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싱턴 D.C.] 스콧 베센트(Scott Bessent) 미국 재무장관이 11월로 예정된 상호(recprocal) 관세 발효 시한을 앞두고 미·중 간 포괄적 무역합의가 조만간 타결될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2025년 9월 16일, CNBC뉴스의 보도에 따르면 베센트 장관은 같은 날 오전(현지시간) CNBC ‘스콰크박스(Squawk Box)’에 출연해 “
우리는 곧 다시 만날 것이며, 매번 논의가 점점 더 생산적이 되고 있다. 중국 측도 이제 협상 타결 가능성을 실감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 자리에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틱톡(TikTok)을 차단할 의사를 분명히 한 점이 중국 측에 강력한 동기를 부여했다”는 언급도 덧붙였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2025년 4월 2일, 이른바 ‘해방의 날(Liberation Day)’ 관세 계획을 발표하며 대중 압박 수위를 높인 바 있다.
상호 관세 시한·규모
트럼프 전 대통령이 예고했던 최대 145%의 고율 관세는 협상 진전을 이유로 일단 유예됐다. 초기 유예 시한은 8월 12일이었으나, 추가 협상 시간을 확보하기 위해 11월 10일까지 한 차례 더 연장됐다. 만약 그 전에 합의가 이뤄지지 않으면, 양국은 ‘상호 무역보복 관세’를 동시에 부과하게 된다.
베센트 장관은 “*우리의 통상 파트너들이 ‘중국산 제품이 자국 시장을 범람하고 있다’고 토로한다”며 “해당 국가들은 대응책을 찾지 못해 당혹스러워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상호 관세(recprocal tariffs)란 상대국이 특정 품목에 관세를 부과할 경우 동일·유사 품목에 같은 수준의 관세를 맞불로 부과하는 조치를 뜻한다.
무역수지 동향
미국은 2024년 중국과 무역수지에서 2,980억 달러(약 398조 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2025년 들어 7월까지 누적 적자는 1,280억 달러로, 전년 대비 가파르게 축소되는 양상이다.
특히 제이미슨 그리어(Jamieson Greer)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는 “
올해 적자가 최소 30% 줄어들고, 2026년에는 더 큰 폭으로 축소될 것
”이라며 ‘상호·공정무역(balance and fair trade)’ 기조를 재확인했다.
용어·맥락 해설
상호 관세(recprocal tariffs)는 상대국이 부당한 관세나 무역장벽을 시행할 경우, 동일한 수준으로 대응해 ‘동일한 조건의 거래’를 강제하는 정책 수단이다. 이는 단순 보복을 넘어 협상 지렛대로 활용되며, 협상이 타결되면 자동으로 철회되거나 인하되는 구조다.
해방의 날 관세(Liberation Day duties)라는 표현은 트럼프 전 대통령이 자국 산업을 ‘해방’시킨다는 정치적 메시지와 함께 고율 관세 발표 시점을 지칭하며, 주로 보수 지지층 결집용 수사로 해석된다.
전문가 시각
미·중 양국이 11월 전 타결을 서두르는 배경에는 선거 일정, 글로벌 공급망 안정화 필요성, 동맹국 설득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만약 협상이 지연돼 관세가 실제로 발효될 경우, 소비재·전자부품 등 핵심 품목 가격이 급등해 미국 소비자 물가에 즉각적인 압박으로 이어질 전망이다. 동시에 중국은 내수 부양과 외국인 투자 유치에 악영향을 받을 수 있어, 양측 모두 타협점을 찾을 가능성이 높다.
기자 해설
베센트 장관의 낙관적 발언은 협상 진전을 확신시키는 동시에, 만약의 경우를 대비한 ‘경고 신호’ 역할도 수행한다. 틱톡 차단 카드는 중국 IT기업의 대미(對美) 투자 불확실성을 증폭시켜 협상력을 제고하는 수단이 되었고, 이는 향후 기술·데이터 안보 영역까지 확장될 가능성이 있다. 글로벌 투자자 입장에서는 관세 및 협상 일정에 따라 공급망 재편, 대체 생산기지 모색 움직임이 가속화될 수 있으므로 주의가 요구된다.
결국 관세 유예 기간은 불과 두 달 남짓이다. 남은 시간 동안 핵심 쟁점—지식재산권 보호, 강제 기술 이전, 보조금 투명성—에서 실질적 합의를 이끌어낼 수 있을지, 재무부·무역대표부와 베이징 협상단의 ‘마라톤 담판’이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