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카고 선물시장] 옥수수 선물가격 약세 지속
22일(현지시간) 시카고 상품거래소(CBOT)에서 옥수수 선물은 장중 저점 대비 일부 회복했으나 결국 4~5.5센트 내린 채 거래를 마쳤다. CmdtyView가 집계한 전미 새 곡물기 현물 평균 가격은 부셸당 3.80달러로 집계됐다.
2025년 7월 22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투자자들은 미국 농무부(USDA)의 주간 작황·진척도 보고서와 곡물 수출 검사 데이터를 주시하며 가격 변동성을 평가했다.
USDA 작황 보고서는 7월 20일 기준 미국 옥수수 재배 면적의 56%가 실킹(silking)수꽃에서 실타래 같은 수술이 나오기 시작하는 단계 단계에 진입해 5년 평균치보다 2%포인트 뒤처졌다고 밝혔다. 14%는 도우(dough) 단계알갱이가 반죽처럼 점성이 생기는 단계에 도달해 평균 12%를 상회했다. 전체 작황 등급은 양호·우수(good/excellent) 74%로 전주와 동일했으며, 민간 분석기관 브루글러(Brugler)가 집계하는 Brugler500작황 상태를 0~500점으로 환산해 보여주는 지표 지수도 385점을 유지했다.
같은 날 발표된 USDA 곡물 수출 검사 보고서에 따르면, 7월 17일 끝난 주간 옥수수 검사 물량은 983,625t으로 전년 동기 991,257t보다 소폭 감소했고, 직전 주 131만4,000t 대비로는 크게 줄었다. 다만 연누적 검사량은 5,871만8,000t(약 23억1,500만 부셸)로 전년 대비 28.9% 증가했다.
개별 만기별 종가
• 2025년 9월물: 4.03 3/4달러, ▼4.75센트
• 근월 현물(Spot): 3.90달러, ▼4.75센트
• 2025년 12월물: 4.22 1/4달러, ▼5.5센트
• 2026년 3월물: 4.39 3/4달러, ▼5센트
• 신곡 현물(New Crop Cash): 3.80 1/8달러, ▼5센트
On the date of publication, Austin Schroeder did not hold positions in the securities mentioned. All information is provided for informational purposes only.
본 기사에 인용된 의견은 저자의 개인적 견해로, 나스닥(Nasdaq, Inc.)의 공식 입장을 대변하지 않는다.
용어 해설 및 시장 함의
실킹(silking)과 도우(dough)는 옥수수 생육 단계로, 각각 수분 형성과 알갱이 비대에 결정적이다. Brugler500 지수는 500점 만점 체계로 작황을 정량화해 시장참가자들이 국가별·지역별 작황을 직관적으로 비교하도록 돕는다. 작황 점수가 385점이면 ‘평균 이상’ 수준으로, 단기 가격 하락 압력이 제한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전문가 시각
작황 등급이 견조하게 유지되고 수출 검사 물량이 전년 대비 여전히 30% 가까이 증가함에도 선물가격이 하락한 것은, 공급 우려 완화와 동시에 해외 수요 회복세가 속도를 늦추고 있다는 시장 인식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특히 9월물과 12월물이 기술적으로 4달러 초반 지지를 재확인하고 있어, 향후 기상 리스크(Weather Premium)가 부각되지 않을 경우 3.90달러 선 테스트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반대로 8월 이후 고온·건조가 심화될 경우, 74%의 ‘양호·우수’ 비중이 하락하면서 가격 반등 모멘텀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도 유의해야 한다.
현물·선물 가격 차이가 좁혀지는 콘버전스(convergence) 흐름 속에서, 국내 사료업체·에탄올 생산업체 등 실수요자들은 분할 매입 전략을 검토할 만하다. 반면 투기적 매수세는 작황 지표가 뚜렷이 악화되기 전까지 제한될 것으로 보여, 단기 박스권(3.90~4.20달러)에서의 스프레드 거래가 유효하다는 분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