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하원의 민주당 의원 77명이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에 항공사 책임으로 발생한 항공편 지연에 대한 현금 보상 제도를 즉각 복원하라고 촉구했다.
2025년 9월 17일, 인베스팅닷컴(Investing.com) 보도에 따르면, 민주당 그레그 스탠턴(Greg Stanton)·릭 라슨(Rick Larsen) 의원이 주도한 이번 서한에는 총 77명의 하원의원이 서명했다. 이들은 트럼프 행정부가 지난 9월 4일 미 교통부(USDOT)를 통해 조 바이든 전 행정부가 추진한 ‘항공 지연 현금 보상 규정’ 철회를 공식화한 데 대해 강한 유감을 표명했다.
“승객 보호 장치를 폐기할 것이 아니라, 고객 비용을 줄이고 하늘길의 안전을 강화할 초당적 해법에 집중해야 한다. 이번 결정은 소비자 보호를 훼손하고 여행 비용만 높일 것”
라고 의원들은 지적했다.
바이든 행정부 시절인 2024년 12월, USDOT는 항공사가 자체 책임으로 지연·결항을 일으킬 경우 $200~$775를 승객에게 현금으로 지급하도록 의무화하는 규정을 예고하고 의견을 수렴한 바 있다. 그러나 미 주요 항공사들은 “과도한 규제”라며 거세게 반발했다.
트럼프 행정부에서 교통부를 이끄는 숀 더피(Sean Duffy) 장관 대변인은 “끝없는 지연을 해소하는 최선의 방법은 노후화된 항공관제 시스템을 개혁하는 것”이라며, 이전 행정부의 정책 추진 방식을 비판했다. USDOT는 “의회가 부여한 소비자 보호 의무를 이행하면서도, 과도한 규제가 항공권 가격 상승을 초래하지 않도록 균형을 맞추겠다”고 재차 강조했다.
현행 미국·유럽 보상 제도 비교
현재 미국에서는 항공편이 완전히 취소될 경우, 승객이 여행을 포기하면 운임 환불을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지연에 따른 현금 보상 의무는 없다. 반면 유럽연합(EU), 캐나다, 브라질, 영국 등은 일정 기준 이상의 지연 시 항공사가 승객에게 현금 또는 정액 보상을 지급하도록 법으로 규정하고 있다.
항공사 업계 반응
미국 주요 항공사를 대변하는 업계 단체 Airlines for America(A4A)는 “항공사의 비즈니스 모델은 재구매 의사를 가진 만족한 고객에 기반한다”며, “극도의 경쟁 환경 속에서 서비스 품질을 높이기 위한 추가 인센티브는 필요하지 않다”고 주장했다.
이에 앞서 미 대형 항공사들은 2022년 자체적으로 ‘식사·호텔 숙박 등 부대비용’을 보전하겠다는 자율 규정을 발표했지만, 현금 지급과 같이 즉시 체감할 수 있는 법적 장치는 여전히 부재하다.
용어 설명
USDOT(United State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은 미국의 교통 정책·규제를 총괄하는 연방 행정기관이다. 항공뿐 아니라 도로·철도·해양 교통까지 포괄하며, 항공 안전과 소비자 보호는 산하 연방항공청(FAA)과 협력해 집행한다.
‘항공관제(Air Traffic Control)’는 항공기의 이륙·착륙·비행 경로를 실시간 관리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업계에서는 관제 설비 노후화와 인력 부족이 지연 사태의 구조적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전망 및 전문가 시각
업계 전문가들은 “현금 보상 의무가 도입될 경우, 항공사의 서비스 품질 개선과 운영 효율화가 가속화될 것”으로 본다. 다만 규제 비용이 항공권 가격 인상으로 전가되면, 소비자 편익이 상쇄될 가능성도 경고한다. 한편 정치권에서는 내년 대선을 앞두고 소비자 보호 이슈가 부상하면서, 관련 입법 논의가 더욱 격화될 전망이다.
※ 편집자 시각(객관적 사실에 기반한 분석)
항공 지연 보상 규정은 승객 권익과 항공사 비용 부담 간의 미묘한 균형을 요구한다. 유럽형 모델을 단순 차용할 경우, 미 항공 시장의 가격 경쟁 구조와 충돌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반대로 규제 공백이 장기화되면, 코로나19 이후 급증한 항공 수요를 수용하기 위한 항공 인프라 투자 또한 지체될 수 있다. 결국 정책 당국은 ‘보상 규정’과 ‘시스템 개선’이라는 두 축을 어떻게 조율하느냐에 따라 소비자 만족도와 산업 경쟁력의 향배가 갈릴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