급등했고, 런던 ICE 9월물(CAU25)도 톤(t)당 245파운드(+5.10%) 오르며 동반 상승했다.

2025년 7월 19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북미 2분기 카카오 그라인딩(초콜릿·코코아 제품용 원두 분쇄) 실적이 예상보다 견조하게 나타나며 매도 포지션을 구축했던 펀드 세력의 빠른 포지션 정리가 촉발됐다. 북미 그라인딩량은 101,865톤으로 전년 대비 2.8% 감소했지만, 유럽(-7.2%·331,762톤)과 아시아(-16.3%·176,644톤)의 부진 폭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양호했다.

공매도 잔고 ‘2년 만의 최대’… 가격 변동성 확대
ICE Futures Europe 데이터7월 15일 기준에 따르면, 펀드의 런던 카카오 순매도(숏) 규모는 전주 대비 1,010계약 늘어난 6,361계약으로 2년여 만의 최대 수준이다. 과도한 매도 잔고는 가격 반등 시 쇼트커버링 압력을 증폭시키는 요인이 됐다.

카카오 그라인딩이란?
‘그라인딩’은 수확한 카카오 원두를 분쇄해 코코아 버터와 코코아 케이크로 분리·가공하는 공정을 뜻한다. 그라인딩 수치는 실질적인 초콜릿·코코아 수요를 가늠하는 대표 지표로, 감소 폭이 크면 수요 부진·재고 누적 우려가 커진다.

최근 급락 배경: 글로벌 수요 둔화와 산지 호조
이번 주 초까지만 해도 카카오 선물은 8개월(뉴욕)·17개월(런던) 최저치로 밀렸다. 유럽·아시아의 두 자릿수 감소율이 수요 우려를 키웠고, 아이보리코스트·가나 등 주요 산지의 양호한 강우가 공급 완화 전망을 자극해 하락폭을 확대했다.

재고·생산 전망 — 여전히 복합적
ICE 모니터링 기준 미 항만 재고는 6월 18일 236만3,861포대로 10개월 최고치를 찍은 뒤 7월 18일 233만7,085포대로 소폭 줄었다. 가나 코코아위원회는 2025/26연도 생산량을 전년 대비 8.3% 증가한 65만톤으로 전망했다. 반면 국제카카오기구(ICCO)는 2023/24연도 글로벌 생산이 13.1% 급감(4,380만톤)해 49만4,000톤 적자를 기록했다고 추산했다.

“중장기적으로는 2024/25연도에 14만2,000톤 흑자 전환이 예상되지만, 재고 대비 소진 비율(27.0%)이 46년래 최저인 만큼 단기 변동성은 이어질 것” — ICCO 보고서(5월 30일)

초콜릿 업계의 ‘가격 전가’ 한계
스위스 소재 초콜릿 대형사 배리 칼리보(Barry Callebaut AG)는 3개월 새 두 번째로 연간 판매량 가이던스를 하향 조정하며 “카카오 원가 급등이 소비자 가격에 온전히 전가되지 못했다”고 밝혔다. 3~5월 판매량은 9.5% 급감해 10년 만에 최대 분기 감소폭을 기록했다.

아이보리코스트 미드크롭(중간 작황) 품질 논란
4~9월 수확되는 미드크롭의 불량률이 트럭당 5~6% 수준으로, 주수확기(1%) 대비 높다. 라보뱅크는 “지연된 강우가 꽃·꼬투리 성숙을 저해해 품질 하락을 야기했다”고 분석했다. 시장 컨센서스상 올해 미드크롭 물량은 40만톤으로 전년(44만톤) 대비 9% 감소할 전망이다.

전문가 분석 — 향후 가격 시나리오
마켓메이커들은 1) 단기 쇼트커버링, 2) 하반기 수확기 전 재고 축적, 3) 유럽 경기 회복 여부를 핵심 변수로 제시한다. 단기적으론 투기적 매도 포지션이 아직 상당해 추가 반등 여지가 있으나, 하반기에 산지 작황이 예년 수준을 유지할 경우 가격은 재차 조정을 받을 수 있다.

실전 투자 팁
• 변동성 헤지: 옵션 스프레드 전략으로 급등·급락을 병행 대비
• 현물 기업: 원재료 조달 기간을 장기계약으로 분산, 가격 lock-in 필요
• ETF·ETN 투자자: 거래량·롤오버 비용 확인 후 분할 접근 권고


본 기사는 정보 전달을 목적으로 하며, 언급된 종목·상품에 대한 투자 권유가 아니다. 기사 작성 시점 기준, 필자는 관련 자산에 직접적‧간접적 포지션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