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의회 의원들은 어떻게 거부(巨富)가 되는가

미국 의회 의원 다수는 이미 상당한 자산을 보유한 상태에서 의회에 입성한다. 가족 재산이나 성공적인 직업 경력을 통해 거액을 축적한 뒤 정치에 입문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즉, 공직 자체가 막대한 부를 안겨 주기보다는, 기존 자산이 정치 활동을 가능하게 하고, 일부는 의정 활동 중 부를 더 불리는 방식이다.

2025년 8월 31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의원 연봉만으로는 ‘진짜’ 부자가 되기 어렵다. 현행 기준으로 하원의원·상원의원 연봉은 $174,000이며, 하원의장(Speaker of the House)은 $223,500, 상·하원 원내대표는 $193,400을 받는다. 미국 노동통계국(BLS)에 따르면 2025년 미국 전일제 근로자 주당 중위소득은 $1,196, 연간 약 $62,192 수준이므로, 의원 연봉 자체는 분명 고소득이지만 ‘억만장자’ 반열에 오르기엔 역부족이다.

그렇다면 의원들은 어떤 방식으로 자산을 불릴까. 우선 할 수 없는 일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미국 윤리법상 의원은 본업 외 외부 소득(earned income)을 연방행정직급(Executive Schedule) 레벨 II 급여의 15%를 넘겨 벌 수 없다. 이는 대략 연간 $30,000 내외다. 또한 주식 배당 등 수동적 소득도 포함한 모든 외부 소득원은 매년 공개해야 한다.

주목

주식 투자로 인한 수익은 일반 국민과 마찬가지로 허용된다. 그러나

“선출직 지위에서 얻은 내부 정보(Insider Knowledge)를 통해 초과 수익을 올렸다”

는 의혹이 끊이지 않는다. 경제학자 세르칸 카라다스는 과거 연구에서 “의회 의원이 시장 평균을 상회하는 수익률을 기록하는 수상한 패턴“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 때문에 2012년 제정된 ‘STOCK 법’은 의회 구성원의 내부자 거래를 금지하고 거래 내역 공개를 의무화한다.

외부 고정 급여는 제한되지만, 저서(著書) 출간으로 얻는 인세는 제한 대상이 아니다. 특히 전국구 인지도가 높은 상원의원이 유리하다. 예컨대 2022년 매사추세츠주 엘리자베스 워런 상원의원은 책 인세로만 $440,000 이상을 벌었다. 2023년에도 팀 케인, 테드 크루즈, 조시 홀리 등 상원 의원 8명이 각각 $100,000이 넘는 인세 소득을 신고했다.

외부 소득 제한·용어 설명
① Executive Schedule Level II는 미 행정부 차관급에 해당하는 보수 체계를 말한다. 의원 외부 소득 상한은 이 급여의 15%에 고정돼 있어 매년 변동된다.
② Earned vs. Passive Income : Earned는 강연료·변호사 자문료처럼 직접 노동 대가로 받는 소득, Passive는 배당·임대수익처럼 노동 투입이 없는 소득을 뜻한다.

주목

물론 “연간 10만 달러 추가 수입”이 ‘거부’ 기준에 못 미칠 수 있다. 의회 최고 부자들은 워싱턴 입성 전 이미 거대한 비즈니스를 일궈냈다. 2024년 파이낸스 먼슬리릭 스콧 상원의원(플로리다)을 재산 $3억~5억5천만 달러로 추정하며 ‘의회 최고 부자’로 선정했다. 그는 병원 체인 Columbia/HCA를 설립해 큰돈을 벌었다. 전 하원의장 낸시 펠로시(캘리포니아)는 배우자 폴 펠로시의 투자 수익으로 $1억+ 자산을 유지한다. 마크 워너(버지니아) 상원의원은 IT·통신 투자로, 피트 리케츠(네브래스카) 상원의원은 아버지가 창업한 TD 아메리트레이드 지분으로 각각 $1억 달러 이상 순자산을 보유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문가 관점으로 볼 때, 미국 정치 시스템은 “부자만이 정치에 입문하기 쉽다”는 구조적 한계를 드러낸다. 고액 정치자금 모금, 장기간 선거운동 등 비용 장벽이 높기 때문이다. 또한 의원이 내부 정보를 활용해 시장을 앞서가는 ‘정보 비대칭’ 문제는 주식 시장의 신뢰를 훼손한다. 향후 규제 강화와 ‘블라인드 트러스트(Blind Trust)’ 의무화 등 추가 대책이 요구된다.


향후 주목 포인트
STOCK 법 개정 움직임: 초단기 매매 금지, 배우자·가족 계좌까지 보고 의무화 여부
② 대선·중간선거 국면에서 책 출간 러시: 인지도·자금 확보 수단으로 확대 전망
③ 빅테크·의료·방산 등 정책 수혜 업종에 대한 “의회 매수 패턴” 모니터링 필요

결론적으로, 의원이 ‘공직 연봉’만으로 거부가 되는 일은 드물다. 대부분은 선(先)부(富)를 바탕으로 입법부에 진입하며, 재임 중에는 인세·투자수익으로 부를 불린다. 이는 ‘돈이 정치에 입장권을 제공한다’는 현실을 방증한다. 미국 정치권이 고질적 이해충돌 논란에서 자유로워지려면, 자산 공개 투명성 제고와 외부 소득 상한 강화가 필수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