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싱턴, 로이터 – 미국 재무장관 스콧 베센트(Scott Bessent)는 30일(현지시간) 보수 매체 브라이트바트(Breitbart)가 주최한 행사에서 최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서명한 세제·지출 법안에 포함된 “트럼프 베이비 계좌(Trump Baby Accounts)”를 “사회보장제(Social Security)를 민영화하기 위한 우회(backdoor)”라고 규정했다.
2025년 7월 30일, 인베스팅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해당 계좌는 신생아·양육자에게 1회성 1,000달러의 정부 기여금을 제공함으로써 장기 저축을 장려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백악관 자료에 따르면, 이 계좌는 주식시장 지수(Index)를 추종하며, 매년 최대 5,000달러까지 추가 민간 기여가 가능하다.
베센트 장관은 “분배 시점(distribution dates)과 자금 사용처를 포함한 세부 사항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며 “그러나 이 계좌 잔고가 수십만 달러 규모로 성장해 은퇴 자산이 된다면 사회보장제의 ‘게임 체인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결국 확정급여형(defined benefit) 구조인 사회보장 연금을 개인 투자 계좌 형태의 확정기여형(defined contribution)으로 전환하는 단초가 될 수 있다.” –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
사회보장국(Social Security Administration)은 해당 발언에 대해 즉각적인 논평을 내놓지 않았다.
사회보장제는 1930년대 대공황 시기 프랭클린 D. 루스벨트 행정부가 도입한 연방 차원의 노후·사회보험 제도로, 현재는 미국 시민 및 일부 비시민을 대상으로 연금·장애·유족 급여를 지급하고 있다.
그러나 올해 6월 공개된 사회보장 신탁기금 연례 보고서에 따르면, 2033년 이후에는 신탁기금 고갈로 완전 연금 지급이 불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상원 재무위원회 민주당 간사인 론 와이든(Ron Wyden) 상원의원은 베센트 장관 발언에 대해 “트럼프 행정부가 사회보장제를 민영화하려 한다”고 비판하며 우려를 표명했다.
백악관은 공식적으로 사회보장제 민영화 계획을 밝힌 적이 없다. 그럼에도 베센트 장관은 같은 날 오후 X(구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 “‘트럼프 베이비 계좌’는 사회보장제의 보장 지급(guaranteed payments)을 보완하는 수단”이라며, “트럼프 행정부는 사회보장제 보호에 전념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용어·배경 설명
사회보장제(Social Security)는 우리나라 국민연금과 유사한 미국의 공적 연금 제도다. 기금 고갈이 예상되면서 ‘민영화’나 ‘부분적 개인계좌제’ 논의가 반복돼 왔으며, 정치적으로 민감한 쟁점이다.
확정급여형(Defined Benefit·DB)과 확정기여형(Defined Contribution·DC)은 연금 지급 방식의 차이를 뜻한다. DB는 급여 수준이 사전에 확정돼 있지만, DC는 개인이 투자 성과를 떠안는 구조다. 베센트 장관의 발언은 사회보장제를 DB에서 DC로 전환하는 첫 단계로 해석될 여지가 있다는 뜻이다.
기자 해설・시사점
이번 베이비 계좌는 미국 재정·복지 정책에서 ‘민간 자본을 활용한 노후 준비’ 모델을 실험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다만 주식 지수 추종이라는 구조상 시장 변동성이 고스란히 노출되기 때문에, 저소득층 보호 장치가 미흡할 경우 노후 빈곤 위험이 더 커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사회보장제 신탁기금 고갈 시점이 2033년으로 다가오는 만큼, 재정 건전성 확보 방안과 공적·사적 연금 간 역할 재조정에 대한 의회 차원의 초당적 논의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