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욕 3대 지수, 베센트 재무장관의 대폭 금리 인하 발언에 상승
S&P 500 지수($SPX)와 추종 ETF(SPY)는 13일(현지시간) 장중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뒤 결국 전일 대비 +0.32% 상승 마감했다.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DOWI·DIA)는 +1.04% 급등하며 3대 지수 가운데 상승 폭이 가장 컸고, 나스닥100 지수($IUXX·QQQ)는 +0.04%로 보합권에서 거래를 마쳤다. 같은 날 9월물 E-미니 S&P 선물(ESU25)은 +0.32%, 9월물 E-미니 나스닥 선물(NQU25)은 -0.01%을 기록했다.
2025년 8월 14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시장의 강세 배경에는 스콧 베센트 미 재무장관이 제시한 “연준 기준금리를 150~175bp(1.50~1.75%p) 인하해야 한다”는 파격적 발언이 작용했다. 또한 10년 만기 미국 국채 수익률이 5bp 하락(4.237%)하며 완화적 금리 환경에 대한 기대를 키웠다.
베센트 장관은 “현 정책금리는 지나치게 긴축적이며, 9월 FOMC에서 50bp(0.50%p) 인하로 시작해 연속적인 금리 인하 사이클에 돌입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강조했다. 현재 연방기금(FF) 금리 목표 범위는 4.25~4.50%이며, 실효 금리는 4.33%다.
■ 연방기금선물, 9월 25bp 인하를 100% 반영…50bp 인하 가능성은 7%
연방기금선물(Fed Funds Futures) 시장은 전일 발표된 7월 CPI 둔화와 고용시장 냉각(5~7월 월평균 신규고용 +3.5만 명)에 힘입어, 9월 25bp 인하 확률을 100%로 높게 평가했다. 50bp 인하 가능성은 7%로 소폭 상향됐으며, 이는 8월 1일 고용보고서 이전 40%에서 대폭 하향된 수치다. 시장은 올해 말까지 총 64bp 인하(연말 FF 금리 3.69%), 2026년 말까지 총 134bp 인하(2.99%)를 반영하고 있다.
투자자들은 또한 16~17일 열리는 9월 FOMC에서 25bp 인하가 단행된 뒤, 10월 28~29일 회의에서 추가 25bp 인하가 이뤄질 확률을 73%로 가격에 반영했다.
■ 트럼프–푸틴 알래스카 정상회담·관세 정책도 시장 관심 집중
시장 참여자들은 오는 금요일(15일) 알래스카에서 예정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푸틴 러시아 대통령 간 정상회담 결과를 주시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회담을 “탐색적 만남”이라 규정하며 과도한 기대를 경계했고,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영토 양도 불가 원칙을 재확인해 단기간에 전쟁이 종료될 가능성은 낮다는 평가다.
무역면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과의 “관세 휴전”을 90일(11월까지) 연장했으나, 반도체·전자제품·인도산 수입품·의약품에 대한 고율관세(최대 100%) 방침을 재확인했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는 이로써 미국 평균 관세율이 2024년 2.3%에서 15.2%까지 상승할 것으로 추산한다.
■ 주간 경제지표·기업 실적
목요일(14일) 발표 예정인 주간 신규실업수당 청구건수는 전주 대비 1,000건 감소한 22만5,000건이 예상된다. 같은 날 7월 생산자물가지수(PPI)는 전년 대비 2.5%(전월 2.3%), 근원 PPI는 2.9%(전월 2.6%)로 상승이 전망된다. 금요일에는 7월 소매판매(+0.5% m/m, 자동차 제외 +0.3% m/m), 7월 제조업 생산(전월비 0%), 미시간대 소비심리지수(8월 예비)(62.0)가 발표될 예정이다.
2분기 S&P 500 기업 실적은 전년 동기 대비 +9.1% 증가로, 시즌 전 예상치(+2.8%)를 크게 웃돌았다. 82%의 기업이 이익 전망을 상회한 가운데, 이는 4년 만에 가장 높은 성장률이다.
■ 채권시장: 인플레이션 기대 하락·유로존 금리도 동반 하락
9월물 10년물 미 국채(ZNU25)는 12틱 상승, 수익률은 5.2bp 하락(4.237%)했다. 전일 CPI가 시장 예상 수준이었던 점과 금리 인하 기대가 겹치며 매수세가 유입됐다. 10년물 브레이크이븐 인플레이션 기대율은 이틀간 총 2.3bp 하락한 2.378%를 기록했다. 유럽에서도 10년 만기 독일 국채와 영국 길트 수익률이 각각 6.4bp(2.680%), 3.7bp(4.589%) 내려갔다.
■ 미국 증시 주요 종목 움직임
‘매그니피센트 7’ 가운데 애플(AAPL)과 아마존(AMZN)만이 1% 이상 상승하고 나머지는 하락 전환했다. 아마존은 올해 말까지 당일 식료품 배송 서비스를 2,300개 도시로 확대한다고 발표하며 1.4% 상승했다.
다우지수는 유나이티드헬스(UNH)·나이키(NKE)·머크(MRK)·셔윈윌리엄스(SHW)가 3% 넘게 급등해 지수 상승을 주도했다. 반도체주도 금리 인하 기대에 따라 AMD·NXP·ON·얼라인테크놀로지가 모두 3% 이상 올랐다.
암호화폐 거래소 불리시(BLSH)는 공모가 37달러를 웃도는 68달러로 급등했다. 반면 코어위브(CRWV)는 높은 자본 비용과 수익성 악화 전망으로 20% 이상 급락했다.
헤인즈브랜즈(HBI)는 캐나다 의류업체 길단 액티브웨어(GIL)가 약 22억 달러에 인수하기로 공식 발표하면서 이틀간 31% 이상 급등했다.
팔로알토네트웍스(PANW)는 도이체방크의 ‘매수’ 상향 이후 0.8% 올랐고, C3.ai(AI)는 실적 부진에도 불구하고 10% 상승했다. 킨더케어러닝(KLC)은 2분기 저조한 등록률·가이던스 하향 여파로 22% 하락했다.
■ 8월 14일 예정된 실적 발표 기업
디어(Deere & Co, DE), 앰코(Amcor PLC, AMCR), 태피스트리(Tapestry Inc, TPR), 어플라이드 인더스트리얼(AIT), 버켄스탁(BIRK), QXO Inc(QXO), 어플라이드 머티리얼즈(AMAT), 샌디스크(SNDK), 글로반트(GLOB), 누 홀딩스(NU)가 이날 실적을 공개한다.
[용어 설명]
• 연방기금선물(Fed Funds Futures): 향후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기준금리 수준을 시장이 예상해 거래하는 파생상품이다. 가격 변동을 통해 시장의 금리 인하·인상 기대를 가늠할 수 있다.
• 브레이크이븐 인플레이션 기대율: 명목 국채수익률과 물가연동채(TIPS) 수익률 차이로 계산, 향후 10년간 시장이 예상하는 평균 인플레이션율을 의미한다.
• 베이시스포인트(bp): 1bp는 0.01%p(퍼센트 포인트)로, 금리·수익률 변화를 세밀하게 나타내는 단위다.
ⓒ 2025 Barchart. 본 기사에 언급된 모든 정보는 투자 자문이 아닌 일반 정보 제공 목적이다. 원문 저자인 리치 애스플런드는 해당 종목에 직·간접적인 포지션을 보유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