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싱턴 D.C.] 미국 재무부가 총 1,250억 달러 규모의 국채를 발행해 2025년 8월 15일 만기 도래 예정인 민간 보유 국채 898억 달러를 상환하고, 약 352억 달러의 신규 자금을 조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2025년 7월 30일(현지시간), 인베스팅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이번 발행은 3년물·10년물·30년물 세 가지 트랜치로 나뉘어 진행된다. 재무부는 각각 3년물 580억 달러(2028년 8월 15일 만기), 10년물 420억 달러(2035년 8월 15일 만기), 30년물 250억 달러(2055년 8월 15일 만기)로 책정했다.
경매 일정은 2025년 8월 5일(화) 3년물, 6일(수) 10년물, 7일(목) 30년물 순으로 진행되며, 모두 동부표준시(ET) 오후 1시에 실시된다. 결제일은 세 트랜치 모두 2025년 8월 15일(금)이다.
재무부 관계자는 “국채(고정금리)와 변동금리 국채(FRN) 경매 규모를 향후 수 개 분기 동안 현 수준으로 유지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는 현행 차입 전망을 반영한 조치다.
TIPS(물가연동국채) 발행도 단계적으로 확대된다. 8월 30년물 재개방(Reopening)은 80억 달러로 유지되지만, 9월 10년물 재개방은 190억 달러, 10월 신규 5년물 발행은 260억 달러로 늘어난다.
『TIPS는 원금이 CPI(소비자물가지수)에 연동되어 물가 상승분이 반영되는 국채로, 인플레이션 위험 헷지(hedge) 수단으로 활용된다』
7월 4일 미 의회가 부채한도(debt ceiling)를 5조 달러 인상한 이후 재무부는 단기 국채(Bill) 발행을 확대하며 현금 잔액을 끌어올리고 있다. 재무부는 “9월경 정책 목표 수준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덧붙였다. 이에 따라 향후 수일간 단기물 경매 규모가 추가로 소폭 커질 전망이다.
매입(Buyback) 프로그램 대폭 강화
재무부는 2025년 8월 13일부터 국채 공개시장 매입 프로그램을 대폭 개선한다. 특히 10~20년물과 20~30년물 장기 만기 구간의 유동성 지원 매입 빈도를 분기당 2회에서 4회로 두 배 확대한다.
또한 TIPS 매입 구간을 기존 1~7.5년·7.5~30년에서 1~10년·10~30년으로 재조정한다. 이로써 중·장기 물가연동국채 시장의 유동성 확보가 보다 세분화될 것으로 보인다.
현행 현금관리 매입(Cash Management Buyback) 한도도 연간 1,200억 달러에서 1,500억 달러로 확대된다. 다만 9월 세수 집중 시기에는 현금 재구축을 이유로 해당 매입을 일시 중단하고, 12월부터 재개할 계획이다.
2026년 상반기에는 재무부 경매에 활발히 참여해 온 추가 프라이머리 딜러·기관에도 직접 매입 프로그램 참여 기회를 부여할 예정이다. 구체적 자격 요건은 올해 말 발표된다.
FRN(Floating Rate Note)은 3개월·6개월 리보(또는 SOFR) 등 단기 금리에 연동되는 변동금리 국채다. 금리 상승기에는 고정금리채보다 재정 비용 증가 위험이 낮아, 재무부가 단기 차입 비중을 조정하는 데 유용하다.
시장·투자자 관점에서의 함의
시장의 초점은 장기물 경매 수요와 데이터에 대한 금리 민감도다. 최근 미 연준(Fed)이 통화정책 완화 신호를 조심스럽게 내비치고 있으나, 기본 금리가 높은 수준에서 장기간 유지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10년·30년물 입찰에서 간접참가(투자자·기관) 비중이 얼마나 견조한지가 주요 체크포인트다.
특히 매입 프로그램 확대는 세컨더리 마켓 유동성을 개선해 장기물 금리 상승을 억제하고, 발행비용을 완화하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투자자 입장에서는 수급 부담이 줄고 커브 스티프닝(장단기 금리차 확대) 압력이 다소 완화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다만 단기적으로는 8월 초 경매가 집중되면서 Treasury 공급 리스크가 부각될 수 있다. 기관투자자들은 달러 자금 수요 증가에 대비해 유동성 포지션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국내 투자자의 경우, 원달러 환율 변동성과 미 장단기 금리차가 글로벌 자산배분 전략에 미칠 영향에 주목해야 한다. 특히 TIPS 비중 확대는 인플레이션에 대한 미국 정부의 방어 의지를 시사하며, 물가연동채 ETF 시장에도 긍정적 수급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미 재무부의 이번 발표는 ‘부채한도 상향 후 자금조달 정상화’ 전략의 일환으로 평가된다. 향후 세입 흐름, 경기지표, 연준 정책 경로에 따라 추가 경매·매입 일정이 변동될 가능성이 있어 국내외 채권 투자자들의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