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저민 그레이엄 모델로 본 나이키(NKE) 가치·기초분석 보고서

Validea가 발행한 “Guru Fundamental Report”에 따르면, 나이키(NIKE Inc, 티커: NKE)가 벤저민 그레이엄(Benjamin Graham)의 가치투자(Value Investor) 모델 기준으로 22개 전설적 투자 전략 가운데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 보고서는 시가총액, 재무비율, 부채 수준, 장기 이익 성장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종목별 적정 가치를 평가한다.

2025년 7월 25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나이키는 “대형 성장주(Large-Cap Growth)”로 분류되며 벤저민 그레이엄 전략 적용 결과 총점 71%를 기록했다. ※80% 이상이면 해당 전략이 강하게 매수 관심을 갖는 구간으로 간주되지만, 71%는 일단 “관심 대상” 이상으로 평가된다.

Validea는 <P/B(주가순자산비율)·P/E(주가수익비율) 저평가 여부>, <유동비율(Current Ratio) 2.0 이상 여부>, <순운전자본 대비 장기부채 비율>, <10년 이상 EPS(주당순이익) 성장 지속 여부> 등을 점검해 점수를 부여한다. 나이키는 SECTOR, SALES, CURRENT RATIO, LONG-TERM DEBT TO NET CURRENT ASSETS, LONG-TERM EPS GROWTH 항목에서 PASSED 판정을 받았으나, P/E RATIOPRICE/BOOK RATIO 항목은 FAILED로 나타났다.


주요 평가 항목별 세부 점검

• SECTOR: PASS — 푸트웨어(Footwear) 산업은 그레이엄 모델에서 허용하는 범위에 속한다.
• SALES: PASS — 최근 회계연도 매출액이 대형주 기준(구간별 상한) 이상을 충족했다.
• CURRENT RATIO: PASS — 단기 유동성 척도인 유동비율이 2배를 상회, 재무 안정성이 양호하다.
• LONG-TERM DEBT/N. C. ASSETS: PASS — 순운전자본 대비 장기부채가 기준치 이내다.
• LONG-TERM EPS GROWTH: PASS — 10년간 EPS가 꾸준히 증가해 장기 성장성이 확인된다.
• P/E RATIO: FAIL — 최근 주가 대비 순이익 배수가 벤저민 그레이엄이 제시한 안전구간(15배)을 초과했다.
• PRICE/BOOK RATIO: FAIL — 자본 대비 주가가 1.5배 이하가 아니라는 점에서 저평가 요건을 충족하지 못했다.

요컨대, 나이키는 재무 건전성·장기 성장성 측면에서는 높은 평가를 받았으나 “가격 매력도”를 보여 주는 P/E·P/B 지표에서는 벤저민 그레이엄의 전통적인 절대 저평가 기준에 미달했다.


벤저민 그레이엄 가치투자 모델이란?

벤저민 그레이엄(1894-1976)은 “가치투자의 아버지”, “증권분석의 창시자”로 불린다. 그는 1936~1956년 20년간 연평균 20% 내외의 수익률을 올렸고, 제자 워런 버핏(Warren Buffett)을 비롯해 존 템플턴, 마리오 가벨리 등 수많은 투자 대가에게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끼쳤다. 그레이엄은 ① 본질 가치보다 낮은 가격, ② 재무 안전마진, ③ 장기 성장성 확인을 핵심 원칙으로 제시하며, P/E 15배 이하와 P/B 1.5배 이하라는 절대·정량 기준을 강조했다.

현대 자산시장에서 대형 성장주는 프리미엄이 반영되기 때문에 그레이엄의 보수적 밸류에이션 기준을 충족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나이키도 브랜드 파워와 성장 프리미엄이 높은 만큼 P/E·P/B 지표가 기준치를 상회해 FAIL 판정을 받았다.


투자ㆍ재무 용어 설명

P/E(주가수익비율)주가 ÷ 주당순이익(EPS)으로, 기업이 벌어들이는 이익 대비 주가가 얼마나 비싼지 가늠하는 지표다.
P/B(주가순자산비율)주가 ÷ 주당순자산(BPS)으로, 장부가치 대비 시장가치를 보여 준다.
유동비율(Current Ratio)유동자산 ÷ 유동부채로, 2 이상이면 단기 채무 상환능력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된다.

이처럼 가치투자 모델가격이 내재가치 대비 낮을 때만 투자하며, 일정 수준의 재무 안정성을 요구한다. 반대로, 성장주 투자는 높은 미래 성장성을 근거로 “현재 비싸 보이는 주가”를 정당화한다.


Validea의 추가 리서치 링크

Top Large-Cap Growth StocksNKE Fundamental Analysis Report 등에서 나이키보다 높은 점수를 받은 종목과 팩터 포트폴리오 비교가 가능하다. 또 Dividend Aristocrats 2024 목록처럼 배당 귀족주와 비교해 배당 성향을 검토할 수도 있다.

다만 “본 보고서에 제시된 견해 및 의견은 작성자의 개인 의견일 뿐, 나스닥(Nasdaq, Inc.)의 공식 입장을 대변하지 않는다”면책조항이 함께 명시됐다.


기자 시각 및 전망

71%라는 점수는 밸류에이션 상 제약에도 불구하고 나이키의 안정적 재무구조·장기 성장 스토리가 그레이엄 모델에서도 일부분 인정받았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보수적 가치투자 관점에서는 “가격”이 관건이다. 향후 주가가 EPS 확대·재무지표 개선 대비 과도하게 상승할 경우 본 모델 점수는 오히려 하락할 수 있다. 반대로 글로벌 스포츠웨어 시장 성장세와 이익률 개선으로 P/E가 자연스럽게 낮아질 경우, 80% 이상 점수로 재평가될 여지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