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싱턴 D.C.—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인텔(Intel Corp., 나스닥: INTC) 지분을 직접 취득하기 위해 ‘미국 반도체 지원법(Chips and Science Act)’ 자금을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2025년 8월 15일, 인베스팅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복수의 소식통은 “정부 측과 인텔 간의 초기 단계 협의가 진행되고 있으며, 칩스법 지원금을 단순 보조금이 아닌 ‘지분투자’ 형태로 전환하는 옵션이 논의되고 있다”고 전했다.
현재 논의 중인 시나리오는 ▲이미 확정된 칩스법 보조금 일부 또는 전부를 인텔 보통주로 전환하는 방안, ▲칩스법 전체 예산 중 별도 배정분을 활용해 새로운 지분을 매입하는 방안, ▲칩스법 자금과 기타 재원(대출·민간투자 등)을 혼합해 투자를 집행하는 방안 등이 포함된다.
주요 수치 및 배경
인텔은 미국 내 상업용 반도체 제조시설 확충 명목으로 보조금 79억 달러를 이미 배정받았으며, 국방부 ‘시큐어 앤클레이브(Secure Enclave)’ 프로그램을 통해 추가로 최대 30억 달러를 확보할 수 있는 상태다. 또한 2022년 제정된 칩스법 아래 최대 110억 달러에 달하는 저리 대출도 이용 가능하다.
익명을 요구한 한 관계자는 “협상은 아직 유동적이며, 최종 결정까지 상당한 변동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칩스법이란?
칩스법(CHIPS and Science Act)은 2022년 8월 발효된 미국 연방법으로, 국내 반도체 제조 역량 강화를 위해 보조금·세액공제·연구개발(R&D) 지원 등을 총망라해 약 527억 달러 규모 예산을 배정했다. ‘Chips’는 ‘Creating Helpful Incentives to Produce Semiconductors’의 약자로, 중국·대만 등 해외 생산 의존도를 줄이고 공급망을 현지화하려는 전략적 목적을 띤다.
특히 이번 사안처럼 정부가 보조금 대신 지분 투자를 선택할 경우, 정부는 재정적 수익뿐 아니라 반도체 산업 내 거버넌스 영향력을 일부 확보하게 된다. 반면 기업 입장에서는 자본 희석(dilution) 우려가 존재하지만, 거대한 설비투자 비용을 감당할 재원을 ‘사실상 무상’으로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인텔과 트럼프 행정부의 관계
보도에 따르면, 인텔의 최고경영자 립부 탄(Lip-Bu Tan)은 8월 12일 백악관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면담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과거 인텔의 해외 생산 확대 전략을 비판해 왔으나, 이번 면담 이후 탄 CEO의 거취에는 변화가 없을 것이라는 전언이다.
정부가 실제로 인텔 지분을 확보할 경우, 이는 미국 연방정부 최초의 대형 반도체 기업 직접투자라는 상징적 의미를 갖게 된다. 다만, 세부 지분율·매입 가격·의결권 범위 등은 모두 비공개 협상 사항이어서 불확실성이 여전하다.
향후 전망 및 과제
시장 전문가들은 이번 움직임이 공급망 안전과 기술 패권을 동시에 노린 전략적 결단으로 평가한다. 동시에 “정부가 한 기업의 지분을 직접 보유할 경우 민간기업의 의사결정 독립성이 훼손될 위험”이라는 지적도 존재한다. 의회 승인 절차가 필요할 가능성도 거론되는 가운데, 실제 투자 완료까지 최소 수개월 이상이 소요될 전망이다.
한편, 해당 기사에는 “본 기사는 AI의 지원을 받아 작성됐으며, 편집자의 검수를 거쳤다”는 문구가 포함돼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