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증시가 금리 인하 기대감에 힘입어 또다시 역사적인 고지에 올랐다. 12일(현지시간) 정오 기준, S&P500 지수(+0.09%)와 나스닥100 지수(+0.37%)는 사상 최고가를 새로 썼고,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0.31%로 소폭 밀렸다. 9월물 E-미니 S&P 선물과 E-미니 나스닥 선물 역시 각각 +0.06%, +0.36% 상승 중이다.
2025년 9월 12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이번 주 들어 미 노동시장 지표 약화와 기대 이하의 물가 지표가 연이어 발표되면서, 연방준비제도(Fed)의 기준금리 25bp 인하 가능성이 ‘확정적’(시장 반영 확률 100%)이라는 시그널을 줬다. 투자자들은 연말까지 총 75bp의 추가 인하를 가격에 반영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주요 지수는 연일 고점을 경신하고 있다.
그러나 채권금리 상승이 주가 상단을 제약하고 있다. 10년물 미 국채 수익률은 6bp 오른 4.06%를 기록했다. 이는 WTI 유가가 미 정부의 ‘러시아산 원유에 대한 G7 100% 관세 부과’ 제안 보도에 1% 급등, 장기 인플레이션 기대를 자극했기 때문이다.
“미시간대 9월 소비자심리지수는 55.4로, 전월 대비 2.8p 하락해 4개월 만의 최저치”
라는 수치도 나왔다. 한편 1년 기대 인플레이션(4.8%)은 변동이 없었지만, 5~10년 기대 인플레이션은 3.9%로 예상(3.4%)을 웃돌았다.
시장 참여자들이 주목하는 FOMC 일정
다음 주 9월 16~17일 FOMC 회의에서 25bp 인하가 확정되고, 10월 28~29일 회의에서 추가 25bp가 단행될 가능성은 95%로 반영되고 있다. 연말 기준 연방기금금리 전망치는 3.62%(현행 4.33%)로, 전체 71bp 인하가 가격에 내재됐다.
해외 증시 동향
유럽 Stoxx50은 +0.15% 상승, 일본 니케이225는 +0.89%로 사상 최고치를 새로 썼다. 반면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0.12% 하락 마감했다. 국채시장에선 독일 10년물 금리가 2.706%(+5bp), 영국 길트 10년물은 4.658%(+5.2bp)로 동반 상승했다.
개별 종목 동향
- 워너브러더스 디스커버리(+11%)—파라마운트·스카이댄스 인수 추진설
- 테슬라(+5%)—네바다주 자율주행차 테스트 허가
- 마이크론(+3%)—AI용 메모리 수요 기대감
- 슈퍼마이크로컴퓨터(+2%)—엔비디아 HGX B300 시스템 대량 공급 발표
- 마이크로소프트(+1%)—OpenAI와 파트너십 구조 예비 합의
반면 룰루레몬(–3%)은 BOA 목표주가 하향, 오라클(–3%)은 래리 엘리슨 일가가 워너 인수 지지 소식으로 하락했다.
전문가 해설: ‘E-미니 선물’이란?
E-미니는 시카고상품거래소(CME)에 상장된 지수선물의 소형 계약으로, 개인투자자도 비교적 적은 증거금으로 대형 지수를 거래할 수 있도록 설계된 파생상품이다. 본문에 언급된 S&P와 나스닥 E-미니는 뉴욕장 개장 전 투자심리를 가늠하는 대표 지표로 활용된다.
채권시장 관전 포인트
이번 주 채권값이 5개월 만의 고점까지 오른 후 차익 실현이 나오고 있다. 여기에 ‘Fed 독립성 훼손’ 논란—트럼프 전 대통령의 쿠크 이사 해임 시도, 백악관 경제자문위원 스티븐 미런의 이사직 겸직 의사—도 금리 상승 요인으로 꼽힌다.
유럽 통화정책 발언
나겔 독일 연준 총재는 “물가가 예상대로라면 현재 금리가 적절하다”며 동결 시사, 반면 빌루아 드 갈로 프랑스 총재는 “추가 완화 가능성”을 열어 놨다. ECB 금리선물은 10월 30일 회의에서 25bp 인하 확률을 4%로 반영 중이다.
향후 일정과 실적 발표
다음 주에는 컴패스 다이버시파이드, EVI 인더스트리, 트릴러 그룹 등 7개사가 실적을 내놓는다. 투자자들은 금리 인하 기대와 기업 실적 모멘텀 사이에서 변동성 확대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
결론적으로, 단기적으로는 금리 인하 베팅이 지수를 떠받치는 구조이나, 장기 인플레이션 기대와 채권금리 상승이 상쇄 변수가 되고 있다. 실적 시즌이 본격화되는 10월 이후, 금리 트렌드와 기업 펀더멘털 간 힘겨루기가 시장 방향성을 결정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