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텔(Intel Corporation, Nasdaq: INTC)이 트럼프 행정부와 8.9억 달러(약 8조9,000억 원) 규모의 지분 투자 계약을 체결했다고 22일(현지시간) 발표했다.
2025년 8월 22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이번 계약으로 미국 정부는 인텔 보통주 4억3,330만 주를 주당 20.47달러에 매입해 지분 9.9%를 확보하게 된다.
투자 재원은 미국 반도체 지원법(CHIPS and Science Act)에 따라 이미 승인됐지만 아직 집행되지 않은 57억 달러와, 국방부의 시큐어 앵클레이브 프로그램(Secure Enclave program)으로 책정된 32억 달러를 합쳐 마련된다.
인텔은 시큐어 앵클레이브 의무를 지속적으로 이행하고, 미국 국방부(DoD)에 신뢰할 수 있는 국산 반도체를 공급하겠다는 의지를 재확인했다.
이번 89억 달러 외에도 인텔은 앞서 CHIPS 보조금 22억 달러를 이미 수령했으며, 두 금액을 합치면 총 111억 달러가 회사에 투입된다.
“미국 내에서 최첨단 로직 연구개발(R&D)과 제조를 동시에 수행하는 유일한 반도체 업체로서,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을 ‘메이드 인 USA’로 유지하겠다”고 리프-부 탄(Lip-Bu Tan) 인텔 최고경영자(CEO)는 밝혔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의 제조업 중시 정책이 경제·안보에 필수적인 반도체 산업에 역사적 투자를 이끌어냈다”고 덧붙였다.
계약 조건에 따르면 정부는 주당 20달러에 추가 지분 5%를 살 수 있는 5년 만기 워런트도 받았다. 단, 이 워런트는 인텔이 파운드리 사업 지분 51% 이상을 유지하지 못할 때만 행사할 수 있다.
CHIPS and Science Act 해설1: 2022년 제정된 미국 정부의 반도체·과학 기술 육성법으로, 미국 내 반도체 생산·R&D에 527억 달러 상당의 보조금 및 세액공제를 제공한다.
Secure Enclave program 해설2: 미 국방부가 군·정보기관용 고신뢰·고보안 반도체 공급망을 구축하기 위해 추진하는 예산 프로그램이다.
전문가 시각3: 이번 투자는 미국 정부가 국가안보·공급망 안정이라는 전략적 목표를 위해 대형 민간 기업의 지분을 직접 확보했다는 점에서 이례적이다. 동시에 미·중 기술 패권 경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미국 본토에서 첨단 로직 공정을 대규모로 육성하려는 ‘리쇼어링(Reshoring)’ 정책이 한층 가속화될 것으로 관측된다.
시장에선 정부가 주당 20.47달러에 대량 매입했다는 사실이 향후 인텔 주가의 ‘안전판’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기대도 나온다. 반면, 정부의 영향력 확대가 기업 지배구조·의사결정에 새로운 변수가 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인텔은 지난 수년간 파운드리(위탁생산) 시장에서 TSMC, 삼성전자 등에 뒤처졌다는 평가를 받았지만, 정부 지원을 기반으로 첨단 1.8나노 이하 공정 능력을 미국 내에 구축해 ‘기술 리더십’ 탈환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번 계약이 최종 마무리되면, 인텔은 미국 역사상 가장 큰 규모 중 하나인 정부-민간 합작 투자를 등에 업고 글로벌 공급망 재편 속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