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증시, 정부 재가동 기대감에 대체로 상승 마감…다우 1.5주 최고, 나스닥 100은 약세

미 증시가 정부 셧다운 해소 기대감에 힘입어 대체로 상승 마감했다. S&P 500 지수($SPX)는 +0.21% 상승해 1주래 최고치를 기록했고,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DOWI)는 +1.18% 올라 1.5주 만의 고점을 경신했다. 반면 나스닥 100 지수($IUXX)-0.31% 하락했다. 파생시장에서 12월 E-미니 S&P 선물(ESZ25)은 +0.26% 상승했고, 12월 E-미니 나스닥 선물(NQZ25)은 -0.23% 하락했다.

2025년 11월 12일, 바차트(Barchart)의 보도에 따르면, 미 상원이 전날(월) 임시 재정지출안(Continuing Resolution, CR)을 찬성 60 대 반대 40으로 통과시키면서 연방정부 셧다운 종료 기대가 커졌고 이 기대가 주가를 밀어 올렸다. 하원은 수요일 표결을 예고했으며, 마이크 존슨 하원의장은 신속한 통과를 전망했다. 법안이 통과되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게 송부되며, 트럼프 대통령은 서명 의사를 밝혔다고 전했다. 한편 재향군인의 날(Veterans Day)로 현물 국채시장이 휴장해 이날 주식시장의 거래량은 평균을 하회했을 가능성이 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100은 AI 인프라 및 반도체 약세로 압박을 받았다. 코어웨이브(CoreWeave)는 데이터센터 지연으로 4분기 실적 전망이 악화될 것이라고 밝힌 뒤 -16% 넘게 급락했다. 또한 소프트뱅크 그룹58억 3천만 달러 규모의 엔비디아 지분을 전부 매도했다는 소식에 엔비디아(Nvidia)-2%대 하락 마감했다.

주목

거시지표는 위험자산에 혼조 요인으로 작용했다. ADP의 주간 집계에 따르면, 10월 25일로 끝나는 4주 동안 미국 민간 고용주는 주당 평균 11,250개의 일자리를 순감축(채용보다 해고가 많음)한 것으로 나타나 노동시장의 약화를 시사했다. 또한 10월 NFIB 중소기업 낙관지수-0.6포인트 하락한 98.2로 6개월래 최저치를 기록, 기대치(98.3)에 못 미쳤다.

정책 프런트에서는 상원 민주당 의원 8명이 공화당과 함께 표를 던지며 정부 재가동 법안의 절차적 진전을 도왔다. 해당 법안은 일부 부처에 대해 회계연도 전 기간(full-year) 자금을 제공하고, 다른 기관들은 1월 30일까지 임시 자금으로 운영하도록 하며, 무급휴직(furlough)을 당한 연방 공무원들에게 임금을 지급하도록 한다. 아울러 주·지방정부에 대한 연방 지급을 재개하고, 셧다운 기간에 해고·휴직됐던 기관 인력 복귀를 포함한다.

금리 기대에서는 연준(Fed)의 다음 회의(12월 9~10일)에서 -25bp(0.25%포인트) 추가 인하가 이뤄질 확률을 67%로 시장이 반영하고 있다. 이는 노동시장·중소기업 심리 둔화 등 완화적(dovish) 요인이 부각된 결과로 풀이된다.

기업 실적 측면에서 S&P 500 구성 종목 중 456개사가 3분기 실적을 발표했으며, 82%시장 예상치를 상회했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3분기 이익은 전년 대비 +14.6% 증가해 기존 컨센서스(+7.2% y/y)를 두 배 이상 상회하는 흐름을 보였다.

주목

해외 증시혼조였다. 유로스톡스 50+1.08% 상승하며 1.5주 만의 최고치에 안착했다. 반면, 중국 상하이종합-0.39% 하락했고, 일본 닛케이225-0.14% 내렸다.


금리·채권

12월 만기 미 10년물 T-노트 선물(ZNZ5)+11틱 상승 마감했다. 현물 국채 시장은 재향군인의 날로 휴장했지만, ADP가 집계한 민간 부문 고용 순감소 소식이 연준 완화 기대를 자극하며 선물가격을 지지했다. 다만, 정부 셧다운 해소 진전리스크 프리미엄을 낮추면서 상승 폭은 제한됐다. 앞서 상원은 임시 지출안을 통과시켰고, 하원 표결도 예정돼 있으며, 트럼프 대통령은 서명 의사를 밝혔다.

유럽 국채 금리는 동반 하락했다. 독일 10년물 분트 금리는 -1.0bp 내린 2.658%를 기록했다. 영국 10년물 길트 금리는 장중 2주 최저4.374%까지 하락했고, 최종 -7.4bp 내린 4.387%로 마감했다.

유럽 지표와 당국자 발언도 전해졌다. 독일 11월 ZEW 경기기대-0.8 하락한 38.5예상치(41.0) 하회했다.

ECB 집행이사 엘더슨은 “현재의 ECB 금리 수준은 적정하나, 데이터 의존적 접근을 유지할 것이며 매 회의마다 결정을 내릴 것”이라고 말했다.

ECB 정책위원 코허는 “ECB는 금리정책에서 양호한 위치에 있으며, 향후 몇 달간 큰 변화는 많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영국의 9월 취업자 변동-2.2만 명으로 예상(+0.5만 명)을 크게 하회하며 1년 반 만의 최대 감소를 기록했다. ILO 기준 9월 실업률+0.2p 상승한 5.0%로, 예상치(4.9%)보다 약한 고용시장을 시사했다. 이와 함께 스와프시장은 12월 18일 ECB 차기 회의에서 -25bp 인하 확률을 3%로 반영 중이다.


개별 종목 동향

제약·헬스케어 전반이 저가 매수와 함께 강세를 보이며 지수 상승을 견인했다. 비아트리스(VRTS)+10% 이상 급등해 S&P 500에서 가장 크게 올랐다. 또한 모더나(MRNA)+6% 이상, 머크(MRK)+4% 이상 오르며 다우 지수 내 상승을 주도했다. 여기에 암젠(AMGN), 화이자(PFE)+4% 이상 상승했고, 일리번스 헬스(ELV), 길리어드 사이언시스(GILD), 시그나 그룹(CI), 브리스톨 마이어스 스퀴브(BMY), 센틴(CNC), 리제네론 파마슈티컬즈(REGN) 등도 +3% 이상 상승 마감했다.

서머딕스(SRDX)+49% 이상 폭등했다. 연방 법원이 미 연방거래위원회(FTC)와 일부 주 규제당국이 제기한, GTCR에 의한 회사 인수가처분으로 막아 달라는 요청을 기각했기 때문이다.

더리얼리얼(REAL)+37% 이상 급등했다. 회사가 올해 연간 매출 가이던스를 6억 8,700만~6억 9,000만 달러로 상향(종전 6억 6,700만~6억 7,400만 달러)해, 컨센서스(6억 7,500만 달러)를 웃돌았기 때문이다.

파라마운트 스카이댄스(PSKY)+9% 이상 상승했다. 회사는 추가 1,600명 인력 감축과 함께 최소 30억 달러 비용 절감 목표를 발표했다.

코디악 사이언스(KOD)는 HC 웨인라이트가 중립→매수로 상향하고 목표주가 24달러를 제시한 뒤 +6% 이상 올랐다.

페덱스(FDX)+5% 이상 상승했다. 최고재무책임자(CFO) 디트리히가 업계 콘퍼런스에서 회계 2분기 조정 주당순이익(EPS)전년(4.05달러)상회할 것이라고 밝힌 것이 호재였다.

비아샛(VSAT)은 JP모건체이스가 비중확대로 상향하며 목표가 50달러를 제시한 뒤 +3% 이상 올랐다. 린데(LIN)는 UBS가 매수로 격상하고 목표가 500달러를 제시한 뒤 +1% 이상 상승했다.

반면, 반도체·AI 인프라는 약세였다. 마이크론 테크놀로지(MU), 마벨 테크놀로지(MRVL), 램리서치(LRCX)-4% 이상 하락했다. ARM 홀딩스(ARM)-3% 이상, AMD,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AMAT), KLA(KLAC)-2% 이상 내렸다. 브로드컴(AVGO), ASML, 인텔(INTC), 마이크로칩 테크놀로지(MCHP)-1% 이상 약세를 보였다. 코어웨이브(CRWV)는 데이터센터 지연으로 4분기 기대치 하향을 시사하자, JP모건체이스가 비중확대→중립으로 하향했고, 주가는 -16% 이상 급락했다.

제미니 스페이스 스테이션(GEMI)3분기 주당순손실 -6.67달러를 발표, 컨센서스(-3.24달러)보다 적자 폭이 확대-16% 이상 하락했다. 리가티 컴퓨팅(RGTI)3분기 매출 195만 달러예상(217만 달러)을 밑돌아 -5% 이상 밀렸다.

식스 플래그 엔터테인먼트(FUN)-5% 이상 하락했다. CFRA가 매수→보유로 하향 조정하고 목표주가를 18달러→9달러로 낮췄기 때문이다. 엔비디아(NVDA)-2%대로 다우 구성 종목 중 약세를 주도했다. 소프트뱅크 그룹이 보유 지분 전량을 58억 3천만 달러에 처분한 영향이다.

실적 발표 예정(11/12/2025): 서클 인터넷 그룹(CRCL), 시스코 시스템즈(CSCO), 플러터 엔터테인먼트(FLUT), 글로벌파운드리스(GFS), 로어 홀딩스(LOAR), 온 홀딩(ONON), 테트라 테크(TTEK), 트랜스디그름 그룹(TDG).


전문가적 해석과 시장 함의

당일 시장의 핵심 동력정책 리스크(셧다운)의 완화 기대였다. 이 요인은 경기방어주·고배당 성격의 다우 구성 종목을 상대적으로 더 끌어올렸고(다우 +1.18%), 반면 밸류에이션 부담이 큰 기술주, 특히 AI 인프라·반도체개별 악재(코어웨이브, 엔비디아 블록딜)와 맞물려 차익실현이 강화됐다. 노동지표 둔화(ADP 집계)와 중소기업 심리 하락(NFIB)은 연준의 추가 완화 베팅(67%)을 지지해 채권 강세(T-노트 상승)경기민감주·헬스케어 순환매를 촉발했다. 유럽에서는 ZEW 둔화, 영국 고용 약화금리 하락을 자극했으며, 이는 글로벌 디스인플레이션/완화 기조에 대한 기대를 재확인시켰다. 종합하면, 정책 불확실성 완화 + 완화적 금리 기대가 지수 방어의 축이었고, AI·반도체 수급 충격이 나스닥 100의 상대 약세를 설명한다.


용어 풀이(투자자 이해 돕기)

임시 지출안(CR): 의회가 정식 예산안 통과 전 정부 기능 중단을 방지하기 위해 단기 예산을 배정하는 법안이다. E-미니 선물: S&P 500, 나스닥 등 주요 지수를 기초로 한 소액 계약 단위의 선물로, 현물 개장 전후 방향성을 가늠하는 데 활용된다. bp(베이시스 포인트): 0.01%포인트를 의미하며, 25bp = 0.25%포인트다. NFIB 낙관지수: 미국 중소기업의 경기 심리를 측정하는 지표로, 투자·고용 계획과 재고, 판매전망 등을 반영한다. ADP 고용집계: 민간 급여데이터 기반으로 민간부문 고용 흐름을 주간·월간으로 가늠한다. ZEW 기대지수: 독일의 기관투자가·애널리스트 설문을 통해 6개월 후 경제전망을 수치화한 지표다. ILO 실업률: 국제노동기구 기준 정의를 적용한 국제 비교 가능 실업률 수치다. T-노트: 미국 재무부가 발행하는 10년 만기 국채를 의미한다.


구독 안내: 20만 명 이상이 구독 중인 ‘미드데이 바차트 브리프’ 뉴스레터가 왜 많은 독자들의 필독 콘텐츠인지 소개했다.


관련 기사(Barchart)

  • 테슬라, 사이버트럭 총괄 이탈… 이제 TSLA는 매수·매도·보유 중 무엇이 적절한가?
  • 웨드부시: “팔란티어, 눈부신 성장… 연말까지 매수 의견”
  • 최근 6개월 -40% 하락한 마이크로스트래티지, 2025년 11월 MSTR 전략은?
  • 오픈도어, AI 기업 전환 베팅… 지금 OPEN은 매수할 때인가, 관망할 때인가?

면책 및 고지

게재일 기준으로, Rich Asplund는 본문에 언급된 어떤 종목에도(직·간접적으로) 포지션을 보유하지 않았다. 본 기사의 모든 정보와 데이터는 정보 제공 목적이며, 투자 자문이 아니다. 자세한 내용은 바차트 공시 정책(Disclosure Policy)을 참조할 수 있다. 본문에 나타난 견해와 의견저자 개인의 것으로, 나스닥(Nasdaq, Inc.)의 공식 입장과는 무관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