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카고 상품거래소(CBOT)를 비롯한 미국 주요 선물시장에서 밀 가격이 4일(현지시간) 약세 속에 혼조세로 마감했다. 특히 캔자스시티(KC) 경질 적색 겨울밀(HRW) 계약이 비교적 큰 폭으로 밀려나며 전체 단기 추세에 부담이 가중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2025년 10월 4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이날 CBOT 연질 적색 겨울밀(SRW) 12월물은 주간 기준 4센트 ½ 하락하며 보합권이 깨졌다. KC HRW 12월물은 전주 대비 8센트 ½ 떨어졌고, 미니애폴리스(MGEX) 봄밀 12월물 역시 주간 기준 8센트 내렸다.
하락 배경으로는 미국 중서부 기상 여건 개선과 글로벌 공급 우려 완화가 지목된다. 미국 농무부(USDA)가 발표한 주간 수출 판매 동향에서 특이 사항이 없었던 점도 매수세 유입을 제한했다.
가격 현황CBOT·KCBT·MGEX는 각각 시카고·캔자스시티·미니애폴리스를 본거지로 둔 선물거래소다.
• CBOT 2025년 12월물: 5.15달러 ¼(부셸당), 전일 대비 0.5센트 상승
• CBOT 2026년 3월물: 5.32달러 ½, 변동 없음
• KCBT 2025년 12월물: 4.97달러, 2센트 하락
• KCBT 2026년 3월물: 5.18달러 ½, 1.5센트 하락
• MGEX 2025년 12월물: 5.60달러 ¾, 0.75센트 하락
• MGEX 2026년 3월물: 5.80달러 ½, 0.75센트 하락
겨울밀 파종 지연 가능성
중서부 북부 캔자스주 일대에 향후 일주일간 1~2인치(25~50㎜)의 비가 예보되면서 겨울밀 파종 일정이 지연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현지 농가들은 토양 수분이 이미 포화 상태에 근접한 만큼, 추가 강수는 작업 일정을 이월시킬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지속적인 강우가 이어질 경우 파종 적기를 놓칠 우려가 있다”는 지역 농업 컨설턴트들의 경고가 잇따르고 있다.
통상 미국의 겨울밀 파종은 9월 중순~10월 초 ‘콜드 벨트’ 서리가 내리기 전까지 마무리돼야 발아가 안정적으로 이뤄진다. 일정이 지연되면 수확량 감소 위험이 커지므로, 이번 강수 전망을 투자자들이 예의주시하는 배경이다.
국제 수급 동향
대만 제분협회는 전날 밤 미국산 밀 80,550톤을 싱가포르 공개입찰을 통해 구매했다. 계약 품종은 주로 HRW와 SRW 혼합으로, 선적 시기는 11월 말~12월 초로 알려졌다. 이번 낙찰은 북아시아 지역의 꾸준한 미국산 선호도를 재확인해 준 사례라는 평가다.
한편 부에노스아이레스 곡물거래소(BAGE)는 아르헨티나 2025/26년산 밀 생육 상태를 ‘양호/우수’(good/excellent) 등급 93%로 상향 조정했다. 전주 대비 4%p 개선된 수준으로, 총 생산량 추정치는 2,200만 톤(22 MMT)으로 유지했다. 이는 남미 공급 불안 우려를 다소 완화시키는 요소로 작용했다.
용어 설명
• SRW(Soft Red Winter): 겨울철에 파종·발아해 이듬해 여름에 수확하는 부드러운 적색 겨울밀.
• HRW(Hard Red Winter): 글루텐 함량이 높아 제빵용으로 쓰이는 경질 적색 겨울밀.
• 봄밀(Spring Wheat): 봄철에 파종 후 가을 전 수확하는 품종으로, 단백질과 강력분 함량이 높다.
이처럼 품종에 따라 단백질·글루텐·수확시기 등이 다르기 때문에 선물가격 차이(스프레드)가 발생한다. 투자자는 각기 다른 수요·공급 전망을 고려해 종목별 포지션을 조절한다.
전문가 관전 포인트
전문가들은 CBOT 12월물 5달러 선이 기술적 지지선이라는 점에 주목한다. 만약 북반구 생산 전망이 추가로 호전될 경우 해당 지지선이 붕괴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반대로 미국 남평원 가뭄 재발 또는 흑해 수출 차질 등이 맞물릴 경우 단기 랠리도 가능하다는 의견이다.
또한 최근 달러 강세가 국제 곡물 가격을 압박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달러 지수가 107선을 상회할 경우, 비(非)미국 통화 바이어들의 구매력이 약화돼 수출 계약이 느려질 수 있다는 설명이다.
투자자 유의 사항
선물시장은 레버리지(차입) 구조가 크기 때문에 가격 변동성이 실물시장보다 확대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밀, 옥수수, 콩 등 곡물 계약에 진입할 때는 위험관리 전략이 필수적이다. 특히 기상·정책·환율 변동 등 복합 요인이 실시간으로 가격을 결정한다는 점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
“가격 급등락이 빈번한 구간에선 손절·익절 라인을 미리 설정해야 예기치 않은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는 브로커들의 조언이 이어진다.
On the date of publication, Austin Schroeder는 본 기사가 언급한 어떤 증권에도(직·간접적으로) 포지션을 보유하고 있지 않았다고 밝혔다. 본 문서의 모든 정보와 데이터는 오로지 정보 제공 목적이며, 투자 자문으로 간주될 수 없다. 보다 상세한 내용은 바차트 공시정책(Disclosure Policy)을 참고하면 된다.
The views and opinions expressed herein are the views and opinions of the author and do not necessarily reflect those of Nasdaq, Inc.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