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주 약세로 나스닥 하락…국채 금리 하락이 시장 전반 지지

미 증시가 22일(현지시간) 혼조세로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0.06% 상승했고,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0.40% 상승했다. 반면 나스닥 100 지수는 0.50% 하락하며 기술주, 특히 반도체주의 부진이 두드러졌다. 같은 날 9월물 E-미니 S&P500 선물은 0.01% 올랐고, 9월물 E-미니 나스닥 선물은 0.52% 밀렸다.

2025년 7월 23일, 나스닥닷컴(Nasdaq.com)의 보도에 따르면, 주택 건설업종과 방산업종이 강세를 견인했으나 반도체주 약세가 기술주 전반을 압박하며 지수 간 차별화가 뚜렷했다. 특히 D.R. 호턴(D.R. Horton)이 시장예상치를 웃도는 3분기 실적과 상향된 연간 매출 가이던스를 제시하면서 16% 급등했고, 노스럽 그러먼(Northrop Grumman)도 실적 가이던스 상향으로 9% 이상 뛰었다.

로렌 베센트 미 재무장관은 “현 시점에서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물러날 이유가 없으며, 미·중 무역관계는 매우 양호한 상태”라고 평가했다.

이러한 발언과 함께 10년 만기 미 국채수익률은 *1.5주 만에 최저인 4.34%(-4bp)까지 내려가 주식시장에 완충 역할을 했다.

무역 이슈와 경제지표가 뒤섞인 변동성

베센트 장관은 “오는 주 스톡홀름에서 중국 측과 만날 예정”이라며 8월 12일 만료 예정인 미·중 관세 휴전(truce) 연장을 시사했다. 그러나 지난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150개국 이상에 10~15% 관세 부과를 예고하고, EU·멕시코·캐나다에 대해 추가 관세(최대 35%)를 공표한 터라 시장은 여전히 경계감을 유지하고 있다.

미 동부시간 기준 22일 발표된 7월 리치먼드 연방준비은행 제조업지수는 -20으로 전월 대비 12포인트 급락, 11개월래 최저치를 기록했다. 시장전망치는 -2였다. 경기 둔화 우려가 재부각되면서 단기적으로는 금리 인하 기대가 살아났고, 이에 따라 연방기금선물은 7월 29~30일 FOMC에서 25bp 인하 확률 5%, 9월 회의에서 58%를 반영했다.

반도체주 하락이 나스닥을 압박했다. KLA(-4% 이상)를 비롯해 램리서치·ARM·마이크론·브로드컴이 3% 넘게 떨어졌고, 엔비디아와 아날로그디바이스·어플라이드 머티리얼즈도 2% 이상 밀렸다.

주요 종목·섹터 움직임

  • D.R. Horton 23,071채의 분기 신규계약, 가이던스 상향에 16% 급등. 같은 업종 PulteGroup 11%·Lennar, Toll Brothers 8% 이상 상승.
  • IQVIA 2분기 매출 40.2억 달러로 컨센서스 상회, 17% 급등.
  • 노스럽 그러먼 연간 조정 EPS 전망치를 25.00~25.40달러로 상향, 9% 상승.
  • 퀘스트 다이애그노스틱스 2분기 조정 EPS 2.62달러로 예상을 웃돌며 7% 상승.
  • 록히드 마틴 2분기 매출 부진과 연간 EPS 하향에 10% 급락.
  • 제너럴 모터스 연간 EBIT 가이던스 하향(100~113.7억 달러)으로 8% 하락.

국채 및 해외 시장 흐름

9월물 10년 만기 T-노트 선물은 7틱 상승하며 2주 반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고, 독일 10년물 분트 수익률도 2주래 최저(2.59%)로 내려갔다. ECB 분기 대출조사에 따르면 2분기 대출수요는 금리 하락에 힘입어 ‘소폭 순증’을 보였으나, 글로벌 불확실성과 무역긴장이 수요를 위축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주 주요 이벤트

• 23일(수) 6월 기존주택판매(전월 대비 -0.7% 전망)
• 24일(목) 주간 신규실업수당청구 22.7만 명 전망, 7월 S&P 미국 제조업 PMI 52.5로 소폭 둔화 예상, 6월 신규주택판매 65만 호(+4.3%) 기대
• 25일(금) 6월 항공기 제외 자본재 신규주문 전월 대비 0.2% 증가 예상

용어 설명

E-미니 선물은 S&P500, 나스닥100 등 주요 지수를 기초로 하는 소액(standard 대비 1/5 규모) 선물계약으로, 장 마감 후에도 가격 변동을 포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시장 방향성을 가늠하는 주요 지표다. T-노트는 만기 2~10년 사이의 미 재무부 채권을 통칭하며, 그 수익률 변동은 금리·경기 전망을 민감하게 반영한다. 리치먼드 연은 제조업지수는 미드-애틀랜틱 5개 주의 제조업 활동을 측정하는 월간 지표로, 지역 경기 체감을 파악하는 선행지표로 활용된다.

이번 주에는 구글 모회사 알파벳과 테슬라 등 빅테크 실적이 예정돼 있어 기술주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전체 S&P500 기업 중 5분의 1이 이번 주 2분기 실적을 발표하며, 블룸버그 인텔리전스는 S&P500의 2분기 EPS 성장률을 연초 예상치 2.8% → 3.2%로 상향 조정했다. 야데니 리서치는 11개 섹터 중 6개만이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며 ‘펀더멘털 선별’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본 기사는 원문 ‘Nasdaq Pressured by Chip Stocks, But Broad Market Supported by Lower T-note Yields’(2025년 7월 23일) 전제를 충실히 번역·재구성한 것이며, 저자의 개인 의견은 포함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