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터통신 원문에 따르면 7월 글로벌 헤지펀드 수익률은 증시 상승 효과를 일부 누리면서도 미·중 무역 불확실성 등으로 혼조 양상을 보였다.
2025년 8월 7일, 로이터 통신(Reuters) 보도에 따르면, 골드만삭스가 고객에게 배포한 최신 보고서와 복수의 펀드 관계자 증언을 종합한 결과다.
헤지펀드 주식 선택 전략(Stock-picker)을 구사한 펀드들은 7월 평균 1.5%의 수익률을 기록하며 연초 이후 누적 수익률을 약 7.8%로 끌어올렸다. 반면, 알고리즘 기반의 시스템매틱(Systematic) 전략 펀드들은 7월 중순까지 사상 최악의 월간 손실을 기록하다 7월 25일 이후 절반가량 만회해 -2% 손실로 월을 마감했다.
다만 시스템매틱 펀드의 연초 이후 누적 수익률은 여전히 10%로 플러스 영역을 유지했다.
보고서는 “포지션 과도 집중(Crowded Trades)이 수익률 변동성을 키웠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펀더멘털 분석에 기반해 특정 종목을 ‘골라 담은’ 전략은 같은 혼잡 거래 환경에서 반사 이익을 얻은 셈이다.
미국 S&P 500 지수가 7월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지만 월간 수익률은 1.38%에 그쳤다. 헤지펀드 업계 성과가 지수 대비 양호했던 셈이나, 전략별·펀드별 편차는 극명했다.
대형 멀티 스트래티지(Multi-Strategy) 펀드인 숀펠드 스트래티직 어드바이저스의 대표 펀드 ‘Strategic Partners’는 7월 -0.3%를 기록, 연간 누적 5.8%로 집계됐다. 반면 같은 운용사가 운용하는 Fundamental Equity 펀드는 7월 1.4%, 연간 7.1%를 달성했다.
운용자산 769억 달러 규모의 영국 헤지펀드 마셜 웨이스(Marshall Wace)도 엇갈렸다. 시장 중립 전략인 Market Neutral TOPS 펀드는 7월 -0.2%, 상반기 누적 11%를 기록했고, Eureka 펀드는 7월 1.6%, 연초 이후 6.1%를 올렸다.
아래 표는 각 펀드별 7월 월간 성과와 연초 이후(YTD) 성과를 요약한 것이다.
펀드명 | 7월 수익률(%) | YTD 수익률(%) |
---|---|---|
CFM Discus | 0.9 | 4.3 |
CFM Stratus | 0.0 | 5.7 |
CFM Cumulus | 0.3 | 7.0 |
Cinctive | 3.0 | 5.0 |
Citadel Wellington Fund | 1.3 | 4.0 |
Graham Tactical Trend | -0.1 | -7.63 |
Graham Multi Alpha Opportunity | -0.6 | 9.11 |
Graham Proprietary Matrix | -0.87 | 4.4 |
Graham Quant Macro | 1.93 | -5.02 |
Graham Absolute Return | -0.92 | 5.76 |
Graham Discretionary Portfolio | -0.39 | 4.63 |
Marshall Wace Market Neutral TOPS | -0.22 | 10.99 |
Marshall Wace Eureka | 1.6 | 6.1 |
Man Group AHL Alpha Programme | -1.48 | -9.14 |
Man Strategies 1783 | -1.04 | 5.01 |
Rokos Capital Management | 1.6 | 12.86 |
Schonfeld Strategic Partners Fund | -0.3 | 5.8 |
Schonfeld Fundamental Equities Fund | 1.4 | 7.1 |
Transtrend*8월 4일 기준 | 1.75 | -15.67 |
전략 해설 및 용어 정리
• Stock-picker는 기업의 펀더멘털·밸류에이션을 분석해 종목별로 롱·숏 포지션을 취하는 전통적 주식형 헤지펀드다.
• Systematic Hedge Fund는 거래 알고리즘이 시그널을 생성해 자동 매매하는 방식을 말한다. 추세 추종(Trend-Following)·스타티스티컬 아비트리지(Stat-Arb) 등이 여기에 속한다.
• Multi-Strategy Fund는 거시, 크레딧, 주식, 이벤트 드리븐 등 다양한 전략을 하나의 ‘펀드 플랫폼’에서 병행해 위험을 분산한다.
전문가 진단
런던 소재 컨설팅사 E-Vestment의 전략 분석가 마이클 휴스는 “7월 변동성 확대는 시스템매틱 펀드가 취약한 리밸런싱 구간 슬리피지(slippage)를 노출시켰다”면서 “포트폴리오 다각화가 없는 전략은 같은 충격에 동조화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기자 의견·전망
1) 유동성 환경: 미 연준의 완화적 기조가 유지되는 동안, 주식형·리스크자산 중심 전략이 상대적 강세를 이어갈 공산이 크다.
2) 헤지 전략 재편: 동시에 ‘혼잡 트레이드’ 포화가 심화되고 있어, 펀드 간 상관계수 상승을 경계할 필요가 있다.
3) 투자자 지침: 개인·기관 투자자 모두 펀드의 전략 다변화·리스크 관리 시스템을 면밀히 점검해야 한다. 특히 AI·머신러닝 기반 전략이라 해도 데이터 편향 및 변동성 폭발을 완전히 피할 수 없다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
결론적으로, 7월 헤지펀드 업계는 ‘선택과 집중’에 성공한 펀드와 ‘알고리즘 리스크’에 노출된 펀드 간 엇갈린 성적표를 받아들었다. 변동성 확대 국면에서 전략 다변화와 포지션 분산이 재차 강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