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금융시장 동향】 30일(현지 시각) 미국 뉴욕 증시에서 S&P 500 지수는 전장 대비 0.11% 상승했고,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0.02% 상승, 나스닥 100 지수는 0.24% 상승했다. 같은 시각 9월물 E-미니 S&P 선물은 0.12%, 9월물 E-미니 나스닥 선물은 0.29% 각각 올랐다.
2025년 7월 30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투자자들은 견조한 노동시장과 예상치를 웃돈 2분기 국내총생산(GDP) 지표를 근거로 위험 선호를 유지하고 있다. 다만 시장은 현지시간 오후 2시에 발표될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결과와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기자회견, 그리고 장 마감 후 예정된 마이크로소프트·메타 플랫폼스 실적 발표를 앞두고 경계심을 늦추지 않는 모습이다.
주요 경제 지표와 정책 변수
① ADP 민간고용 – 7월 민간부문 고용은 104,000명 증가해 시장 예상치(76,000명)를 웃돌며 4개월 만에 최대폭을 기록했다. 전월 수치는 -33,000명에서 -23,000명으로 상향 조정됐다.
② 2분기 GDP – 연율 기준 3.0% 성장을 기록, 예상치(2.6%)를 상회했다. 물가를 반영한 핵심 PCE 가격지수는 전기 대비 2.5% 올라 예상(2.3%)을 웃돌았다.
③ 주간 모기지 신청 – 미 모기지은행협회(MBA)에 따르면 7월 25일 주(週) 신청 건수는 3.8% 감소하며 주택 구입 지수(-5.8%)와 재융자 지수(-1.1%) 모두 줄었다. 30년 만기 고정금리 평균은 6.84%에서 6.83%로 1bp 하락했다.
④ 재무부 차입 계획 – 재무부는 분기별 차환공고에서 중·장기 국채 발행 규모를 “향후 수 개 분기 동안 동결“하고, 2026년까지는 초단기 증권 발행 확대에 의존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GDP·고용 지표는 연준이 금리를 동결한 채로 인플레이션 추이를 좀 더 지켜볼 여지를 준다” – 뉴욕 소재 대형 자산운용사 이코노미스트
금리·채권 시장 동향
9월 만기 10년물 미 국채선물은 9틱 하락했고, 현물 금리는 4.313% → 4.372%로 5.3bp 상승했다. 노동시장·GDP 지표 호조에 따른 안전자산 매도 압력이 반영됐다. 유로존 채권은 독일 10년물 금리가 0.6bp 내린 2.702%, 영국 10년물 길트 금리는 2.7bp 내린 4.606%를 기록했다.
참고: “bp”는 basis point의 약자로 0.01%p(퍼센트포인트)를 의미한다.
국제 무역·관세 이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8월 1일부터 인도산 수입품에 2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히며, 러시아산 에너지 구매와 관련해 추가 제재 가능성을 시사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같은 날까지 150여 개국과의 신규 무역 협상 마감 시한을 제시하고 있으며, 15~50% 범위의 균일 관세를 예고한 상태다.
주요 이벤트 일정
• 7월 31일(목) – 신규 실업수당청구(예상 22.3만 건), 2분기 고용비용지수(E.C.I·예상 0.8%) 발표
• 8월 1일(금) – 7월 비농업 고용(예상 +10.9만 명), 실업률 4.2%, 평균 시간당 임금(+0.3% m/m) 발표 및 ISM 제조업지수(49.5 예상)·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61.8) 확정치 공개
ADP 보고서와 비농업 고용지표는 모두 미국 고용 상황을 보여주지만, 전자는 민간 업체 집계치, 후자는 정부 공식 통계라는 차이가 있다.
기업 실적·주가 변동
테라다인 주가는 Q2 조정 EPS 0.57달러(예상 0.54달러)를 발표하며 14% 급등해 S&P 500 상승폭 1위에 올랐다. 모건스탠리 목표가 상향(73→80달러) 영향을 받은 마벨 테크놀로지는 9% 올랐고, VF코프·Etsy·제네락도 7~11% 가량 상승했다.
반면, Palo Alto Networks는 사이버아크를 250억 달러에 현금·주식으로 인수하기로 하며 8% 하락, S&P 500·나스닥 100 낙폭 1위를 기록했다. 씨게이트, 트레인 테크놀로지스 등도 실적 가이던스 부진으로 7% 이상 떨어졌다.
국제 증시
유럽 Euro Stoxx 50이 0.29% 오르는 한편,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9.5개월 만의 고점에서 0.17% 상승 마감했다. 반면 일본 니케이 225는 0.05% 하락했다.
Euro Stoxx 50은 유로존 대형주 50종목으로 구성된 대표 지수이며, 글로벌 위험 선호도를 판단하는 데 자주 활용된다.
전망 및 전문가 의견
연방기금선물시장(FedWatch)에 따르면 투자자들은 이번 FOMC 회의에서 25bp 금리 인하 가능성을 2%로 낮게 보고 있으나, 9월 회의에서는 59%로 확률을 높게 반영하고 있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 집계 기준, S&P 500 2분기 순이익은 +4.5% 증가세가 예상돼, 시즌 전 전망치(2.8%)를 상회한다. 현재까지 약 3분의 1이 실적을 발표한 가운데, 82%가 시장 예상치를 넘어섰다.
“실적 서프라이즈가 이어진다면 연준의 신중 모드는 통화정책의 결정적 완화를 지연시킬 수 있다.” – 월가 베테랑 포트폴리오매니저
기자 해설: 이번 주는 ‘매그니피센트 7’ 가운데 MSFT·META·AAPL·AMZN의 실적이 집중되어 있어 지수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 특히 빅테크의
클라우드·광고·AI 투자 계획은 향후 시장 밸류에이션 재평가의 핵심 변수가 될 전망이다.
오늘의 실적 발표 예정사(현지 7월 30일)
알베말(Albemarle)·어라인 테크놀로지(Align)·올스테이트(Allstate)·알트리아(Altria)·AEP·AWK·ADP·AVB·번지글로벌(Bunge)·CH 로빈슨·코그니전트·덱스컴·이베이·엔터지·이퀴닉스·에베레스트 그룹·엑스트라 스페이스 스토리지·F5·페어 아이작·퍼스트에너지·포드·포티브·가민·GE 헬스케어·제네락·허쉬·홀로직·호스트 호텔·휴마나·IDEX·일리노이 툴웍스·인비테이션 홈즈·KHC·램리서치·메타·MGM·마이크로소프트·MAA·ODFL·푸르덴셜·PTC·퍼블릭 스토리지·QUALCOMM·스머핏 웨스트록·트레인·타일러 테크놀로지·UDR·벤타스·베리스크·VICI·WEC 에너지·웨스턴디지털 등
※ 본 기사는 원문 정보 전달을 목적으로 하며, 특정 종목의 매수·매도를 권유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