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 500 지수($SPX)는 -1.10% 하락했고,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DOWI)는 -0.68% 낮아졌으며, 나스닥 100 지수($IUXX)는 -1.55% 떨어졌다. 파생시장에서는 12월물 E-미니 S&P 선물(ESZ25)이 -1.05%, 12월물 E-미니 나스닥 선물(NQZ25)이 -1.50% 하락했다. 장 전반의 약세 흐름은 특히 반도체주와 메가캡(초대형) 기술주의 동반 약세가 주도했다.
2025년 11월 13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미 연방정부 재개방에 따른 낙관론은 이미 상당 부분 주가에 반영된 상태이며, 이날은 반도체 업종 약세와 이른바 ‘매그니피센트 세븐’으로 불리는 대형 기술주의 하락이 지수 전반을 압박하고 있다.
채권시장에서는 미 국채 10년물 수익률이 +3bp 상승한 4.10%까지 올라 주식의 상대 매력을 낮췄다. 연준 당국자들의 매파적(긴축적) 발언이 금리 인상(혹은 동결) 기대로 이어지며 다음달 FOMC에서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은 지난주 70%에서 53%로 낮아졌다. 전일 저녁 수전 콜린스 보스턴 연은 총재는 다음과 같이 밝혔다.
“이처럼 불확실성이 큰 환경에서 인플레이션과 고용의 위험을 균형 있게 관리하려면, 당분간 현 수준의 정책금리를 유지하는 것이 적절할 가능성이 크다.”
또한 베스 해먹 클리블랜드 연은 총재는 “경제 여건의 변화가 없는 한 추가 금리 인하를 지지하지 않는다”며 “지속적인 높은 인플레이션이 여전히 남아 있다”고 말했다.
정책·거시 측면에서는, 예고됐던 대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수요일 저녁 서명한 법안으로 미 역사상 최장 기간의 연방정부 폐쇄(셧다운)가 종료됐다. 해당 법안은 일부 부처에 대해 연간 예산을 배정하고, 다른 기관은 1월 30일까지 임시 자금을 지원한다. 또한 휴직 공무원에 대한 임금 지급을 포함하고, 셧다운 기간 중 중단됐던 연방정부의 주·지방정부 지급을 재개하며, 해고(휴직)됐던 기관 직원들의 복귀를 명시한다.
미 의회예산국(CBO)은 6주간의 정부 폐쇄가 당 분기 실질 GDP 성장률을 1.5%p 낮출 것으로 추정했다. 다만 CBO는 연방 프로그램 재개와 공무원들의 소급 임금 지급이 이뤄지면서 손실분의 절반 이상은 내년 초 회복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백악관은 수요일, 정부 폐쇄 여파로 10월 고용보고서와 소비자물가지수(CPI)의 당초 예정된 발표가 불가능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미 노동통계국(BLS)은 지연된 경제지표의 새로운 발표 일정을 담은 캘린더를 며칠 내에 공표할 것으로 예상된다.
파생시장에서 다음 FOMC(12월 9~10일) 회의에서 -25bp 추가 인하가 이뤄질 확률은 현재 53%로 가격에 반영돼 있다.
실적 시즌은 사실상 막바지다. S&P 500 편입 기업 중 456곳이 3분기 실적을 발표했으며, 블룸버그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82%의 기업이 시장 예상치를 상회, 2021년 이후 가장 높은 ‘어닝 서프라이즈’ 비율을 보였다. 3분기 순이익 증가율은 +14.6%로, 연간 기준(+7.2% y/y 예상)의 두 배 이상을 기록했다.
해외 증시는 엇갈렸다. 유로 스톡스 50은 장중 사상 최고치 경신 후 -0.38% 하락 마감했고,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10년래 최고치를 경신하며 +0.73% 상승했다. 일본 닛케이 225는 +0.43% 올랐다.
금리·채권
12월물 미 10년물 T-노트 선물(ZNZ5)은 -7.5틱 하락했고, 현물 10년물 금리는 +3.4bp 오른 4.104%를 기록했다. 정부 재개방으로 안전자산 수요가 약화된 데다, 연준 인사들의 매파 발언이 이어지며 T-노트 가격에 하방 압력을 가했다. 공급 측면에서도, 재무부가 30년 만기 T-본드 250억 달러 규모의 입찰을 진행해 이번 분기 1,250억 달러 규모의 분기별 환매입(리펀딩)을 마무리할 예정이어서 금리에 상방 압력이 유지됐다.
유럽 국채금리도 동반 상승했다. 독일 10년물 분트 금리는 1주 최저치(2.639%)에서 반등해 +3.9bp 오른 2.682%를 기록했다. 영국 10년물 길트는 +3.1bp 상승한 4.429%로 마감했다.
지표 측면에서, 유로존 9월 산업생산은 전월 대비 +0.2%로 컨센서스(+0.7% m/m)를 하회했다. 영국 9월 산업생산은 -2.0% m/m로 예상(-0.2% m/m)보다 큰 폭 감소하며 약 4년 반 내 최대 하락을 기록했다. 영국 3분기 GDP는 전분기 대비 +0.1%, 전년 대비 +1.3%로 예상(+0.2% q/q, +1.4% y/y)을 밑돌았다. 이와 관련, 스와프 시장은 ECB가 12월 18일 통화정책회의에서 -25bp 인하에 나설 확률을 3% 수준으로 반영 중이다.
미 증시 업종·종목 동향
반도체주 전반이 약세를 주도했다. ARM 홀딩스(ARM)가 -5% 초과, 브로드컴(AVGO)이 -4% 초과 하락했다. 인텔(INTC)과 램리서치(LRCX)는 -3% 초과, 마이크론(MU), 마벨테크놀로지(MRVL), 글로벌파운드리스(GFS),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AMAT), KLA(KLAC)는 -2% 초과 밀렸다. 또한 AMD, ASML, 아날로그디바이시스(ADI)도 -1% 초과 약세였다.
‘매그니피센트 세븐’ 대형 기술주 가운데 다수가 하락하며 시장 전반에 부담을 줬다. 테슬라(TSLA)가 -5% 초과, 엔비디아(NVDA)가 -3% 초과 하락했다. 알파벳(GOOGL)은 -2% 초과, 아마존(AMZN)은 -1% 초과 하락했고, 애플(AAPL)은 -0.39%, 마이크로소프트(MSFT)는 -0.15%로 상대적 방어를 보였다. 다만 메타 플랫폼스(META)는 +0.16%로 상승해 차별화를 보였다.
개별 종목으로는 아든트 헬스(ARDT)가 -34% 초과 급락했다. 회사는 연간 조정 EBITDA 가이던스를 5억3,000만~5억5,500만 달러로 하향(종전 5억7,500만~6억1,500만 달러)했는데, 이는 컨센서스 6억600만 달러를 크게 하회했다.
웹툰 엔터테인먼트(WBTN)는 4분기 매출을 3억3,000만~3억4,000만 달러로 제시해 컨센서스 3억8,230만 달러에 못 미치면서 -24% 초과 하락했다. 이보타(IBTA)도 4분기 매출 가이던스를 8,000만~8,500만 달러로 제시, 중간값 기준 컨센서스(8,420만 달러)를 하회해 -19% 초과 내렸다. 월트 디즈니(DIS)는 4분기 매출이 224.6억 달러로 컨센서스 228.3억 달러에 못 미치며 S&P 500과 다우 하락을 주도, -8% 초과 급락했다.
디로컬(DLO)은 3분기 조정 EBITDA 마진이 25%로 컨센서스(26.3%)를 하회해 -8% 초과 하락했다. 달러트리(DLTR)는 골드만삭스가 ‘매수→매도’로 더블 다운그레이드하고 목표주가 103달러를 제시하면서 -2% 초과 약세였다. 반면 딜라즈(DDS)는 3분기 EPS가 8.31달러로 컨센서스(6.26달러)를 크게 상회하며 +19% 초과 급등했다. 실드 에어(SEE)는 클레이튼 듀빌리에 & 라이스(CD&R)가 인수 가능성을 검토 중이라고 밝히면서 +18% 초과 급등했다. 파이어플라이 에어로스페이스(FLY)는 3분기 매출 3,080만 달러로 컨센서스(2,780만 달러)를 상회했고, 알파(Alpha) 로켓 발사를 2025년 말과 내년 초 사이 재개할 계획이라고 밝히며 +16% 초과 상승했다.
앨버말(ALB)은 미즈호가 목표주가를 92→110달러로 상향하며 S&P 500 상승 상위권(+6% 초과)에 올랐다. 시스코 시스템즈(CSCO)는 2026 회계연도 매출 전망을 602~610억 달러로 상향(종전 590~600억 달러)하고, 이는 컨센서스 596.4억 달러를 상회하면서 다우와 나스닥 100의 상승 상위권(+3% 초과)을 기록했다. 오토존(AZO)은 골드만삭스가 ‘중립→매수’로 상향하고 목표가 4,262달러를 제시해 +1% 초과 상승했고, 나이키(NKE)는 웰스파고가 ‘비중확대(Overweight)’로 상향하며 목표가 75달러를 제시, +1% 초과 상승했다.
실적 발표(11/13/2025):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AMAT), 글로반트(GLOB), NIQ 글로벌 인텔리전스(NIQ), NU 홀딩스(NU), 월트 디즈니(DIS).
기술적·맥락 설명
• E-미니 선물: CME에서 거래되는 지수 선물의 소형 계약으로, S&P 500(E-mini S&P)과 나스닥 100(E-mini Nasdaq) 등이 대표적이다. 현물 지수의 방향성을 장 개시 전 가늠하는 데 자주 활용된다.
• T-노트(미 국채)와 bp(베이시스 포인트): 1bp는 0.01%포인트를 뜻한다. 예컨대 10년물 금리가 +3bp 오르면 4.07%에서 4.10%가 되는 식이다. 장기금리 상승은 성장주의 밸류에이션(현재가치 할인율 상승)에 부담 요인이 되는 경향이 있다.
• 매그니피센트 세븐: 애플·마이크로소프트·알파벳·아마존·엔비디아·메타·테슬라를 지칭하는 표현이다. 이들 주가의 변동은 시가총액 비중 탓에 지수 전체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 분기별 리펀딩: 미 재무부가 분기마다 실시하는 국채 발행(환매·차환 포함) 일정으로, 공급 확대는 일반적으로 채권가격 하락·금리 상승 요인으로 작용한다.
기자 해설
해석: 이날은 금리 반등과 반도체·초대형 기술주 약세가 결합해 ‘멀티플(평가배수) 디레이팅’ 압력을 가중한 전형적 세션이었다. 특히 10년물 금리가 4.10%대 초반으로 상승한 가운데, 연준 인사들의 ‘당분간 동결’ 시그널은 단기적으로 12월 금리 인하 기대를 일부 되돌렸다. 동시에, 정부 재개방 이슈는 이미 가격에 반영돼 재료 소멸 구간으로 접어든 모습이다.
업종별로는 반도체 밸류체인 전반의 동반 약세가 두드러졌다. 이는 고금리 환경에서 자본집약적 성장 섹터가 상대적 조정 압력을 받기 쉬운 구조와 맞닿아 있다. 한편, 실적 시즌 말미까지 집계된 수치에서 어닝 서프라이즈 비율 82%, 3분기 이익 +14.6% y/y는 기업 체력의 저변이 여전히 견조함을 시사한다. 그럼에도 지수 단위에서는 금리·유동성 변수가 멀티플에 미치는 영향이 커 팩터(성장/가치) 로테이션과 대형·중소형 간 수익률 분화가 동반될 소지가 있다.
국제적으로는 유로존·영국의 부진한 실물 지표에도 불구하고 국채금리가 동반 상승했다는 점이 눈에 띈다. 이는 공급 요인과 글로벌 정책금리 고점 지속 서사가 아직 유효함을 보여준다. 종합하면, 단기 변동성은 미국 10년물 금리 방향과 ‘매그니피센트 세븐’의 베타에 연동될 공산이 크며, 이벤트 측면에서는 BLS의 지연 지표 일정, 재무부 입찰 수급, 연준 발언이 연쇄적으로 리스크 프리미엄을 조정할 것으로 판단된다.
면책 및 출처
본 기사에 인용된 모든 수치·인용문은 원문 기사에 근거한다. 본문 말미에 따르면, 게재일 기준 Rich Asplund는 기사에 언급된 어떤 종목에도 직접적 또는 간접적 보유 포지션이 없었다. 본 기사 정보는 정보 제공 목적이며, 나스닥(Nasdaq), Inc.의 공식 입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Barchart의 공시 정책을 참조하도록 안내되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