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증시, 오후장 들어 하락 전환…다우 0.48%↓·S&P500 0.27%↓

뉴욕증시가 오전 강세를 접고 오후 들어 일제히 약세로 돌아섰다. S&P500 지수(티커: $SPX)는 -0.27%,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DOWI)는 -0.48%, 나스닥100 지수($IUXX)는 -0.25% 하락하며 주요 3대 지수가 모두 빨간불로 장중 거래되고 있다.

2025년 7월 29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이날 장 초반 강세를 보이던 주식시장은 오후 들어 매도세가 유입되면서 낙폭을 확대하고 있다. 투자자들은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결과와 미·중 무역협상 연장 가능성, 그리고 대규모 실적 발표 시즌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윌버 러트닉 상무장관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진행 중인 미·중 협상과 관련해 “90일간의 휴전 연장이 유력하다”고 밝혀 시장 관심을 끌었다. 한편 6월 미국 선행 재화무역수지 적자-860억 달러로, 시장 예상치(-980억 달러)보다 적게 나타나 2분기 국내총생산(GDP) 개선 기대를 높였다.


“노동 시장은 다소 진정됐지만 소비 심리는 견조하다.”

6월 구인·이직보고서(JOLTS)구인 건수743만7,000건으로 전월 대비 27만5,000건 감소해 예상치(750만 건)를 밑돌았다. 반면 7월 컨퍼런스보드 소비자신뢰지수97.2로, 전망치 96.0을 웃돌며 두 달 연속 상승했다.

기업 인수·합병(M&A) 소식도 이어졌다. 유니언 퍼시픽노퍽서던을 주당 320달러, 총 850억 달러 규모로 인수하기로 합의했다. 또한 베이커휴즈차트 인더스트리를 96억 달러(주당 210달러)에 인수한다고 밝혔다.

다우지수 구성종목 가운데 머크앤드컴퍼니-4% 급락했다. 회사는 인유두종(HPV) 백신 ‘가다실’의 중국향 출하 중단을 연말까지 연장한다고 공지하며 수요 부진을 이유로 들었다. 유나이티드헬스그룹도 2분기 조정 주당순이익(EPS)이 예상치를 하회하고 연간 가이던스를 하향하면서 -4% 이상 밀렸다.


주택시장 지표로는 5월 S&P 코어로직 20대 도시 주택가격지수가 전년 동월 대비 2.79% 상승해 1년 9개월 만에 가장 낮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고용지표인 6월 JOLTS 구인 건수는 앞서 언급한 대로 감소했으며, 소비 심리는 오히려 개선돼 경기 혼재 양상을 보여줬다.

이번 주 일정(미국 기준)에서는 30~31일 열리는 FOMC 회의가 핵심이다. 시장은 연방기금금리 목표범위(4.25~4.50%) 동결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으며, 9월 회의에서의 25bp 인하 확률은 64%로 가격에 반영돼 있다. 31일에는 7월 ADP 민간고용(+8만 명), 2분기 GDP(+2.4% 연율), 2분기 핵심 PCE(+2.3%)가 줄줄이 발표된다. 8월 1일에는 주간 실업수당 청구, 고용비용지수(ECI), 개인소득·지출, 핵심 PCE가 예정돼 있고, 2일에는 7월 비농업부문고용(+10만9,000명)과 ISM 제조업지수가 대기 중이다.

무역 이슈도 변수다. 트럼프 대통령은 8월 1일까지 협상이 진전되지 않을 경우 150개국에 최대 50% 관세를 예고했다. 그는 최근 “15~50%의 단순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며 하한선을 사실상 15%로 올렸다.


실적 시즌 역시 절정에 다다르고 있다. 이번 주는 S&P500 편입기업의 38%가 실적을 내놓는데, 이는 직전 주 대비 두 배 규모다. 이른바 ‘매그니피센트 세븐’ 중에는 마이크로소프트와 메타플랫폼스(31일), 애플·아마존(8월 1일)이 대기 중이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2분기 S&P500 EPS 성장률+4.5%로 개막 전 예상치(+2.8%)를 상회하고 있으며, 지금까지 보고한 기업 중 82%가 이익 추정치를 웃돌았다.

해외 증시는 혼조세다. 유럽 유로 Stoxx50+0.92% 상승했고, 중국 상하이종합지수+0.33%로 마감했다. 반면 일본 닛케이225-0.79% 떨어졌다.


금리 동향에서는 9월물 10년 만기 미국채(티커: ZNU2)가 11틱 올라 수익률이 4.356%로 5.4bp 하락했다. 단기적인 쇼트 커버링과 JOLTS 부진이 매수세를 자극했다. 그러나 2년물 변동금리 국채 300억 달러7년물 국채 440억 달러 입찰이 예정돼 있어 공급 부담이 상존한다.

유럽 국채금리는 혼조세다. 독일 10년물 분트 금리는 2.691%로 0.2bp 상승했고, 영국 10년물 길트 금리는 한때 1주 최고치(4.681%)를 찍은 뒤 4.617%로 3bp 하락했다. 유럽중앙은행(ECB) 1년 기대 인플레이션은 6월 2.6%로 전월(2.8%) 대비 낮아졌고, 3년 기대치는 2.4%로 변동이 없었다.


종목별 주요 움직임

반도체주는 강세를 보이며 시장 하방을 방어했다. AMD+4%, 마벨테크놀로지 +2% 이상 올랐고, 마이크론, 텍사스인스트루먼츠, 온세미, 브로드컴, 엔비디아, 램리서치, NXP 등이 1% 넘게 상승했다.

사렙타 테라퓨틱스는 미국 규제 당국이 근보행 가능 환자에 대해 유전자치료제 Elevidys 사용 재개를 권고했다는 소식에 +26% 급등했다.

국내 파운드리 테스트 업체 앰코 테크놀로지도 2분기 매출(15억1,000만 달러)이 전망을 웃돌고 3분기 가이던스를 상향하면서 +21% 폭등했다. 코닝은 2분기 코어 EPS 0.60달러로 예상(0.57달러)을 상회하고 3분기 가이던스를 상향해 S&P500 상승률 1위를 기록했다.


반면 캐리어 글로벌은 연간 잉여현금흐름(FCF) 전망을 24억~26억 달러로 제시해 중간값이 컨센서스(25억5,000만 달러)를 밑돌면서 -10% 급락했다. UPS는 거시경제 불확실성을 이유로 연간 가이던스를 철회해 -9% 하락했다.

이 밖에 브라운앤브라운(-8%), 월풀(-11%), 스탠리블랙앤드데커(-5%), 로열캐리비안크루즈(-5%) 등이 실적 부진·가이던스 하향 등의 이유로 급락했다.

예정된 실적 발표

7월 29일(현지 시각)에는 아메리칸타워, 보잉, 북킹홀딩스, 첩자·V(Visa) 등 S&P500 대형주 다수가 실적을 공개할 예정이다.


참고: JOLTS(Job Openings and Labor Turnover Survey)는 미국 노동부 산하 노동통계국(BLS)이 발표하는 고용 수급 지표로, 채용(구인)·이직·해고 흐름을 동시에 보여주어 노동시장 수요 측면을 평가하는 데 활용된다. 구인 건수가 줄면 기업의 인력 수요가 둔화했음을 시사해 연준의 통화정책 전망에도 영향을 미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