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KYO·NEW YORK—미국 재무장관 스콧 베센트(Scott Bessent)가 블룸버그 텔레비전과의 인터뷰에서 일본은행(BOJ)의 통화정책 대응 속도를 두고 “일본은 곡선 뒤편에 있다(behind the curve)”고 지적하며 추가 금리 인상을 예고했다.*1
2025년 8월 14일, 로이터를 인용한 인베스팅닷컴 보도에 따르면 베센트 장관은 “일본뿐 아니라 독일 등 해외 요인이 미국 국채 금리(수익률)에 누출(leakage) 효과를 주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는 이어 “
일본은 이미 인플레이션 문제를 안고 있다
”며 “내 견해이지만 일본은행은 뒤늦게 움직이고 있으며, 결국 금리 인상(hiking)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베센트 장관은 이 발언에 앞서 가즈오 우에다 일본은행 총재와 의견을 교환했다고 밝혔으나, “이는 순전히 나의 의견이며 우에다 총재의 견해는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미국 채권시장에 대한 영향 언급
베센트 장관은 “일본과 독일 등 해외 금리 동향이 미국 10년물 국채 수익률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설명했다. 통상 글로벌 채권 시장은 서로 밀접하게 연결돼 있어 외국 중앙은행의 정책 변화가 미국 금리에 바로 반영되는 현상을 ‘누출(leakage)’이라고 부른다.
미국 국채 수익률(Yield)이란 미국 재무부가 발행한 국채의 시장 가격 변동에 따라 결정되는 예상 수익률을 뜻한다. 시장 참가자들은 이를 통해 연방준비제도(Fed)의 향후 금리 경로 및 경기 전망을 가늠한다.
‘behind the curve’란?
이 표현은 중앙은행이 물가나 성장률 변화 속도를 따라잡지 못해 정책 대응이 ‘시차’를 두고 늦게 나타난다는 의미다. 시장에선 정책 대응이 늦어질 경우 물가 불안이 장기화하거나, 과도한 긴축으로 경기 둔화를 심화시킬 위험이 있다고 본다.
연준(Fed) 기준금리 인하 촉구
베센트 장관은 “연방준비제도는 정책금리를 최소 1.5%포인트 내려야 한다”고 주장하며, 첫 단추로 오는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50bp(베이시스포인트·0.5%p) 인하를 제시했다. 1bp는 0.01%포인트, 50bp는 0.5%포인트다.
그는 “현재 고금리 기조가 가계·기업 차입 비용을 끌어올려 경제 활력을 훼손하고 있다”며 “선제적 완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다만 연준 내부 다수 위원들은 물가 목표 2% 복귀가 확고해질 때까지 신중 모드가 필요하다는 입장이어서, 베센트의 주장과는 간극이 존재한다.
일본은행의 향후 대응 시나리오
우에다 총재는 최근 기자회견에서 “임금과 물가 상승의 선순환이 확고해질 때까지 완전한 정상화 시점을 판단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베센트 장관의 ‘긴축 지연’ 언급은 시장에 BOJ의 연내 추가 인상 가능성을 다시 부각시키는 요인이 됐다.
일본의 헤드라인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직전 월 전년 동월 대비 2% 중후반대를 기록하며, BOJ의 목표인 2%를 상회하고 있다. 인플레이션이 구조적으로 고착될 경우, 장기간 지속돼 온 ‘제로금리·마이너스금리 실험’에도 마침표가 찍힐 가능성이 높다.
전문가 시각
해외 투자은행(IB)들은 대체로 2025년 초 BOJ가 기준금리를 +0.25%로 인상하고, ‘수익률곡선제어(YCC)’ 정책을 완전 종료할 것으로 관측한다. 베센트 발언은 이러한 컨센서스를 앞당길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2
반면 연준이 예상보다 빠르게 금리를 내릴 경우, 달러화 강세 압력이 약화돼 엔화 및 유로화가 상대적으로 강세를 보일 수 있다. 이는 다국적 기업의 실적 전망, 자금 흐름 및 글로벌 자산 배분 전략에 직접적인 변수로 작용한다.
투자자 체크포인트
① 미·일 금리 스프레드 축소 시 엔화 반등 가능성
② 연준의 50bp 인하가 현실화될 경우 채권 가격 상승·주가 변동성 확대
③ BOJ 추가 인상 시 일본 국채(JGB) 수익률 급등 및 금융주 수혜 기대
“일본은행이 뒤늦은 긴축에 나설 뿐 아니라, 연준 역시 경기 방어를 위해 과감한 금리 인하를 단행해야 한다는 시그널을 베센트 장관이 동시에 보냈다.”
이는 글로벌 통화정책 ‘디커플링’ 가능성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일본은 긴축 전환, 미국은 완화로 선회할 경우 두 나라의 정책 방향은 정반대로 움직이게 된다. 투자자들은 이러한 정책 스플릿(policy split)이 각국 금융시장에 미칠 파급 효과를 면밀히 관찰할 필요가 있다.
ⓒ Copyright 2025 이 기사는 원문(Reuters)을 번역·가공한 것이며, 모든 내용은 원문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