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센트 미 재무장관, 중국 관료와 다음 주 스톡홀름서 회동…8월 12일 관세 인상 시한 연장 논의

워싱턴발 주요 무역 협상 소식이다.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은 오는 주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중국 측 재무당국자와 만나 8월 12일로 예정된 대(對)중국 관세 인상 시한을 연장하는 방안을 논의하겠다고 밝혔다.

2025년 7월 22일, 로이터통신 보도에 따르면, 베센트 장관은 폭스 비즈니스 네트워크의 ‘모닝스 위드 마리아(Mornings With Maria)’ 프로그램 인터뷰에서 “미·중 교역은 현재 매우 안정적인 수준에 도달했으며 건설적인 분위기에서 현안을 풀어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회동 일정이 다음 주 월·화요일(현지시간) 이틀에 걸쳐 진행될 것이라고 예고했다.

베센트 장관은 “우리가 중국과 새로운 단계(new level)에 진입했다”며 “관세와 무역이 일정 수준에서 안착했기 때문에 앞으로 상당한 성과를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중국이 과잉 공급(glut) 상태인 제조업 의존도를 완화하고, 내수 소비 중심 경제로 전환하도록 유도하길 희망한다”

고 설명했다.


■ ‘관세 트루스(truce)’ 이후 쟁점 확대

지난 관세 휴전(truce)은 중국의 희토류(rare earth metals) 공급 재개와 미국의 반도체 소프트웨어·소재 수출 재개에 초점을 맞췄다. 희토류는 전기차·스마트폰·방산 장비 등에 필수적인 희귀 금속 원료로, 중국이 세계 생산량의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전략 자원이다. 베센트 장관은 이번 스톡홀름 협상에서 에너지·안보·공급망 복원력 등 폭넓은 의제가 오를 것이라고 예고했다.

그는 또한 중국의 러시아·이란 원유 수입 문제와 우크라이나 전쟁 지원 여부를 직접 경고하겠다고 언급했다. 1미국 상원에서는 러시아산 원유를 계속 수입하는 국가의 제품에 최대 100% 보복관세를 부과하는 초당적(bipartisan) 법안이 추진되고 있다.※ Secondary Tariff: 제재 위반 국가에 대해 제3국도 적용하는 2차 제재 관세

베센트 장관은 “유럽 국가들도 대러시아 제재에 강경한 입장을 보여왔기에, 동일한 수준의 2차 관세(secondary tariffs)를 함께 가동할 필요가 있다“고 촉구했다. 그는 유럽 재무장관들과도 긴밀히 협의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 ‘무역 딜 패키지’가 줄줄이 대기

베센트 장관에 따르면, 미국은 다수 국가와 동시다발적으로 무역 협정(trade deals)을 발표할 준비를 하고 있다. 그는 일본의 여당 선거 패배와 복잡한 협상 지형에도 불구하고 “생각보다 빠르게 합의점을 찾을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다만, 대부분 국가에 대한 관세율은 현재의 10% 수준에서 4월 2일 이전 수위로 ‘부메랑(back to April 2 levels)’처럼 되돌아갈 전망이다. 이는 관세율 정상화가 먼저 이뤄진 뒤에도 각국과의 세부 협상은 계속 추진될 것임을 시사한다.


■ 용어 해설 및 배경

희토류(rare earth metals)는 디스플레이·배터리·풍력발전 등 첨단 산업에 필수적인 17종의 금속 원소를 통칭한다. 중국 비중이 절대적이어서 공급 차질 시 글로벌 밸류체인 전반이 흔들릴 수 있다.
2차 제재 관세(secondary tariffs)는 미국이 자국 제재를 우회·무력화하는 제3국에까지 관세나 금융 제재를 적용하는 조치다. 최근 러시아산 원유 price cap(가격 상한 규제)이 대표 사례다.
무역 휴전(truce)은 상호 보복관세를 잠정 동결하고 대화를 재개하는 합의를 뜻한다.

미중 무역 협상 관련 이미지
▲미·중 재무장관 회동이 예정된 스웨덴 스톡홀름 전경 (예시 이미지)


■ 기자 해설

베센트 장관의 발언은 미국이 ‘대중 관세 카드’를 지렛대로 삼고 있음을 다시 확인시켜 준다. 관세 연장 여부가 협상 지형을 어떻게 바꿀지는 미·중뿐 아니라 글로벌 공급망, 특히 전자·자동차·방산 업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미국 상원의 100% 관세 추진안 역시 ‘탈러시아’ 에너지 전환 속도를 가속화할 수 있다.

결국 이번 스톡홀름 회동은 제조업 과잉·에너지 안보·제재 이행이라는 복합 의제가 얽혀 있어, 단순 관세 협상이 아닌 포괄적 경제 안보 대화로 진화할 가능성이 높다. 향후 발표될 ‘무역 딜 패키지’의 구체적 내용과 일정, 그리고 유럽·일본이 보여줄 공조 수위가 관세 인상 시한 연장 여부를 가늠할 핵심 지표가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