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악관, 1월 31일까지 임시예산 연장 추진…하원 공화당 2인자 스티브 스컬리스 언급

워싱턴, 백악관 예산 공방 — 미국 하원 공화당 원내대표 2순위로 꼽히는 스티브 스컬리스(공화·루이지애나) 의원은 9일(현지시간) 기자들과 만나 “백악관이 1월 31일까지 현행 연방정부 지출을 연장하는 방안을 의회에 제안했다”고 밝혔다.

2025년 9월 9일, 인베스팅닷컴 보도에 따르면, 백악관의 이번 요청은 10월 1일부로 시작되는 부분적 연방정부 셧다운을 피하기 위한 ‘임시 지출 법안(Continuing Resolution, CR)‘ 형태다. 스컬리스 의원은 “날짜와 기간은 아직 최종 확정되지 않았다”면서도 백악관이 제시한 1월 31일 시한이 유력하다는 점을 인정했다.

미국 의사당 전경

주목

CR이 의회를 통과하면, 연방정부의 올해 회계연도(2024년 10월~2025년 9월)가 시작될 때까지 현행 예산 수준이 유지된다. 다만 연방재난관리청(FEMA) 구호 기금처럼 ‘긴급 계정(emergency accounts)’에는 한시적 예산을 추가 편성할 여지가 있다. 개별 의원들도 지역구 이해가 걸린 새로운 항목을 끼워 넣으려 할 수 있다.

“어떤 형태로든 정부지출을 9월 30일 이전에 연장하지 않으면, 모든 비필수(furlough) 공무원은 셧다운 기간 동안 업무를 중단할 것” — 스컬리스 의원

셧다운 마감 시한9월 30일 밤 11시 59분(동부시간)이다. 미국 의회예산국(CBO)에 따르면, 총 7조 달러 규모 연방예산 가운데 의회가 매년 조정할 수 있는 ‘재량지출(discretionary spending)’은 약 1조 6천억 달러 수준이다. 국방비와 국채 이자 지출이 가장 큰 몫을 차지하며, 국채 잔액은 37조4천억 달러에 달해 재정 전문가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백악관 야경

그러나 의회는 10월 1일 새 회계연도 시작을 앞두고도 12개 재량지출 세부 법안 가운데 어느 하나도 합의를 보지 못했다. 여기에 메디케어·메디케이드 같은 ‘필수지출(mandatory spending)’ 프로그램은 별도 법으로 자동 집행돼 협상 대상이 아니다.

주목

야당인 민주당은 백악관의 제안을 “극단적 요청(extreme request)”이라고 규정했다. 하원 세출위원회 민주당 간사 로사 델로로(코네티컷) 의원은 “초당적 예산 협상을 무력화하려는 또 다른 시도”라며 “민주당 우선순위와 의회의 예산권(power of the purse)을 반드시 지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재 하원 의석 분포공화 219석 대 민주 212석이다. 상원은 공화 53석·민주 47석으로, 일반 법안을 처리하려면 필리버스터를 넘기기 위한 60표가 필요하다. 즉, 공화당은 최소 7명의 민주당 상원의원을 설득해야 CR을 가결시킬 수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최근 몇 년간 의회의 예산 편성권을 훼손한다는 비판을 받아 왔다. 패티 머리(민주·워싱턴) 상원의원과 델로로 의원이 집계한 자료에 따르면, 트럼프 정부는 이미 4,120억 달러 규모의 의회 승인 예산 집행을 보류 중이다.

미국 달러와 예산

연방 인력 감축도 가속화되고 있다. 8월 초 스콧 쿠퍼 인사관리처(OPM) 국장은 “올해 30만 명 규모의 공무원이 해고·명예퇴직·사직·퇴직 장려금으로 감축될 것”이라며, 트럼프 취임 후 연방 인력의 12.5%가 줄어들 것이라고 예상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2018년 말부터 2019년 초까지 35일간 이어진 미국 역사상 최장기 셧다운을 주도한 바 있다. 당시 쟁점은 미·멕시코 국경장벽 건설 예산이었다. 결과적으로 의회는 장벽 예산을 승인하지 않은 채 셧다운이 종료됐다.

● 용어 풀이

Continuing Resolution(CR) — 새 회계연도 예산안이 의회에서 확정되지 않았을 때, 기존 예산 수준을 일정 기간 연장해 정부 셧다운을 막는 임시 지출 법안이다.

Discretionary Spending국방·교육·교통의회가 매년 편성·조정하는 재량 지출 항목. 메디케어처럼 법으로 자동 집행되는 필수 지출(Mandatory Spending)과 대비된다.

Filibuster(의사방해) — 미국 상원에서 법안 표결을 지연하거나 막기 위해 장시간 토론을 이어가는 제도. 60표의 찬성으로 종료(cloture)할 수 있다.


● 전문가 시각

이번 CR 협상이 1월 말까지로 설정될 경우, 2025 회계연도 예산안이 본격적인 대선 경선 일정과 맞물린다는 점이 변수다. 정치적 이해관계가 증폭되면서, 예산안 처리 지연이 글로벌 금융시장 변동성을 키울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또한 37조 달러를 넘어선 국가부채금리·달러 가치·채권시장 전반에 압박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투자자 입장에선 국채 금리 스파이크안전자산 선호 확대에 대비한 포트폴리오 조정이 요구된다. 다만 셧다운이 현실화되더라도 과거 사례처럼 ‘정책 공백’ 구간이 길어질 경우, 단기적 시장 충격은 크지 않을 것이라는 시각도 공존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