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자 자문 면책 조항
본 기사는 교육적 목적의 정보 제공을 위한 것으로 머니(Money)가 소개한 어떤 투자 자문사도 고객으로 두고 있지 않다. 기사는 투자 조언을 목적으로 작성되지 않았으며, 머니는 투자 자문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다.
2025년 7월 22일, 머니닷컴 보도에 따르면, 밈코인은 극단적인 수익 가능성과 그에 상응하는 손실 위험을 동시에 내포한 대안 자산군이다. 전통적 펀더멘털 분석이나 기술적 분석으로는 설명이 어려운 급등·급락이 빈번하다는 점이 특징이다.
밈코인은 행운을 거머쥔 투자자를 단숨에 백만장자로 만들 수도 있지만, 프로젝트 팀의 ‘러그풀(rug pull)’*계약 소유자가 유동성을 회수하고 잠적하는 사기 행위 이후 투자 계좌를 고스란히 깎아내릴 위험 역시 존재한다. 최근 사례로는 미국 제45대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를 모티브로 한 ‘오피셜 트럼프(티커: TRUMP)’ 토큰이 있다.
코인마켓캡 자료에 따르면 TRUMP 토큰은 2025년 1월 18일 12.05달러였으나, 1월 19일 — 트럼프 대통령 취임식을 단 하루 앞둔 시점 — 516% 급등하며 역대 최고가 74.27달러를 기록했다. 그러나 1월 21일에는 33.41달러로 반 토막이 났고, 현재(기사 작성 시점)는 10.85달러로 최고가 대비 85.39% 하락해 있다.
가상자산 시장 전반이 규제 공백, 낮은 유동성, 투기적 성격으로 인해 높은 변동성을 보이는 것은 흔한 일이지만, 밈코인 시장의 변동성은 비트코인(BTC)이나 이더리움(ETH) 등 대형 자산 대비 훨씬 증폭된다. 이런 특성을 감안할 때, 고위험‧고수익 전략을 지향하는 투자자라면 밈코인 지형을 면밀히 파악해야 한다.
밈코인이란 무엇인가?
‘밈(meme)’이라는 이름처럼, 밈코인은 인터넷에서 유행하는 이미지·유머·문화 코드를 차용해 탄생한다. 대표 사례로 페페(PEPE), 시바이누(SHIB), 도지코인(DOGE) 등이 있다. 대부분 이더리움, 솔라나 등 주요 블록체인 위에서 발행되는 ERC-20 또는 SPL 토큰 형태다.
밈코인의 가격은 튼튼한 기술력보다는 온라인 커뮤니티의 열성적인 지지와 소셜 미디어 ‘밈’ 확산이 좌우하는 경우가 많다. 2013년, ‘암호화폐 생태계를 풍자하려는 목적’으로 시작된 DOGE는 일론 머스크의 SNS 지지 발언을 거치며 현재 시가총액 약 260억 달러로 전체 밈코인 1위를 차지한다.
그러나 시총 규모가 반드시 수익률을 보장하지는 않는다. 실례로 SPX6900(SPX)은 DOGE 시총의 26분의 1 수준임에도 최근 1년간 8,302%라는 압도적 수익률을 기록했다.
밈코인을 일찍 찾는 법
이미 주류가 된 밈코인을 쫓기보다, 런치패드, 프리세일, 소셜 미디어 트렌드를 활용해 ‘숨은 알토큰’을 발굴하는 전략이 유효하다.
런치패드(Launchpad)는 프로젝트가 자금을 모으기 위해 초기 토큰을 판매하는 플랫폼이다. 예컨대 베스트월렛(Best Wallet)은 비수탁(Non-custodial) 지갑이자 자체 심사 프로젝트를 소개하는 런치패드 기능을 제공한다.
프리세일(Pre-sale)은 거래소 상장 전 토큰을 할인 가격에 확보할 기회를 말한다. 코인런치(CoinLaunch)와 같은 집계 사이트는 신규 토큰을 분석·평가해 투자 참고 자료를 제공하고, 코인게코(CoinGecko) ‘24시간 상승률’ 페이지는 단기간 강세 토큰을 한눈에 보여준다.
소셜 미디어 역시 핵심 정보원이다. Reddit의 r/CryptoMoonShots, r/memecoins 포럼은 저시총 밈코인 토론이 활발하며, X(옛 트위터)에서 활동하는 밈코인 인플루언서 계정을 팔로우하면 유망 프로젝트를 빠르게 접할 수 있다.
밈코인 구매처는 어디인가?
메이저 거래소 상장 전 물량을 확보하려면 핫월렛(Hot Wallet) 또는 콜드월렛(Cold Wallet)이 필수다. 핫월렛은 소프트웨어·웹 기반으로, 네트워크에 상시 연결돼 있어 편리하지만 해킹 리스크가 존재한다. 콜드월렛은 물리적 하드웨어로 인터넷과 분리 운영돼 보안성이 높다.
베스트월렛은 60개 블록체인, 1,000여 종 토큰을 지원하며 KYC(고객확인의무) 절차가 없고 익명성이 뛰어나다. 반면, 머니 선정 ‘초보자용 최우수 하드월렛’인 트레저(Trezor)는 USB 형태 장치로 오프라인 보관이 가능하다.
“밈코인이 대형 거래소에 상장될 때쯤이면 가장 큰 상승 구간은 이미 지나갔을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장기적으로 큰 수익을 노린다면, 상장 이전 단계에서 리스크를 감수하고 접근할 필요가 있다.
용어 설명 및 기자 견해
※ 블록체인은 거래 내역을 분산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로, 투명성과 변경 불가성이 높은 것이 특징이다. 런치패드는 일종의 ‘가상자산 크라우드펀딩’ 플랫폼이며, 러그풀은 개발진이 자금을 들고 사라지는 사기 수법을 뜻한다.
기자는 밈코인 시장을 ‘하이리스크·하이리턴’ 구조의 극단적 변동성 실험장으로 평가한다. 개인 투자자는 1) 프로젝트 개발진의 신원 및 커뮤니티 활동 근거 확인, 2) 지갑 보안 강화, 3) 투자 원금 대비 익절·손절 기준 설정과 같은 기본 수칙을 지켜야 잠재적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 2025 Money Group, LLC.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본 기사는 어필리에이트 링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링크를 통해 머니가 수수료를 받을 수 있다. 기사 내용은 필자의 견해이며, 제3자 기관의 검토·승인·보증을 받은 바 없다. 제공 조건은 사전 예고 없이 변경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