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우정청(USPS)이 뉴욕주 버펄로에 본사를 둔 전자담배 도매업체 디맨드베이프(Demand Vape)의 사업-대-사업(B2B) 배송 예외권을 전격 철회했다. 이는 수십억 달러 규모로 성장한 비규제 전자담배 시장에 중대한 타격을 주는 결정으로 평가된다.
2025년 8월 11일, 인베스팅닷컴의 단독 보도에 따르면, 우정청은 뉴욕시 법무부가 제공한 증거를 토대로 디맨드베이프가 미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받지 않은 전자담배 및 뉴욕시 향료(flavour) 판매 금지 조례를 위반한 제품을 배송한 사실을 적발했다.
우정청이 7월 15일자로 발송한 통지서에는 “버펄로 BME(Business Mail Entry) 사무소는 디맨드베이프가 보낸 모든 전자니코틴전달시스템(ENDS) 제품을 접수하지 않을 것”이라는 문구가 명시돼 있다. 이는 USPS가 2021년 의회법P.L. 116-260에 따라 소비자 및 국제 배송뿐 아니라 대부분의 전자담배 우편 발송을 금지한 이후, 드물게 이뤄진 ‘예외권 박탈’ 사례다.
디맨드베이프 측 반박 및 ‘회색지대’ 논란
디맨드베이프는 성명을 통해 “당사는 관련 법규를 준수하고 있으며, 전자담배 산업 자체가 여전히 규제의 회색지대에 놓여 있다”고 주장했다. 회사는 “디맨드베이프를 불법 업체로 규정하는 어떠한 표현도 단호히 거부한다”고 밝혀, 향후 행정소송을 예고했다.
빅토바코(Big Tobacco)의 잠재적 수혜
이번 조치는 알트리아(Altria)·브리티시 아메리칸 토바코(BAT) 등 세계 담배 대기업이 추구해 온 ‘시장 질서 재편’과 이해가 맞물린다는 분석이 나온다. 두 회사는 중국산 저가 비인가 제품을 문제 삼으며 정부 규제 강화를 지속적으로 요구해 왔다. BAT는 2023년 미국 비인가 전자담배 시장 규모를 약 60억 파운드(8억 500만 달러)로 추산한 바 있다.
“우리는 디맨드베이프가 투명하고 합법적이며 명망 있는 기업임을 자부한다” — 디맨드베이프 공식 성명 중
FDA · 세관 · 관세 압력 확대
미 FDA는 2024년 5월, 미국 내 24개 전자담배 유통사에 서한을 발송해 비승인 제품 유통 중단을 요구했다. 아울러 수입 관세 인상과 항만 압수까지 병행되면서, 비인가 전자담배 업체들은 운영 리스크가 급격히 높아지는 추세다.
디맨드베이프의 시장 영향력
업계 자료에 따르면 디맨드베이프는 미국 49개 주, 약 5,000개 소매점에 제품을 공급하는 최대 규모의 도매업체 중 하나다. 뉴욕시 변호사단은 우정청에 제출한 서신에서 “FDA가 불법으로 지목한 특정 제품”의 판매 인보이스 사본을 증거로 제시했다고 밝혔다.
전문가 해설 – 용어 정리
- ENDS: Electronic Nicotine Delivery Systems의 약자로, 니코틴을 에어로졸 형태로 전달하는 전자담배 기기를 통칭한다.
- BME Office: USPS 산하 Business Mail Entry Office로, 대량·사업용 우편물 접수를 담당하는 창구다.
- Mailing Exception: 2021년 법에서 제한적 허용한 ‘합법 B2B 배송’ 면제 조항을 의미한다.
전문가 시각
시장조사기관들은 USPS의 이번 결정이 비규제 수입 제품을 겨냥한 일련의 조치 중 시작에 불과하다고 분석한다. 관세청·FDA·국토안보부가 연계한 공동 단속이 본격화될 경우, 소매 유통망 차원의 물류 차질이 불가피하다. 결과적으로, 국내외 브랜드가 PMTA(사전 시장 허가 신청)를 마친 합법 제품의 시장 점유율을 확대할 가능성이 있다.
향후 전망
법률 전문가들은 디맨드베이프가 행정 불복 절차를 통해 ‘예외권’ 회복을 시도하더라도, 이미 확보된 증거와 연방 규제 기류로 볼 때 기각될 가능성이 우세하다고 본다. 향후 연방 법원 판결은 전자담배 물류·유통 체계 전반에 선례를 제공할 것이며, 국내외 전자담배·니코틴 산업의 수익 구조 재편을 촉진할 수 있다.
© 2025 Investing.com 번역·재가공 — 모든 권리 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