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루션 그룹, 2025회계연도 실적 전망 상향…유기적 성장·M&A 효과 ‘쌍끌이’

볼루션 그룹(Volution Group)이 2025회계연도(FY25) 종료를 앞두고 시장 기대치를 웃도는 실적 가이던스를 제시했다. 환율 역풍에도 불구하고 20%를 상회하는 매출 증가율두 자릿수 후반대의 이익률을 동시에 달성할 것으로 전망돼, 영국 런던 증시(LON:FAN)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2025년 7월 24일, 인베스팅닷컴 보도에 따르면 회사는 이날 발표한 FY25 프리-클로즈(Pre-close) 트레이딩 업데이트에서 “유기적 매출 성장률이 3~5% 목표 범위를 소폭 상회할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상반기 4.0% 성장에 이어 하반기 속도가 더욱 가팔라졌다는 점을 강조했다.

주요 시장별 실적*괄호 안은 회사 설명*
영국주택 리모델링 수요가 견조한 가운데, 저탄소 제품 및 각종 규제 수혜로 신규 주택 건설 부문이 “매우 양호”한 흐름을 이어갔다.
수출 – 아일랜드 신규 주택 시장으로의 공급이 호조를 보이며 수출이 강세를 띠었다.
중앙유럽 – 네덜란드 클리마라드(ClimaRad)와 독일 ERI의 열회수 환기(Heat Recovery) 제품 수요가 급증했고, 프랑스 VMI의 제품 라인업 확장 효과가 가세해 실적이 견인됐다.
북유럽 – 스웨덴 리모델링 수요가 상대적으로 견조했으나 신축 수요 둔화로 전반적으론 상반기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다.
오스트랄라시아 – 뉴질랜드 시장의 약세를 호주에서 만회하며 상반기와 비슷한 흐름이 이어졌다.

전체 매출은 고정 환율 기준(constant currency basis)으로 20%+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유기적 성장에 더해 최근 완료한 인수합병(M&A) 효과가 더해진 결과다. 회사 측은 하반기에만 팬테크(Fantech) 인수가 6개월 전체 실적에 반영돼 희석 효과(dilution)를 일부 감안하더라도, EBITA 마진이 상반기 22.7%와 대체로 유사할 것으로 내다봤다. 유기적 기준으로는 소폭의 연간 마진 개선도 전망된다.

우리는 재고 및 운전자본을 엄격히 관리해 현금 창출률이 목표치인 90%를 상회할 것으로 예상하며, 연말 기준 순차입금/EBITDA 비율은 약 1.3배로 관리될 것이다” – 볼루션 그룹 경영진

핵심 재무 지표
• 조정 EPS 예상치 – 시장 컨센서스 32.0펜스(범위 31.6p~32.5p)를 ‘소폭 상회’ 전망.
• 환율 영향 – 매출 5백만 파운드, EBITA 1백만 파운드 이상 역풍 (영업이익 약-3% 요인).
• 현금 창출률 – 상반기 110% 기록 후, 연간 기준 90%+ 예상.
• 순차입금/EBITDA – 약 1.3배로, 업계 평균(2배 내외) 대비 보수적 수준.

용어 해설
EBITA세전·이자비용 차감 전 이익(EBIT)에서 무형자산상각을 제외한 지표로, 영업 활동에서 창출된 현금성 수익력을 가늠할 때 활용된다. Constant currency basis는 환율 변동을 제거해 실질 성장률을 확인하는 방식이며, Net debt to EBITDA 비율은 기업의 레버리지 수준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재무 건전성 지표다.


전망 및 전략적 시사점
이사회는 충분한 현금 여력을 바탕으로 “향후 수익성 높은 투자 및 인수 기회를 계속 모색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유럽 시장 내 점유율 5~6% 수준에 불과하다는 점을 거론하며, 추가 M&A를 통해 시장 지배력을 강화할 방침이다.

시장 참여자들은 탈(脫)탄소화 정책 확대, 고효율 환기·열회수 장치 의무화 등 규제 변화가 볼루션의 장기 성장 모멘텀을 뒷받침할 것으로 평가한다. 또한 팬테크 인수로 호주·뉴질랜드 네트워크를 확보해 ▲지리적 포트폴리오 다변화 ▲규모의 경제 향상 효과가 본격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환율 변동건설 경기 사이클은 여전히 불확실 요인이다. 영국 중앙은행(BoE)의 통화 정책 방향, 유럽 주요국의 에너지 효율 규제 일정, 호주·뉴질랜드 주택 착공 지표 등 거시 변수가 향후 실적 가이던스 변동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투자자들은 향후 분기별 업데이트에서 오가닉 성장률 유지 여부추가 M&A 진행 속도를 주시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