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 500 지수(티커: $SPX)와 추종 ETF SPY는 22일(현지 시각) +0.06% 상승으로 마감했다.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DOWI·DIA)는 +0.40% 올랐으나,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100 지수($IUXX·QQQ)는 -0.50% 하락했다. 동시 만기인 9월물 E-mini S&P 선물(ESU25)은 +0.01% 소폭 상승했고, 9월물 E-mini 나스닥 선물(NQU25)은 ‑0.52% 떨어졌다.
2025년 7월 23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이날 뉴욕 증시는 종목별로 엇갈린 흐름을 보였다. 주택건설업체 D.R. 호턴(DHI)이 시장 예상치를 웃도는 3분기 순판매 실적과 연간 매출 전망 상향을 발표하면서 +16% 급등해 주택 관련주를 끌어올렸다. 방산업체 노스럽 그러먼(NOC)도 연간 조정 주당순이익(EPS)을 상향 조정하며 +9% 넘게 올랐다.
반면, 반도체주 약세가 나스닥의 하방 압력으로 작용했다. 장비업체 KLA(KLAC)가 ‑4% 이상 떨어진 것을 비롯해 램리서치(LRCX), ARM 홀딩스(ARM), 마이크론(MU), 브로드컴(AVGO)이 모두 ‑3% 이상 하락했다. 엔비디아(NVDA)는 ‑2%대 약세로 다우 지수 내 낙폭을 키웠다.
10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은 ‑4bp 하락한 4.34%(1.5주 만의 최저치)로 내려가 증시에 완충 작용을 했다. 재무부 벤슨 장관은 “파월 연준 의장이 지금 물러날 이유가 없다”라고 언급하며 금리 하락 기대를 부추겼다.
같은 날 벤슨 장관은 “미·중 무역이 매우 좋은 국면에 있다”며 다음 주 스톡홀름에서 중국 측 관료를 만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는 8월 12일 종료 예정인 양국 간 관세 휴전도 “연장될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무역 불확실성은 여전히 남아 있다. 지난주 트럼프 대통령이 150여 개국에 10~15% 추가 관세 예고 서한을 발송하겠다고 밝힌 데 이어, 8월 1일부로 EU·멕시코산 수입품에 30%, 캐나다 일부 품목에 3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선언했다.
경제 지표도 혼재됐다. 7월 리치먼드 연방준비은행 제조업지수는 ‑20으로 전월 대비 12p 하락하며 11개월 만의 최저치를 기록했다(시장 예상 ‑2). 이는 경기 둔화 우려를 자극했다.
이번 주 주요 일정※현지 시각
• 24일: 6월 기존주택판매(전월 대비 ‑0.7% 예상, 400만 건)
• 25일: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227,000건 예상), 7월 S&P 미국 제조업 PMI(52.5 예상), 6월 신규주택판매(+4.3% 예상, 65만 건)
• 26일: 6월 국방 제외 자본재 신규주문(+0.2% 예상)
연방기금선물 시장은 7월 29~30일 FOMC에서 25bp 인하 가능성을 5%로, 9월 16~17일 회의에서는 58%로 반영하고 있다.
실적시즌은 절정으로 향하고 있다. 이번 주 S&P500 기업의 5분의 1이 2분기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며, 24일 구글 모회사 알파벳(GOOGL)과 테슬라(TSLA)가 대형 기술주 중 가장 주목받는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현재까지 집계된 S&P500 2분기 EPS 증가율은 +3.2%로 어닝 시즌 이전 전망(+2.8%)을 상회하고 있다. 야데니리서치 자료에 따르면 11개 섹터 중 6개만 이익 증가가 예상돼 2023년 1분기 이후 가장 적다.
해외 증시는 유럽이 약세, 아시아가 혼조세였다. 유로 Stoxx 50 지수는 2주 최저치로 ‑0.98% 하락했고,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9.5개월 만의 고점으로 +0.62% 상승했다. 일본 닛케이225는 3주 고점에서 ‑0.11% 하락 마감했다.
채권시장에선 9월 만기 10년물 T-노트 선물(ZNU25)이 7틱 상승했다. 독일 10년물 국채금리는 2주 최저치(2.585%)로 ‑2.3bp, 영국 10년물 길트금리는 ‑3.4bp 하락했다. ECB 분기별 대출조사에 따르면 “금리 하락이 대출 수요를 지지했지만, 글로벌 불확실성과 무역 긴장이 수요를 제약했다”는 평가가 나왔다. 시장은 25bp 인하 가능성을 1%로 보고 있다.
용어 설명초심자용
• E-mini 선물: CME거래소에서 소액으로 거래할 수 있도록 축소 설계된 주가지수 선물.
• T-노트 수익률: 만기 2~10년 미 국채의 시장금리. 수익률 하락은 채권 가격 상승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주식에는 긍정적.
• bp: basis point(베이시스포인트)의 약자로 0.01%p를 뜻함.
종목별 변동
하락 종목: 로키드마틴(LMT)은 2분기 매출(181.6억 달러)이 예상(185.3억 달러)에 못 미치고 연간 EPS 전망을 21.70~22.00달러로 하향하면서 ‑10% 급락, S&P500 최하위였다. GM은 연간 조정 EBIT 전망치(100~113.7억 달러)가 시장 중앙값(113.7억 달러)을 밑돌아 ‑8%대 하락했다. 에퀴팩스(EFX), 필립모리스(PM), MSCI 등도 8% 넘게 내렸다.
상승 종목: 앞서 언급한 D.R. 호턴 외에, PulteGroup(PHM) +11%, Lennar(LEN)·Toll Brothers(TOL) +8%대 상승으로 주택 건설업종 랠리가 이어졌다. IQVIA(IQV)는 2분기 매출이 40.2억 달러로 예상(39.6억 달러)을 상회하며 +17% 급등, S&P500 최강세 종목이 됐다. Quest Diagnostics(DGX)와 부품유통업체 Genuine Parts(GPC)도 각각 +7% 이상 올랐다.
향후 실적 발표 일정(7월 23일)
알파벳(GOOGL), 앰페놀(APH), AT&T(T), 보스턴 사이언티픽(BSX), 치폴레(CMG), CME 그룹(CME), 크라운캐슬(CCI), CSX(CSX), 파이서브(FI), 프리포트맥모란(FCX), GE 버노바(GEV), 제너럴 다이내믹스(GD) 등 30여 개 대형·중형주가 대기 중이다.
※리치 애스플런드 기자는 본 기사 작성 시 언급된 종목에 대해 직접적·간접적 투자 포지션이 없다고 밝혔다. 본 기사는 정보 제공 목적이며, 투자 자문으로 간주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