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방거래위원회, 티켓 전쟁의 핵심으로 떠오르다
리우터 통신에 따르면, 미국 연방거래위원회(FTC)가 라이브네이션 엔터테인먼트(Live Nation Entertainment Inc.)의 자회사 티켓마스터(Ticketmaster)가 불법 리셀(재판매) 봇(bot)을 충분히 차단하고 있는지 여부를 두고 심층 조사를 벌이고 있다.
2025년 9월 15일, 로이터 보도에 따르면 이번 조사는 “Better Online Ticket Sales Act”(통칭 BOTS법) 준수 여부가 핵심이며, 2016년 제정된 이 법은 소프트웨어 봇·자동화 기술로 구매 제한을 우회해 표를 사들이는 행위를 엄격히 금지한다.
복수의 익명 소식통에 따르면, FTC는 티켓마스터가 자체 플랫폼에서 설정한 1인당 구매 한도를 고의로 무력화하도록 묵인했는지, 더 나아가 리셀러들의 대량 구매로 인한 수수료 수익에 재정적 이익을 기대했는지 여부를 면밀히 들여다보고 있다.
‘결정 임박’…소송이냐 합의냐
이번 조사 단계는 이미 “매우 진전된 상태”로 알려졌으며, 향후 수 주 안에 소송 제기 여부가 확정될 가능성이 있다. 블룸버그 통신은 합의(settlement)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전했다.
만약 FTC가 정식 소송을 제기해 라이브네이션이 패소할 경우, 건당 최대 5만3,000달러에 달하는 BOTS법 위반 벌금이 적용돼 ‘수십억 달러’ 규모 징벌적 제재로 이어질 수 있다.
조사의 역사적 맥락
이번 감시 강화는 전 FTC 위원장 리나 칸(Lina Khan) 시대에 불이 붙었으며, 트럼프 행정부 시기 더욱 가속화됐다. 2022년 테일러 스위프트 ‘Eras 투어’ 표 판매 혼란 사태를 계기로 여론이 급격히 악화되면서, FTC 내부 조사 역시 ‘총구가 닿을 거리’까지 다가섰다는 평가다.
또한 2025년 5월,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팬을 약탈적 티켓 암표 행위로부터 보호하겠다”는 행정명령에 서명하며 라이브 엔터테인먼트 산업 개혁을 촉구했다. 이는 의회가 아닌 행정명령 차원의 조처였으나, FTC·법무부가 향후 규제 도구로 삼을 근거 중 하나로 거론된다.
독점 논란·다중 전선에 직면한 라이브네이션
한편, 미 법무부(DoJ)와 주(州) 검찰총장들도 지난해 라이브네이션 및 티켓마스터를 상대로 라이브 콘서트 시장 독점 행위 혐의로 반독점 소송을 제기했다. 이는 아티스트·팬·경쟁사 모두에게 피해를 끼쳤다는 취지다.
올 8월 FTC는 별도로 티켓 리셀러 ‘Key Investment Group’을 고소했다. 해당 업체는 스위프트 ‘Eras 투어’를 포함해 수천 장의 티켓을 자동 구매 프로그램으로 확보한 뒤 고가에 판매한 혐의를 받고 있다.
BOTS법이란 무엇인가
BOTS법은 2016년 미국 의회가 통과시킨 ‘Better Online Ticket Sales Act’의 약칭이다. 본 법은 온라인 티켓 판매 시 특정 프로그램·자동화 도구·스크립트를 사용해 공인 판매처가 설정한 구매 한도를 우회하거나, 매진을 유도해 가격을 폭등시키는 행위를 연방 범죄로 규정한다. 위반 시 건당 최대 5만3,000달러의 벌금이 부과된다.
티켓마스터는 세계 최대 콘서트·스포츠 이벤트 티켓 플랫폼으로, 판매 수수료와 리셀 수수료를 동시에 취득하는 구조 탓에 ‘자기 이익과 공정성 사이의 충돌’이라는 비판이 사그라들지 않았다.
시장과 투자자 관점의 시사점
월가 애널리스트들은 라이브네이션이 FTC·DoJ 이중 압박을 받는 희귀 사례라며, 규제 리스크 프리미엄을 할인 요소로 반영하고 있다. 만약 수십억 달러 규모의 과징금이 현실화될 경우, 기업 순이익 감소·주가 변동성 확대가 예상된다.
콘서트 수요가 팬데믹 이후 폭발적으로 회복된 가운데, 규제기관의 움직임은 티켓 생태계 전반—1차 판매, 2차 거래, 결제 시스템, 팬 경험—에 걸쳐 지각 변동을 일으킬 수 있다.
향후 일정 및 관전 포인트
1) FTC의 최종 결정이 몇 주 안에 나올지, 2) 소송·합의 중 어떤 선택이 이뤄질지, 3) 법무부 반독점 소송과의 시너지 또는 중복 여부가 핵심 주목 포인트다.
티켓마스터 측은 로이터 문의에 “즉각적 답변 불가” 입장을 밝혔고, FTC 역시 “조사 중인 사안”이라며 언급을 자제했다.
정리
결국 이번 조사는 팬 보호·시장 공정성·플랫폼 책임이라는 세 가지 키워드가 맞물린 사건이다. 국내외 투자자, 음악·스포츠 업계 관계자, 그리고 일반 소비자 모두 FTC의 칼끝이 어디로 향할지 예의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