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의회, 커피 관세 면제 법안 추진 소식에 커피 선물가 한 달 만에 급락

커피 선물 가격급락했다. 2025년 9월 19일(미국 동부시각) ICE 선물시장에서 12월물 아라비카(종목 코드 KCZ25)는 전일 대비 -14.35센트(-3.77%) 하락한 1개월 최저치를 기록했고, 11월물 로부스타(RMX25) 역시 -312달러(-7.02%) 떨어졌다.

2025년 9월 19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워싱턴포스트가 “미국 의원들이 커피 관련 제품의 관세를 면제하는 법안을 조만간 제출할 계획”이라고 전한 것이 직격탄이 됐다.

“해당 법안은 현재 브라질산 커피에 부과되는 50% 관세를 철폐해 소비자 물가를 안정시키는 동시에, 미국 내 커피·음료 산업의 원가 부담을 덜어주는 것을 목표로 한다”

고 매체는 전했다.

주목

50% 관세가 가격 상승 요인으로 작용해 왔다. 관세 도입 이후 브라질산 원두 수입이 급감하면서 ICE가 모니터링하는 아라비카 재고는 9월 19일 기준 16.75개월 만의 최저치인 654,224포대(60㎏ 기준)로 줄었다. 로부스타 재고도 같은 날 1.75개월 만의 최저치인 6,464로트까지 감소했다. 미국이 소비하는 생두의 약 3분의 1을 브라질이 공급해 왔다는 점에서, 관세는 공급 부족(→가격 상승)을 유발해 왔다는 분석이다.


아라비카ㆍ로부스타란?
아라비카(Arabica)는 고지대에서 재배돼 향이 풍부하고 산미가 뛰어나다. 커피 전문점에서 주로 쓰인다. 반면 로부스타(Robusta)는 저지대 재배가 가능하고 카페인이 많으며 쓴맛이 강해 인스턴트커피나 캔커피에 널리 쓰인다. 두 종의 가격은 기상 조건, 해충, 생산국 통화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기도 한다.

반면, 베트남산 로부스타 대풍은 하방 압력 요인이다. 베트남 통계청은 2025년 1~8월 커피 수출이 전년 대비 7.8% 증가한 114만1,000톤이라고 발표했다. 미국 농무부(USDA) 산하 외국농업국(FAS)도 2025/26년 베트남 로부스타 생산량을 1.76백만 톤(2,940만 포대)으로 전망하며 4년 만의 최고치를 예고했다.

이번 주 초까지만 해도 가격은 강세였다. 9월 16일에는 12월물 아라비카가 계약 기준 최고가, 최근월물(U25) 역시 7개월 만의 고점에 올랐다. 브라질 최대 아라비카 산지인 미나스제라이스 주(州)에 강우가 전무해 개화(10~11월)를 앞둔 생육 스트레스가 우려됐기 때문이다.

주목

여기에 美 국립해양대기청(NOAA)이 10~12월 남반구 라니냐 확률을 71%로 제시, 브라질에 심각한 건조를 초래해 2026/27년 생산 차질을 불러올 수 있다는 전망도 호재로 작용했다.

그러나 브라질 국영 농업공사(Conab)가 9월 4일 2025년 브라질 아라비카 생산 전망치를 3,700만 포대에서 3,520만 포대로 4.9% 하향 조정했다고 밝힌 점, 그리고 국제커피기구(ICO)가 9월 3일 발표한 7월 전 세계 커피 수출 1.6% 감소 역시 가격 지지 요인이었다.

브라질 수출은 더욱 부진했다. 브라질 상무부에 따르면 7월 생두 수출은 전년 대비 20.4% 감소한 16만1,000톤으로 집계됐다. 민간 수출업체 협회 Cecafe는 7월 그린커피(가공 전 원두) 수출이 28% 급감한 240만 포대라고 발표했으며, 1~7월 누적 물량도 22.2백만 포대로 21% 감소했다.

한편, 수확 완료에 따른 공급 압력도 존재한다. 브라질 최대 협동조합인 Cooxupé는 9월 12일 “회원 농가의 2025년 수확률이 98.9%”라고 밝혔다. 수확 마무리는 통상 물량 출회를 가속화해 단기 가격 약세를 야기할 수 있다.


글로벌 수급 전망
USDA FAS는 6월 25일 보고서에서 2025/26년 세계 커피 생산량을 전년 대비 2.5% 증가한 1억7,868만 포대로 제시했다. 세부적으로 아라비카는 1.7% 감소한 9,702만 포대, 로부스타는 7.9% 증가한 8,166만 포대로 예상했다. 같은 보고서는 브라질 생산을 6,500만 포대(+0.5%), 베트남 생산을 3,100만 포대(+6.9%)로 전망했다. 반면 스위스 트레이딩사 볼카페(Volcafe)는 2025/26 아라비카 시장이 850만 포대 공급 부족으로 5년 연속 적자를 기록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선물·파생상품 시장에서는 KCZ25RMX25가 대표적인 벤치마크다. KCZ25는 ICE(Intercontinental Exchange)에 상장된 2025년 12월 만기 아라비카 선물, RMX25는 같은 해 11월 만기 로부스타 선물을 뜻한다. 선물 가격은 재고, 기상, 환율, 보호무역 정책 등 다차원적인 요인에 반응하며 변동성이 크다.

시장에 미친 영향 및 전망
이번 관세 면제 추진 소식은 “공급 부족”이라는 기존 서사를 단숨에 무력화했다. 단기적으로는 투기적 매수 포지션이 급격히 청산되는 과정에서 변동성이 확대될 공산이 크다. 다만 미국 의회 절차상 법안 통과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수 있고, 관세 재검토 과정에서 이해관계자들의 반발도 불가피하다. 전문가들은 “실제 관세 철폐 여부브라질·베트남 작황이 향후 몇 달간 방향성을 결정할 핵심 변수”라고 진단한다.

또한 라니냐 우려가 현실화해 브라질의 2026/27 생산이 크게 감소할 경우, 중장기적 상승 동력은 여전히 유효하다. 반대로 베트남 로부스타 증산이 계획대로 진행되고, 남미 주요 산지 강우가 정상화된다면 커피 가격은 추가 조정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용어·데이터 해설
라니냐: 적도 태평양 동부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낮아지는 현상. 남미·호주·동남아 등 일부 지역에 가뭄·홍수를 번갈아 유발해 농산물 가격 변동성이 커진다.
ICO·Conab·Cecafe: 각각 국제커피기구(런던), 브라질 국영 농업공사, 브라질 커피 수출업체 협회. 수급 데이터의 대표적인 원천이다.
포대(bag): 국제 커피 거래에서 통용되는 60㎏ 기준 단위.

결론
19일 급락은 관세 면제 정책 기대감이 트리거가 됐지만, 재고 수준과 기상 변수는 여전히 상·하방 리스크를 동시에 내포한다. 투자·수입업계는 입법 진행 상황브라질 강우 패턴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며 헤지 전략을 재조정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