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스턴 연은 총재 수전 콜린스, 기준금리 동결 선호…추가 인하엔 ‘높은 문턱’

보스턴 연방준비은행수전 콜린스 총재가 2025년 8월 22일(현지시간) 와이오밍주 모란에서 열린 캔자스시티 연은 잭슨홀 경제정책 심포지엄에서 블룸버그TV와 인터뷰하는 모습이 포착됐다. 사진: David Paul Morris | Bloomberg | Getty Images

2025년 11월 12일, CNBC 뉴스의 보도에 따르면, 콜린스 총재는 인플레이션이 여전히 높고 정부 셧다운으로 인해 핵심 지표의 공백이 발생한 상황을 거론하며, 당분간 추가 금리 인하를 지지하는 데 소극적 입장을 분명히 했다. 그는 현 수준의 정책금리를 일정 기간 유지하는 것이 물가와 고용 사이의 위험을 균형 있게 관리하는 데 적절하다는 견해를 밝혔다.

콜린스 총재는 자신의 지역구에서 발표한 연설에서 “나의 기본 전망을 고려할 때, 정책금리를 현재 수준당분간 유지하는 것이 이처럼 불확실성이 높은 환경에서 인플레이션과 고용 리스크를 균형 있게 맞추는 데 적절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단기적으로 추가 완화에 나서기 위한 문턱을 비교적 높게 두어야 할 이유가 여러 가지 있다고 본다”고 강조했다.

주목

정책 결정권자 발언의 의미

콜린스 총재의 발언은 특히 주목된다. 그는 통화정책을 결정하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의결권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의 이번 발언은 금리 경로 논쟁에서 비교적 매파적인 쪽에 서 있음을 드러내며, 최근 위원들 사이의 견해 차를 부각시킨다. 실제로 제롬 파월 의장은 10월에, 시장이 12월 회의에서 금리 인하 가능성을 높게 반영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12월 인하가 기정사실은 아니라고 밝힌 바 있다(관련: https://www.cnbc.com/2025/10/30/powell-forced-to-stave-off-uprisings-in-markets-and-on-his-own-fed-board-as-his-term-ends.html, https://www.cnbc.com/jay-powell/).

콜린스 총재는 10월 회의에서 단행된 0.25%p(4분의 1포인트) 금리 인하에는 찬성했으나(관련: https://www.cnbc.com/2025/10/29/fed-rate-decision-october-2025.html), 추가적인 완화는 연준의 물가 안정 목표 진전을 되돌릴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노동시장의 약함이 “주목할 사안”이라고 인정하면서도, 연준의 2% 인플레이션 목표를 초과한 물가상승 위험이 여전히 경계를 요한다고 밝혔다.

“이 같은 여건에서 경제활동에 추가적인 통화적 지원을 제공하는 것은, 인플레이션이 목표로 복귀하는 속도를 늦추거나 심지어 정지시키는 위험을 수반한다. 수요가 탄탄한 만큼, 고용에 대한 하방 위험은 존재하지만 여름 이후 더 커지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

그는 또한 정부 셧다운이 정책 판단에 미치는 영향을 언급했다. 교착 상태는 해소되는 분위기이나, 백악관 대변인은 10월 기준의 물가와 고용 관련 핵심 통계아예 공개되지 않을 가능성을 시사했다(관련: https://www.cnbc.com/2025/11/12/white-house-october-data-release.html). 이로 인해 연준은 실시간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에 제약을 받는 국면에 직면해 있다.

주목

노동시장이 뚜렷하게 악화했다는 증거가 없는 한, 특히 정부 셧다운으로 인한 인플레이션 정보의 제약을 고려할 때, 나는 정책을 더 완화하는 데 주저할 것이다.”

한편, FOMC는 10월 회의에서 10 대 2로 금리 인하를 의결했다. 이 중 스티븐 미란 연준 이사는 더 큰 폭의 인하를 원한다는 이유로 반대표를 던졌고, 제프리 슈미드 캔자스시티 연은 총재는 인하 자체에 반대했다.


핵심 개념 정리: 용어와 맥락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는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의 통화정책 결정기구다. 기준금리의 인상·동결·인하 등 정책금리 경로를 결정해 물가 안정과 최대 고용이라는 양대 책무를 추구한다. 여기서 ‘매파적’이라는 표현은 인플레이션 억제를 우선시해 긴축적 정책을 선호하는 태도를 의미하며, ‘비둘기파(완화적)’는 경기와 고용을 뒷받침하기 위한 완화적 정책 선호를 뜻한다.

‘4분의 1포인트(0.25%p) 인하’는 연준이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낮추는 조치를 말한다. 또한 연준의 물가목표 2%는 중기적으로 연 2%대 인플레이션을 달성·유지하려는 가이드다. 콜린스 총재가 말한 ‘높은 문턱’은 추가 인하를 위해 상당한 근거—예컨대 인플레이션 둔화의 명확한 증거고용 악화의 뚜렷한 신호—가 필요하다는 취지를 함축한다.


전문적 해설: 왜 지금 ‘동결’인가

이번 발언의 핵심은 데이터 공백과 인플레이션 불확실성이라는 이중 제약 속에서 연준이 성급한 완화를 피하려는 태도를 재확인했다는 점이다. 콜린스 총재는 10월의 소폭 인하에는 동의했지만, 그 이후 여건에서는 정책 완화의 한계효용과 위험을 더 크게 평가했다. 특히 정부 셧다운으로 인해 10월 물가·고용 통계제때 혹은 전혀 나오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은, 증거기반 정책을 중시하는 연준의 의사결정 신뢰성에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그는 수요의 견조함을 강조하며, 현재로서는 고용 하방 리스크가 여름 이후 확대되지 않았다고 판단했다. 이는 성장 모멘텀이 남아 있는 가운데, 추가 금리 인하가 수요를 과도하게 자극인플레이션의 재가속을 초래할 수 있다는 경계다. 결과적으로, ‘동결 선호-조건부 인하’라는 전략적 스탠스가 강화됐다고 해석된다.

아울러, FOMC 내 이견(10–2 표결 및 반대 사유)은 정책 경로에 대한 내부적 균형점 탐색이 진행 중임을 시사한다. 미란 이사는 더 큰 폭의 인하를, 슈미드 총재는 무인하를 선호했다는 점에서, 정책함수에 반영되는 물가·고용·금융여건 간 가중치가 위원별로 다름을 보여준다. 그 가운데서도 콜린스 총재는 인플레이션 목표(2%) 복귀라는 최우선 과제를 상기시키며, 추가 완화의 근거 기준을 높게 설정하고 있음을 분명히 했다.


관전 포인트: 무엇을 확인해야 하나

첫째, 10월 물가·고용 통계의 공개 여부가 관건이다. 데이터 부재가 지속될 경우, 정책 불확실성은 불가피하게 높아진다. 둘째, 12월 FOMC 회의를 앞두고 시장이 가격에 반영해온 인하 기대와, 콜린스 총재가 제시한 ‘높은 문턱’ 사이의 간극은 커질 수 있다. 셋째, 노동시장이 “뚜렷하게 악화”했다는 가시적 증거가 등장하는지 여부가 핵심 트리거가 될 것이다.

정리하면, 콜린스 총재의 메시지는 “성급한 인하보다 데이터 확인이 우선”이라는 원칙으로 요약된다. 그는 인플레이션의 지속 위험을 중시하며, 데이터 공백 속에서는 정책 실수를 피하기 위해 현 수준 금리 유지가 바람직하다는 판단을 내리고 있다. 이는 파월 의장이 언급한 바와 같이, 차기 회의의 인하가 기정사실이 아님을 재확인해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