밸리디아, 벤저민 그레이엄 가치투자 모델로 선정한 소비재 업종 톱픽 5종목 공개

밸리디아(Validea)“가치투자의 아버지”로 불리는 벤저민 그레이엄(Benjamin Graham)의 정량적 원칙을 적용해 선별한 소비재(Consumer Discretionary) 업종 상위 종목을 발표했다. 이번 리스트에는 DR Horton, Nike, M/I Homes, Skechers USA, Sally Beauty Holdings 등 총 5개 기업이 이름을 올렸다.

2025년 7월 24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밸리디아는 저P/B·저P/E·낮은 부채·장기 이익성장이라는 네 가지 축을 중심으로 미국 증시에 상장된 소비재 종목을 심사했다. 각 항목을 지표화해 100점 만점으로 환산했고, 80% 이상이면 ‘관심 대상’, 90% 이상이면 ‘강력 매수 후보’로 분류한다고 설명했다.

최종 선정된 5개 종목은 모두 71%의 동일 점수를 받았다. 이번 평가에서 71%는 업종 내 상대적 강점을 보여 주지만, 그레이엄 전략 기준으로는 “추가 관찰” 단계임을 시사한다.


그레이엄 전략 핵심 지표 해설
P/B (Price-to-Book) : 주가가 장부가치의 몇 배인지를 보여 주는 값으로 1.5배 이하면 저평가 가능성이 크다고 본다.
P/E (Price-to-Earnings) : 주가수익비율로, 15배 이하가 전통적 가치투자 기준이다.
Current Ratio : 유동비율. 2 이상이면 단기지급 능력이 ‘충분’하다고 평가한다.
Long-Term Debt vs. Net Current Assets : 장기부채가 순운전자본보다 작아야 재무안정성이 높다고 본다.


① DR Horton Inc (DHI)
DHI 로고
미국 36개 주 125개 시장에서 주택을 건설·판매하는 대형 주택건설사다. 전체 시가총액 기준 대형 가치주로 분류된다.

사업부문 : 홈빌딩·렌털·Forestar 용지개발·금융서비스 등 5개.
전략 평가 : SECTOR PASS, SALES PASS, P/E PASS, P/B PASS 등 다수 항목을 통과했으나 Current RatioLong-Term Debt 비율은 기준 미달로 나타났다.


② Nike Inc (NKE)
NKE 로고
스포츠 의류 및 신발 글로벌 1위 업체다. 지역별로 북미·EMEA·중국·APLA 네 개 사업부를 둔다.

주요 브랜드 : NIKE, Jordan, Converse.
전략 평가 : 유동비율·부채비율·장기 EPS 성장 등은 적합 판정을 받았으나 P/E·P/B 항목에서 FAIL을 기록, 밸류에이션 매력이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③ M/I Homes Inc (MHO)
MHO 로고
오하이오주 콜럼버스에 본사를 둔 중형 주택건설사로, 16개 도시에 진출해 있다.

사업 특성 : 1차 구매자부터 고급주택 수요까지 폭넓은 고객층을 겨냥.
전략 평가 : P/E·P/B·매출 요건을 충족했으나 유동비율과 장기부채 조건이 미달됐다.


④ Skechers USA Inc (SKX)
SKX 로고
180개 국가·지역에서 5,300개 매장을 운영하며 라이프스타일 & 퍼포먼스 신발을 판매한다.

사업 부문 : 도매(Wholesale)와 Direct-to-Consumer.
전략 평가 : 유동성·부채·장기 성장성 등의 지표는 합격선을 넘었지만 P/E·P/B 항목이 기준치를 상회했다.


⑤ Sally Beauty Holdings Inc (SBH)
SBH 로고
전문 미용용품 소매·도매업체로, 북미·남미·유럽에 2개 사업부(Sally Beauty Supply·Beauty Systems Group)를 두고 있다.

제품 포트폴리오 : Ion, Bondbar 등 자체 브랜드 7,000개·전문 브랜드 8,000개.
전략 평가 : P/E·P/B·매출 항목을 충족했으나 장기 EPS 성장성과 부채 항목에서 감점을 받았다.


“71%라는 동일 점수는 다섯 종목 모두가 가치·성장 기준을 일정 수준 충족했음을 의미하지만, 그레이엄 모델이 요구하는 ‘안전마진’을 확보하려면 재무구조(특히 유동비율·부채비율)를 추가 점검해야 한다.” – 밸리디아 애널리스트 설명

벤저민 그레이엄과 밸리디아 모델
그레이엄은 1934년 『Security Analysis』를 펴내며 현대 증권분석의 기틀을 마련했다. 밸리디아는 그의 체크리스트를 디지털 알고리즘으로 구현해 Guru Analysis 리포트와 모델 포트폴리오를 제공한다.

※ 투자 유의사항 : 본 자료는 정보 제공을 위한 것으로, 특정 종목의 매수·매도 추천이 아니다. 투자 결정과 손실 책임은 전적으로 투자자 본인에게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