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비붐 세대와 밀레니얼 세대는 생애 주기가 다르다. 그만큼 이들이 마주하는 재무 의사결정의 유형도 다르다. 한쪽에서는 베이비붐 세대가 전통적 은퇴에 점점 가까워지는 반면, 다른 한쪽에서는 밀레니얼이 학자금 대출, 높은 주거비와 모기지를 헤쳐 나가고 있다. 각 세대는 스스로가 돈을 더 잘 다룬다고 믿는 경향이 있으나, 실제로 ‘더 잘한다’는 말의 의미는 무엇인지가 쟁점이다. 본 기사는 그 의미를 항목별로 점검한다.
2025년 11월 6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본 분석은 GOBankingRates가 다룬 세대별 자산·소비·부채·투자 태도·금융문해력 데이터를 토대로, ‘누가 돈 관리를 더 잘하나’라는 오래된 논쟁을 맥락 속에서 정리한 것이다. 기사에는 연방준비제도(Federal Reserve), 스마트애셋(SmartAsset), 익스페리언(Experian), EducationData.org, FINRA 등 다양한 기관의 수치가 인용되어 있다. 핵심은 연령 그 자체보다 세대가 처한 거시환경과 제도적 조건이며, 그에 대한 적응 방식이 재무 성과를 가른다는 점이다.
Trending Now: 워런 버핏의 베이비붐 세대를 위한 부 축적 5대 전략 관련 제안 — For You: 한 달에 $1,000을 더 마련하는 6가지 아이디어 — See Next: ‘트럼프 경제’를 밀레니얼이 선호하고 붐머가 덜 선호하는 이유
자산 격차: ‘더 잘한다’의 착시를 만드는 배경
연방준비제도 최신 자료에 따르면, 베이비붐 세대는 미국의 가계 순자산 가운데 약 $89조(Trillion)를 보유하고 있다. 이는 전체 가계 자산의 약 50%에 해당한다. 반면, 밀레니얼 세대는 미국 전체 부의 약 26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제시됐다원문 표기 그대로이며, 수치의 단위 표시는 원문에 명시되어 있지 않다. 이 격차만으로 ‘누가 돈을 더 잘 다루는가’를 단정하기는 어렵다.
해석의 열쇠는 시간과 환경이다. 베이비붐 세대는 장기간의 자산 축적 기간을 누렸고, 상대적으로 낮은 주택 가격, 보다 안정적인 임금 상승, 그리고 여러 차례의 강세장을 경험했다. 같은 기간 자산 가격 상승이 복리로 작동하면서 승수 효과가 강화됐을 가능성이 높다. 반대로 밀레니얼은 고학비·고주거비·학자금대출로 출발선 자체가 뒤틀렸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
그럼에도 연방준비제도의 또 다른 분석에 따르면, 연령대가 높은 밀레니얼은 세대 간 추세 대비 중간값 기준 자산이 37%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불리한 환경 속에서도 일부 밀레니얼이 디지털 도구와 분산투자를 활용해 자산을 유의미하게 축적했음을 시사한다.
지출 습관: 주거·경험·의료비에서 갈린다
스마트애셋이 집계한 자료에 따르면, 밀레니얼의 연간 평균 지출은 약 $52,874, 베이비붐 세대는 약 $63,325다. 붐머는 주거비 부담이 상대적으로 낮은 대신, 의료비와 주택 개보수 지출 비중이 높은 경향을 보인다. 이는 생애주기상 건강 관리와 자산 유지·개선에 비용이 붙는 단계에 접어들었기 때문이다.
반면 밀레니얼은 경험 소비를 선호하고, 각종 디지털 구독 서비스에 지출하는 비중이 높다. 또한 높은 주거비는 총지출 구조를 경직적으로 만든다. 즉, 같은 소득·자산 수준이라도 필수 지출 항목의 구조가 상이해, ‘절약’의 방법과 여지가 서로 다르게 나타난다.
부채와 신용: 부채의 성격이 다르다
두 세대 모두 부채의 압박을 느끼지만, 부채의 종류가 다르다. 베이비붐 세대는 주로 모기지와 신용카드 잔액을 상환 중이며, 익스페리언 자료에 따르면 평균 신용카드 잔액은 $6,795다. 이는 소비와 의료·주거 관련 지출을 카드로 충당한 결과가 누적되었을 가능성을 내포한다.
밀레니얼은 학자금 대출의 비중이 높다. EducationData.org에 따르면, 밀레니얼의 평균 학자금 대출 잔액은 $40,438이며, 전체 차입자의 39.9%가 밀레니얼이다. 요컨대, 붐머의 부채가 주거·자산 목적 중심이라면, 밀레니얼은 교육비라는 인적자본 투자 비용을 장기간 상환하는 구조다. 이 차이는 현금흐름·저축률·투자 개시 시점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투자·은퇴 태도: 안정성 vs 장기 분산
베이비붐 세대는 배당주, 채권, CDs(예금증서) 등 안정성을 중시하는 경향이 강하다. 낮은 모기지 상환액과 연금이 소득 안정성을 보강하며, 이는 위험자산 비중을 낮추는 취향으로 나타난다. 한편 밀레니얼은 전통적 확정급여형 연금의 축소로 인해, 스스로 더 오래·더 많이 투자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이 세대는 IRA, 401(k)와 같은 은퇴계좌 및 ETF·인덱스펀드 등 저비용 분산투자 수단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용어 설명
CDs: 은행이 발행하는 정기예금증서로, 만기까지 예치 시 고정 이자를 제공한다.
401(k): 미국 기업이 제공하는 확정기여형 퇴직연금으로, 세제 혜택이 주어진다.
IRA: 개인 은퇴계좌로, 납입·인출 시점에 따라 세제 혜택 구조가 달라진다.
ETF/인덱스펀드: 지수를 추종하는 펀드로, 분산과 저비용을 통해 장기 복리 효과를 노린다.
금융문해력: 전통 지식 vs 디지털 실전
FINRA의 전국 금융역량 조사에 따르면, 베이비붐 세대는 복리와 인플레이션과 같은 전통적 금융 개념에서 높은 점수를 받는 경향이 있다. 이는 장기간의 예·적금, 채권, 배당 투자 경험과 경제 사이클을 직·간접적으로 겪은 학습 효과로 해석할 수 있다.
반면, 밀레니얼은 예산관리 앱 활용, 수수료 비교, 온라인 투자 관리 등 디지털 기반 실전 역량에서 강점을 보인다. 결과적으로 두 세대는 각자의 방식으로 재무적 기민함을 보여주고 있으며, 우열의 문제라기보다 도구와 환경의 차이가 반영된 결과로 보는 것이 합리적이다.
종합: ‘나이’가 아니라 ‘상황과 적응’
세대 간 자산 격차는 크지만, 그 자체가 ‘누가 돈을 더 잘 다루는가’를 결정하지는 않는다. 붐머는 유리한 거시 환경에서 시간을 지렛대로 삼았고, 밀레니얼은 불리한 출발선에도 불구하고 디지털 도구와 저비용 분산을 통해 추세 예상을 웃도는 성과를 내고 있다. 핵심은 자신의 제약과 환경을 정확히 파악하고, 그에 맞춰 현금흐름 관리·부채 구조 조정·장기 투자로 연결하는 실행이다. 결국 ‘누가 더 낫다’는 질문보다, 각 세대가 자신에게 맞는 최적화를 얼마나 했는지가 더 중요하다.
실용 포인트: 밀레니얼은 학자금과 주거비라는 고정비 부담을 구조적으로 낮추는 전략(재융자·전환·합리적 지역 선택 등)과, 자동저축·자동투자로 투자 개시 시점을 앞당기는 것이 유효하다. 붐머는 의료비·주택 유지비가 늘어나는 국면에서 현금성 자산과 채권 듀레이션을 점검하고, 인출 전략을 세밀화하여 장수 리스크를 관리할 필요가 있다.
관련 읽을거리(원문 상 제시)
Trending Now: 워런 버핏의 베이비붐 세대 부 축적 전략 5
For You: 이번 달에 $1,000을 추가로 마련하는 6가지 기발한 방법
See Next: 트럼프의 경제 — 밀레니얼은 왜 선호하고, 붐머는 왜 그렇지 않은가
More From GOBankingRates:
• 달러트리에서 코스트코보다 더 높은 가치를 주는 5가지 품목
• 마크 큐번, 트럼프 관세에 대비해 소비재 비축 권고 — 무엇을 살 것인가
• 중산층이 조용히 백만장자가 되는 법 — 그리고 당신도 할 수 있는 방법
• 예금이 $50,000에 도달했을 때 반드시 해야 할 5가지
출처 고지: 본 기사는 GOBankingRates.com에 처음 게재되었으며, 나스닥닷컴(RSS)을 통해 소개되었다. 원문 제목은 “Baby Boomers vs. Millennials: Who’s Actually Better With Money?”이다.
면책 고지: 본문에 표현된 견해와 의견은 기사 작성자의 것이며, 나스닥(Nasdaq, Inc.)의 견해를 반영하지 않을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