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증시가 22일(현지시간) 혼조세로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는 0.06% 상승,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0.40% 상승으로 장을 마쳤으나, 기술주 비중이 높은 나스닥100 지수는 0.50% 하락했다. 같은 날 9월물 E-미니 S&P500 선물은 0.01% 올랐고, 9월물 E-미니 나스닥 선물은 0.52% 내렸다.
2025년 7월 23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하우스빌더 D.R.호턴이 예상을 웃돈 3분기 순매출과 연간 매출 전망 상향을 발표하면서 주가가 16% 넘게 급등해 주택건설업종 전반을 끌어올렸다. 노스럽그러먼 역시 실적 가이던스를 높이며 9% 넘게 올랐고, 장 초반부터 미 국채(10년물) 수익률이 4.34%(전일 대비 –4bp)까지 떨어진 점이 주가를 지지했다.
재닛 베센트 미 재무부 장관은 “연준 제롬 파월 의장이 지금 물러날 이유가 없다”고 언급하며 통화정책 연속성에 힘을 실었고, “중국과의 무역은 매우 좋은 상황”이라며 8월 12일 만료되는 [32m무역 휴전[0m 연장 가능성을 시사했다. 베센트 장관은 다음 주 스톡홀름에서 중국 측과 회동한다고 밝혔다.
반면 반도체주 약세가 나스닥 하락의 직접적 요인이 됐다. KLA(-4% 이상)가 선두로 밀렸고 램리서치, ARM 홀딩스, 마이크론, 브로드컴이 3%대 약세를 기록했다. 블루칩 중에서는 엔비디아가 –2%대로 다우 하락폭을 키웠다. 방산주 록히드마틴은 2분기 매출 부진과 연간 순이익 전망 하향으로 10% 넘게 급락했고, 제너럴모터스 또한 연간 EBIT 가이던스가 시장 기대를 밑돌며 7% 이상 하락했다.
미 동부시간 22일 발표된 리치먼드 연방은행 제조업지수는 –20으로 전월 대비 12포인트 급락, 11개월 만의 최저치를 기록해 경기 둔화 우려를 부추겼다. 이에 따라 연방기금선물은 7월 29~30일 FOMC에서 25bp 금리 인하 가능성을 5%, 9월 회의에서는 58%로 반영했다.
■ 무역·관세 리스크 확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주 150개국 이상에 10~15% 관세 가능성을 통보하는 서한을 발송할 계획이라고 밝혔으며, 8월 1일부터 유럽연합·멕시코산 수입품에는 30% 관세를, 캐나다 일부 품목에는 35%(현행 25%) 관세를 매길 것이라고 예고했다.
시장 참여자들은 이번 주 예정된 각종 무역 담판과 기업실적 발표에 주목하고 있다. 23일(수)에는 알파벳과 테슬라가 실적을 공개한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S&P500 구성 기업의 5분의 1이 이번 주 2분기 실적을 발표하며, 지금까지 집계된 기업들의 순이익 증가율은 전년 대비 3.2%로, 실적 시즌 전 전망치(2.8%)를 상회하고 있다.
■ 국채·국제 금리 동향
시카고상품거래소(CME) 10년물 T-노트 9월물은 7틱 상승 마감해 2주 반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고, 수익률은 1.5주 최저 4.326%까지 밀렸다. 독일 10년물 분트 수익률은 –2.3bp(2.590%), 영국 길트는 –3.4bp(4.569%) 내려갔다.
유럽중앙은행(ECB) 분기별 은행대출 조사결과 “금리 하락은 대출 수요를 소폭 부양했으나, 글로벌 불확실성과 무역 긴장으로 전반적 수요는 여전히 약하다”는 평가가 나오자, 시장에서는 25bp 인하 확률을 1% 미만으로 반영했다.
■ 주요 업종·종목 동향
주택건설주 랠리: D.R.호턴(+16%), 펄티그룹(+11%), 레너·톨브라더스(각 +8% 이상).
헬스케어 서비스: IQVIA(+17%), 퀘스트다이애그노스틱스(+7%).
방산·항공: 노스럽그러먼(+9%), 록히드마틴(–10% 이상).
자동차·부품: 제너럴모터스(–8% 이상).
금융·데이터: 에퀴팩스(–8% 이상), MSCI(–8% 이상).
한편, 신규 ‘E-미니 선물’과 ‘T-노트’ 등 파생상품 용어가 낯선 투자자를 위해 설명하면, E-미니 선물은 S&P500·나스닥 지수 등을 소규모 계약단위로 거래할 수 있는 선물계약을 의미하고, T-노트는 만기 2~10년의 미국 재무부(국채) 채권을 가리킨다. 수익률이 하락하면 채권 가격은 상승하며, 통상적으로 주식에 우호적인 유동성 환경을 조성한다.
■ 향후 일정
• 23일: 6월 기존주택 판매(전월 대비 –0.7% 예상)
• 24일: 신규실업수당 청구 22만7천 건 예상, S&P 미국제조업 PMI(52.5) 발표 및 6월 신규주택 판매(+4.3%) 발표
• 25일: 6월 내구재 주문(항공·국방 제외) 전월 대비 +0.2% 예상
■ 실적 발표 예고
알파벳, 테슬라, AT&T, IBM, 서비스나우, T-모바일US 등 S&P500 기업 약 100곳이 24~25일 양일 사이 실적을 공개할 예정이다. 야데니리서치에 따르면 11개 섹터 중 이익 증가가 기대되는 곳은 6곳에 불과해 2023년 1분기 이후 최소치다.
본 기사에 언급된 모든 정보는 정보 제공 목적이며, 작성자는 해당 종목에 대한 직·간접적 포지션을 보유하고 있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