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밀 선물시장이 주간 마감에서 혼조로 끝났다. 특히 겨울밀이 상대적으로 강세를 보였다. 시카고 상품거래소(CBOT)의 연질적색겨울밀(SRW) 선물은 3~5센트 상승하며 거래를 마감했으나, 3월물은 주간 기준 10센트 하락했다. 캔자스시티(KCBT)의 경질적색겨울밀(HRW) 선물도 장중 1~2센트 상승으로 마감했지만, 3월물은 전주 금요일 대비 12센트 하락했다. 반면 미니애폴리스(MGEX)의 봄밀 선물은 1~2센트 하락했으며, 3월물은 주간으로 13/4센트 내렸다. 이날 3월물 옵션이 만기를 맞았다.
2025년 11월 23일(일) 05:24:30(UTC), 바차트(Barchart)의 보도에 따르면, CFTC(미 상품선물거래위원회) 자료는 2월 18일로 끝나는 주간 동안 시카고 밀 선물에서의 매니지드 머니(기관·헤지펀드 등) 쇼트 커버링이 이어졌음을 보여준다. 해당 주간 동안 시카고 밀의 순공매도(net short) 규모는 21,232계약 감소해 61,577계약으로 축소됐다. KC 밀에서도 같은 기간 8,158계약의 순공매도 포지션이 환원돼, 화요일 기준 22,090계약으로 집계됐다.
핵심 수급 포지션
• 시카고 밀 순공매도: 61,577계약(주간 −21,232)
• KC 밀 순공매도: 22,090계약(주간 −8,158)
금요일 오전 발표된 수출 판매(Export Sales) 보고서에 따르면, 2월 13일로 끝나는 주간의 밀 전체 선적계약(booking)은 532,674톤(MT)이었다. 이는 전주 대비 6.48% 감소였지만, 2024년 같은 주간 대비 128.11% 증가했다. 국가별로는 멕시코 147,300톤, 일본 69,900톤이 주요 구매자로 집계됐다. 누적 수출커밋(선적 약정)은 현재 미 농무부(USDA) 전망치의 86%에 해당하는 1,987만4,000톤(MMT 19.874)으로, 평균 판매 진척률 94%와 비교하면 다소 느린 흐름이다. 신곡물(new crop) 판매는 시장 예상치(0~5만 톤)를 넘어 98,500톤으로, 마케팅 이어(MY) 최고치를 기록했다.
재배면적 전망도 주목된다. 다음 주 USDA 전망 포럼(Outlook Forum)을 앞두고, 블룸버그의 애널리스트 설문 결과 미국 밀 파종 면적은 총 4,670만 에이커로 추정됐다. 응답 범위는 4,550만~4,790만 에이커였다.
종목별 종가(미 달러/부셸)
• Mar 25 CBOT Wheat [링크] $5.90, 전일 대비 +41/2센트.
• May 25 CBOT Wheat [링크] $6.04, 전일 대비 +33/4센트.
• Mar 25 KCBT Wheat [링크] $6.091/4, 전일 대비 +13/4센트.
• May 25 KCBT Wheat [링크] $6.213/4, 전일 대비 +13/4센트.
• Mar 25 MGEX Wheat [링크] $6.313/4, 전일 대비 −1센트.
• May 25 MGEX Wheat [링크] $6.461/2, 전일 대비 −11/4센트.
공시: 기사 작성일 기준, Austin Schroeder는 본 기사에서 언급된 어떠한 종목에도(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포지션을 보유하지 않았다. 본 기사에 포함된 모든 정보와 데이터는 정보 제공 목적이다. 관련 바차트 공시 정책(Barchart Disclosure Policy)을 참고할 수 있다.
More news from Barchart
• Where are Wheat Prices Heading in the 2025 Crop Year? [링크]
• Grains and Oilseeds in Q4 and 2024- Where are they Heading in 2025? [링크]
• Do Grains and Oilseed Futures Offer Value for 2025? [링크]
• Do We Have to Wait Until Next Year for a Recovery in Wheat? [링크]
본 기사에 담긴 견해와 의견은 작성자의 것이며, Nasdaq, Inc.의 공식 입장을 반영하지 않을 수 있다.
용어 설명
• SRW(연질적색겨울밀)와 HRW(경질적색겨울밀): 미국 산지에서 구분되는 겨울밀 품종으로, 단백질 함량과 용도(제빵·제과 등)가 다르다. 일반적으로 HRW는 단백질이 높아 빵용에 선호된다.
• CBOT·KCBT·MGEX: 각각 시카고, 캔자스시티, 미니애폴리스의 선물 거래소를 뜻한다. CBOT는 주로 SRW, KCBT는 HRW, MGEX는 봄밀 선물의 대표 거래소다.
• 매니지드 머니(managed money): 헤지펀드 등 전문 운용사가 집행하는 투기성 자금으로, CFTC의 주간 포지션 보고서에서 동향을 확인할 수 있다.
• 순공매도(net short): 매도(숏) 포지션이 매수(롱) 포지션보다 많은 상태를 의미한다. 숏 커버링은 기존 매도 포지션을 되사며 줄이는 행위를 뜻한다.
• 옵션 만기: 특정 월물의 옵션이 소멸되는 시점으로, 현물·선물 가격에 단기적인 변동성 확대를 유발할 수 있다.
• 수출커밋(Export Commitments): 누적 선적·선적대기 물량을 포함한 약정 규모다. 본문에서 언급한 USDA 전망치 대비 86%는 연간 목표치에 대한 진척도를 뜻한다.
• MT·MMT: MT는 미터톤(톤), MMT는 백만 톤(million metric tons)이다.
시장 해설(전문적 통찰)
첫째, 겨울밀 강세·봄밀 약세의 혼조는 지역·품종별 수급 차이와 더불어 옵션 만기에 따른 포지션 조정의 영향이 복합적으로 작용했을 가능성이 있다. 특히 숏 커버링이 확인된 시카고 밀에서 가격 하방 압력이 완화되며 단기 반등폭이 상대적으로 커졌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둘째, 수출 판매는 전주 대비 소폭 둔화됐으나 전년 동기 대비 큰 폭 증가가 유지됐다. 다만 누적 커밋이 USDA 전망치의 86%로 평균 진척률 94%에 못 미치는 점은, 연간 목표 대비 속도 조절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그럼에도 신곡물 판매가 연중 최고치를 경신했다는 사실은 선도 수요가 완전히 꺾이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셋째, 파종 면적에 대한 사전 기대치(4,670만 에이커)는 시장이 향후 공급 변수를 가늠하는 데 중요한 기준선이 된다. 범위(4,550만~4,790만 에이커) 상·하단 모두가 열려 있어, 공식 전망 발표 전까지는 가격이 헤지·차익실현·재포지셔닝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다.
요약하면, 숏 커버링 확대와 옵션 만기가 단기 가격을 지지하는 가운데, 수출 진척률과 파종 면적 기대가 중기 방향성의 핵심 변수로 부각되고 있다. 투자자와 곡물 수요·공급 주체는 CFTC 포지션, 주간 수출 동향, USDA 전망 이벤트를 주시하며 위험관리 전략을 점검할 필요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