밸류에이션 우려에 미 증시 하락…S&P 500·나스닥 1주 저점, 대형 기술주 약세 가중

미국 증시가 밸류에이션(기업가치 대비 가격) 우려 속에 하락세를 보였다. S&P 500 지수(SPY)는 -0.97%,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DIA)는 -0.69%, 나스닥 100(QQQ)은 -1.29% 내렸다. 선물 시장에서도 12월 E-미니 S&P(ESZ25)는 -0.95%, 12월 E-미니 나스닥(NQZ25)은 -1.34% 하락했다. 지수 레벨에서는 S&P 500이 1.5주 만의 저점으로 밀렸고, 다우 및 나스닥 100은 1주 만의 저점을 찍었다.

2025년 11월 4일, 바차트(Barchart) 보도에 따르면, 인공지능(AI) 대표 종목으로 꼽히는 팔란티어 테크놀로지스(PLTR)가 장중 -7% 이상 하락하며 AI 인프라 관련주 전반의 약세를 주도했다. 팔란티어는 3분기 매출이 예상을 상회했음에도, 매출 대비 주가 비율(Price-to-Sales, P/S)85배S&P 500 내 최고치에 달했다는 점이 부담으로 작용했다. 이같은 극단적 밸류에이션 우려가 롱 포지션 청산(long liquidation)을 촉발했다는 분석이다. 동시에, ‘매그니피센트 세븐’으로 불리는 미국 초대형 기술주의 동반 약세가 지수 전반의 하락 압력을 키웠다.

S&P 500 현황
Nasdaq 100 현황

주목

바차트는 또한 월가 주요 은행의 경고가 증시 전반의 밸류에이션 경계심을 자극했다고 전했다. 홍콩 금융관리국(HKMA)의 금융 정상회의에서 모건스탠리골드만삭스향후 12~24개월 동안 주식시장이 10% 이상 조정을 받을 수 있다고 언급했다. 이는 S&P 500이 4월 저점 이후 +35% 이상 급등해 지난주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뒤, 가격 부담에 대한 경계가 커졌음을 시사한다.

핵심 포인트: “밸류에이션 부담 확대, 대형 기술주의 약세, 그리고 월가의 조정 경고가 결합되며 주가가 단기 재평가 구간에 들어섰다.”


미국 경제 지표 측면에서는, 10월 워즈(Wards) 자동차 총판매1,532만 대로 예상치(1,550만 대)를 하회했고, 14개월 만의 최저로 둔화했다. 이는 경기 민감 소비의 속도가 다소 느려졌음을 반영한다.

금리 기대와 관련해, 시장은 12월 9~10일 FOMC에서 -25bp(기준금리 0.25%포인트) 추가 인하가 70% 확률로 반영(market-implied)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위험자산 조정과 경기 둔화 신호가 맞물리며 통화완화 기대가 유지되는 양상이다.

정책 리스크도 변수다. 미 연방대법원은 이번 주 수요일, 전직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주의 관세’가 합법인지에 대한 구두 변론을 진행한다. 하급심은 이미 1977년 국제비상경제권법(IEEPA)비상권한 남용에 해당한다며 불법 판결을 내렸다. 연방대법원이 이를 확정해 관세를 무효화할 경우, 상호주의 관세 및 펜타닐 연계 관세로 이미 걷힌 800억 달러+의 환급 문제가 불거질 수 있으며, 향후 대통령의 관세 부과 권한은 232·301·201조 등 합리적 근거 조항으로 제한될 수 있다. 판결은 올해 말에서 2026년 초 사이에 나올 전망이며, 이번 구두 변론은 최종 판단의 방향성을 가늠하는 단서가 될 수 있다.

주목

미 10년물 T-노트 선물

실적 시즌은 이번 주에도 속도를 유지한다. S&P 500 편입 기업 136곳이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며, 블룸버그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지금까지 80%의 기업이 예상치를 상회했다. 분기 기준으로는 2021년 이후 가장 양호한 흐름이나, 3분기 이익 증가율 전망은 전년 대비 +7.2%지난 2년 중 최소폭으로 예상된다. 3분기 매출 증가율+5.9%2분기(+6.4%) 대비 둔화가 전망된다.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6주차에 접어들어 역대 최장을 기록 중이며, 각종 정부 통계 발표 지연과 함께 경기 위축 심리를 키우고 있다. 시장은 셧다운 장기화가 추가 고용 위축·소비 둔화·성장률 하방 압력으로 이어질 경우, 연준의 완화적 기조를 지지할 여지가 있다고 해석한다.


해외 증시도 약세를 보였다. 유로스톡스 50은 -0.82% 하락하며 2주 저점으로 내려섰고, 중국 상하이종합은 -0.41% 하락 마감했다. 일본 닛케이225사상 최고치에서 후퇴해 -1.74% 하락했다.

금리 동향에서는, 12월 만기 미 10년물 T-노트 선물이 +4틱 상승했고, 10년물 수익률4.093%-1.8bp 하락했다. 위험자산 약세로 인한 안전자산 선호가 국채 가격을 지지했다.

유럽 국채도 강세를 보였다. 독일 10년물 분트 수익률은 -1.6bp 하락한 2.651%, 영국 10년물 길트 수익률은 -2.3bp 하락한 4.412%를 기록했다. 스왑시장은 12월 18일 ECB 통화정책회의에서 -25bp 인하 가능성을 7% 수준으로 가격에 반영했다.


종목별 동향: ‘매그니피센트 세븐’ 약세

테슬라(TSLA) -3%대, 엔비디아(NVDA) -2%대 하락. 알파벳(GOOG)·마이크로소프트(MSFT) -1%대, 메타(META) -0.58%, 아마존(AMZN) -0.57%, 애플(AAPL) -0.03% 하락했다.

비트코인 현황

크립토 관련주도 약세였다. 비트코인이 -3% 급락하며 4.25개월 최저를 기록하자, 코인베이스(COIN), 갤럭시 디지털(GLXY), 마라 홀딩스(MARA), 마이크로스트래티지(MSTR), 라이엇 플랫폼스(RIOT)-4% 이상 하락했다.

개별 이슈에서는, 사렙타 테라퓨틱스(SRPT)-33% 급락했다. 뒤센형 근이영양증(DMD) 환자를 대상으로 한 Amondys 45Vyondys 53의 임상에서 1차 평가변수를 충족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조에티스(ZTS)-11%대 하락하며 S&P 500 내 낙폭을 주도했다. 회사는 연간 매출 전망을 94.0억~94.8억 달러하향했다(종전 94.5억~96.0억 달러). 이는 컨센서스 95.1억 달러를 하회한다.

노르웨지안 크루즈 라인(NCLH)-11%대 급락했다. 3분기 매출29.4억 달러로 컨센서스(30.2억 달러)를 밑돌았다.

마라톤 페트롤리엄(MPC)-9%대 하락했다. 3분기 조정 EPS3.01달러로 컨센서스(3.15달러)에 미달했다.

팔란티어(PLTR)-7%+ 하락해 나스닥 100 하락주 선두에 섰다. 예상 상회한 3분기 매출 발표에도 P/S 85배라는 평가부담롱 청산을 유발했다.

우버 테크놀로지스(UBER)-7%대 약세였다. 4분기 조정 EBITDA 가이던스를 24.1억~25.1억 달러로 제시했는데, 중간값24.9억 달러 컨센서스를 소폭 하회했다.

이튼(ETN)-6%대 하락했다. 3분기 순매출69.9억 달러로 컨센서스(70.8억 달러)를 밑돌았고, 연간 유기적 매출 성장률 전망을 +8.5%~+9.5%로 제시했는데, 중간값이 컨센서스 +9.22%를 하회했다.

헨리 샤인(HSIC)+11%대 급등하며 S&P 500 강세를 이끌었다. 3분기 순매출33.4억 달러로 컨센서스(32.8억 달러)를 상회했다.

새니미나(SANM)+12%대 상승했다. 4분기 순매출21.0억 달러로 컨센서스(20.6억 달러)를 웃돌았다.

패브리넷(FN)+11%대 상승했다. 1분기 매출9.781억 달러로 컨센서스(9.336억 달러)를 상회했다.

화이트스톤 리츠(WSR)+6%대 상승했다. MCB 리얼에스테이트가 회사를 재인수 추진 중이며, 주당 15.20달러 제안을 조만간 제시할 수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얌! 브랜즈(YUM)+4%대 상승했다. 3분기 조정 EPS1.58달러로 컨센서스(1.48달러)를 상회했다.

메리어트 인터내셔널(MAR)+2%대 상승하며 나스닥 100 내 강세를 보였다. 3분기 조정 EPS2.47달러로 컨센서스(2.39달러)보다 양호했다.

글로벌 페이먼츠(GPN)+2%대 상승했다. 3분기 조정 순매출24.3억 달러로 컨센서스(24.2억 달러)를 상회했다.


오늘의 주요 실적 발표(11/4/2025): Expeditors International(EXPD), Marathon Petroleum Corp(MPC), Pfizer Inc(PFE), Zoetis Inc(ZTS), Shopify Inc(SHOP), Uber Technologies Inc(UBER), Ball Corp(BALL), Thomson Reuters Corp(TRI), Apollo Global Management Inc(APO), Exelon Corp(EXC), Archer-Daniels-Midland Co(ADM), Martin Marietta Materials Inc(MLM), Eaton Corp PLC(ETN), Leidos Holdings Inc(LDOS), Waters Corp(WAT), Stanley Black & Decker Inc(SWK), Global Payments Inc(GPN), Gartner Inc(IT), CDW Corp/DE(CDW), Henry Schein Inc(HSIC), Broadridge Financial Solutions(BR), Molson Coors Beverage Co(TAP), Norwegian Cruise Line Holdings(NCLH), Marriott International Inc/MD(MAR), Yum! Brands Inc(YUM), Advanced Micro Devices Inc(AMD), Mosaic Co/The(MOS), American International Group I(AIG), Arista Networks Inc(ANET), Corteva Inc(CTVA), Match Group Inc(MTCH), International Flavors & Fragra(IFF), Live Nation Entertainment Inc(LYV), Assurant Inc(AIZ), AES Corp/The(AES), Eversource Energy(ES), Super Micro Computer Inc(SMCI), Jack Henry & Associates Inc(JKHY), Aflac Inc(AFL), Amgen Inc(AMGN), Axon Enterprise Inc(AXON), Skyworks Solutions Inc(SWKS).


용어 정리 및 해설

매출 대비 주가 비율(P/S): 기업의 시가총액을 연간 매출로 나눈 값으로, 매출 1달러를 사기 위해 투자자가 지불하는 가격을 뜻한다. 수치가 높을수록 성장 기대가 크거나 평가부담이 커졌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롱 청산(Long Liquidation): 보유 중이던 매수 포지션을 수익 실현 또는 손절 차원에서 정리하는 행위로, 매도 물량이 단기에 쏠리며 가격 하락 압력을 키울 수 있다.

매그니피센트 세븐: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알파벳, 아마존, 엔비디아, 메타, 테슬라 등 미국 초대형 기술주 7개를 일컫는 말로, 지수 기여도가 매우 커 시장 방향성에 큰 영향을 준다.

FOMC: 미 연준의 통화정책 결정기구로, 기준금리유동성 정책을 결정한다. bp(베이시스 포인트)0.01%p를 의미하며, 25bp=0.25%p다.

IEEPA(국제비상경제권법): 국가 비상사태 시 대통령에게 특정 경제제재 권한을 부여하는 1977년 제정 법안으로, 이번 상호주의 관세의 법적 근거로 주장됐으나 하급심에서 부적절하다는 판결이 내려졌다.


시장 해설·전망

현재 시장은 고평가 논쟁실적 둔화 신호, 정책·정무 리스크(셧다운, 관세 소송)라는 세 가지 축의 영향을 동시에 받고 있다. 특히 초대형 기술주상대 강세가 완화될 경우, 지수 전반의 밸류에이션 재조정비(非)기술주로 확산될 수 있다. 반면, 금리 인하 기대국채 강세는 주식의 할인율 완화라는 완충 장치로 작용한다. 단기적으로는 실적의 질(매출 성장 둔화 대비 수익성 방어)현금흐름이 분별력을 제공할 전망이다.

투자자 관점에서, P/S 등 밸류에이션 지표가 높게 형성된 성장주심리 변화에 더 민감하다는 점, 정책 이벤트(연방대법원 구두 변론·ECB·FOMC)변동성의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할 필요가 있다. 특히 관세 판결은 무역정책의 법적 한계를 재확인할 잠재력이 있어, 부문별 실적 가시성밸류에이션 재평가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서비스 안내: “Join 200K+ Subscribers” 문구로 소개된 바차트 미드데이 브리프는 매일 다수의 구독자가 읽는 뉴스레터로 언급됐다.

디스클로저: 본 기사 게재 시점에 리치 애스플런드(Rich Asplund)는 기사 내 언급 종목에 직·간접 보유 포지션이 없었음을 밝혔다. 모든 정보와 데이터는 정보 제공 목적이며, 자세한 내용은 Barchart Disclosure Policy를 참조하라고 안내됐다. 또한, 본문에 담긴 견해와 의견은 작성자의 견해이며, 나스닥(Nasdaq, Inc.)의 공식 입장과는 다를 수 있음이 명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