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러 인덱스, 추가 하락…연내 금리 인하 기대가 배경
달러화의 전반적인 흐름을 보여 주는 달러 인덱스(DXY)가 13일(현지시간) -0.26% 추가 하락했다. 전날에도 -0.43% 내린 데 이어 이틀 연속 약세다. 미국 10년물 국채금리가 5bp(0.05%p) 떨어지며 달러 금리 매력도가 약화된 점이 주요 배경으로 지목된다.
2025년 8월 13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투자자들은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올해 안에 공격적인 금리 인하 사이클에 착수할 가능성을 높게 평가하고 있다. 이러한 기대는 달러 매도세를 부추기며 외환시장의 방향성을 결정짓고 있다.
스콧 베센트 미 재무장관은 이날 “현재의 정책금리는 ‘지나치게 제약적(too constrictive)’”이라며 “금리가 150~175bp 낮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9월에 50bp 전격 인하가 이뤄질 ‘아주 높은’ 가능성이 있다”며 “이는 연쇄적(rate-cut cycle) 금리 인하의 신호탄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현재 연준의 기준금리 목표 범위는 4.25%~4.50%이며, 실효금리는 4.33% 수준이다.
연방기금선물(FF) 시장은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최소 25bp 인하를 100% 반영하고 있으며, 50bp 인하 가능성도 7%로 소폭 상향했다. 이는 전날의 96%, 8월 1일 고용보고서 발표 전의 40%와 비교해 훨씬 더 매파적(금리 인하 기대 측면에서는 ‘도비시’) 전망이다.
견고해진 금리 인하 베팅의 배경
이번 주 초 발표된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대비 +2.7%로 시장 예상보다 소폭 낮았고, 핵심 CPI가 +3.1%로 근소하게 상회한 점이 ‘물가 정점론’을 강화했다. 여기에 5~7월 평균 비농업 신규고용이 3만5,000명에 그치며 고용시장 둔화 조짐이 겹쳤다.
시장 참가자들은 12월까지 누적 64bp 인하를, 2026년 말까지 총 134bp 인하를 가격에 반영하고 있다. 이는 연준 정책금리가 2026년 말 2.99%까지 내려갈 수 있음을 시사한다.
무역‧지정학 리스크도 달러 약세 가속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전날 중국과의 ‘관세휴전(tariff truce)’을 90일 연장했다. 그러나 지난주에는 반도체 수입 100% 관세, 인도산 제품 관세 50%로 상향 등 연쇄적 관세폭탄을 예고해 글로벌 교역 불확실성을 확대했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는 새 조치가 발효될 경우 미국의 평균 관세율이 15.2%까지 뛰어오를 것으로 추산한다.
한편 오는 15일 알래스카에서 열릴 트럼프–푸틴 정상회담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종결 가능성을 가늠할 분수령으로 주목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탐색적 회담”이라며 성과 기대를 낮췄고,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영토 양보 가능성을 일축해 조기 휴전 기대에 찬물을 끼얹었다.
주요 통화‧상품 시장 동향
EUR/USD 환율은 달러 약세에 +0.27% 상승했으나, 미국발 관세가 유럽 경제에 미칠 부정적 파장을 우려해 신중한 분위기다. 스와프 시장은 유럽중앙은행(ECB)이 9월 회의에서 25bp 인하할 확률을 8%로 낮게 본다.
USD/JPY는 -0.31% 떨어졌다. 일본 경제 역시 미 관세 정책의 역풍을 우려하며 엔화 강세 압력이 제한적이다.
귀금속 시장에서 12월물 금 선물은 $9.30(+0.27%), 9월물 은 선물은 $0.60(+1.58%) 상승했다. 달러 약세, 국채금리 하락, 미 연말까지의 금리 인하 담론이 안전자산 수요를 자극했다. 금 ETF 보유 잔고는 월요일 기준 2년 만의 최고치, 은 ETF는 지난주 금요일 3년 만의 최고치로 늘어난 상태다.
전문가 설명: 달러 인덱스(DXY)란?
DXY는 미국 달러를 6개 주요 통화(유로, 엔, 파운드, 캐나다 달러, 스웨덴 크로나, 스위스 프랑) 대비 가중 평균한 지수다. 지수가 하락하면 달러 가치가 전반적으로 약세임을 의미하며, 수입 물가 상승·원자재 가격 변동 등 경제 전반에 파급효과를 준다.
시장 전망과 시사점
“9월 50bp 전격 인하 가능성은 아직 소수 의견이지만, 달러 약세와 국채금리 하락이 지속된다면 파급효과는 거시경제 전반에 빠르게 확산될 수 있다.”
연내 예상 금리 인하 폭이 64bp까지 확대된 가운데, 관세 정책과 지정학 리스크가 맞물려 안전자산·수출주·수입물가 등 다각적 변수를 자극할 것으로 보인다. 투자자들은 통화정책뿐 아니라 관세정책‧지정학 변수를 종합 고려해 자산 배분 전략을 재점검할 필요가 있다.
※ 기사에 언급된 모든 수치·발언은 2025년 8월 13일 기준이며, 정보 제공 목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