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연준 금리 인하 기대에 뉴욕증시 급반등

【뉴욕증권거래소 마감 동향】 5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S&P500 지수(+1.47%),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1.34%), 나스닥100 지수(+1.87%)가 일제히 급등하며 지난주 후반의 낙폭을 대부분 회복했다. 9월물 E-미니 S&P500 선물은 +1.58%, 9월물 E-미니 나스닥 선물은 +1.96% 상승했다.

2025년 8월 5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투자자들은 미국 고용·제조업 지표 부진이 연방준비제도(Fed)의 9월 기준금리 인하를 앞당길 것이라는 기대를 강하게 반영했다. 연방기금선물 시장은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25bp 인하 가능성을 40% → 90%로 급격히 높게 가격에 반영하고 있으며, 10월 회의에서도 70%의 확률을 반영 중이다.

같은 날 발표된 6월 미국 공장주문은 전월 대비 -4.8%로 5년여 만의 최대 낙폭을 기록했으나, 수송장비 제외 주문은 +0.4%로 시장 예상치(+0.3%)를 상회하며 7개월 만의 최대 증가세를 보였다. 호재·악재가 혼재됐으나, 투자심리는 ‘연준 완화 모드’ 전망으로 기울었다.


1. 글로벌 매크로 & 금리 동향

10년물 T-노트 차트

9월물 10년 만기 미 국채(티노트)는 +5.5틱 상승, 수익률은 전일 대비 -2.4bp 하락한 4.192%를 기록하며 1개월래 최저 수준으로 밀렸다. 전날 WTI 유가 -1% 하락으로 인플레이션 기대가 완화된 점, 유럽 국채 강세 등이 미 국채를 지지했다. 독일 10년물 분트 수익률은 -5.4bp(2.624%), 영국 10년물 길트 수익률은 -1.9bp(4.509%)로 동반 하락했다.

Bloomberg Economics는 “예고된 대로 관세가 시행될 경우 미국의 평균 관세율이 2024년의 2.3%에서 15.2%로 급격히 상승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2. 무역·관세 이슈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인도가 러시아산 원유를 대량 구매한 데 대한 보복으로 인도산 수입품 관세를 25%→35% 이상으로 “대폭 인상”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7월 말에는 캐나다 일부 품목 관세를 25%→35%로 인상하고, 무역흑자국 제품에는 최소 15% 관세를 예고했다. 해당 조치는 8월 7일 0시 이후 발효될 예정이다.


3. 기업 실적·종목별 움직임

엔비디아 차트

‘매그니피센트 세븐’으로 불리는 빅테크 주가가 실적 호조에 힘입어 지수 상승을 견인했다. Nvidia·Alphabet·Meta는 +3% 이상, Microsoft·Tesla는 +2% 이상, Apple은 +0.48% 상승 마감했다.

반도체주 강세도 두드러졌다. Broadcom, KLA는 +3% 이상, AMD·Micron·Marvell·Lam Research는 +2% 이상 올랐다. ARM, Applied Materials, ASML 역시 +1%대를 기록했다.

개별 종목 중 Steelcase는 HNI가 22억 달러(주당 약 18.30달러)에 인수하면서 +60% 폭등했다. Idexx Labs는 2분기 매출 111억 달러, 주당순이익(EPS) 가이던스를 12.40~12.76달러로 상향하면서 +27% 급등, S&P500·나스닥100 상승률 1위를 차지했다.

Wayfair는 2분기 조정 EPS가 0.87달러(컨센서스 0.33달러)를 대폭 상회해 +11% 상승했다. Spotify는 남아시아·중동·아프리카·유럽·라틴아메리카에서 프리미엄 요금을 인상한다고 밝히며 +5% 올랐다.

반면 ON Semiconductor는 3분기 조정 총마진 가이던스(36.5~38.5%)가 예상 중간값(37.7%)에 미치지 못해 -16% 급락, S&P500·나스닥100 하락률 1위를 기록했다. Bruker(-8%), LyondellBasell(-4%), Berkshire Hathaway(-3%) 등도 실적 실망감으로 약세를 보였다.


4. 이번 주 주요 이벤트

▶ 6일(화) 6월 무역수지: -611억 달러(전월 -715억 달러)
▶ 6일(화) 7월 ISM 서비스업 PMI: 51.5(전월 50.8) 전망
▶ 8일(목) 주간 신규 실업수당청구: 22만1천 건(+3천 건) 예상
▶ 8일(목) 2분기 비농업 생산성: +2.0%, 단위노동비용 +1.5% 전망

한편 Bloomberg Intelligence에 따르면, 현재까지 S&P500 기업의 66%가 2분기 실적을 발표했으며, 이 중 82%가 시장 예상치를 상회했다. 전체 2분기 EPS 성장률은 전년 동기 대비 +9.1%로 시즌 전 예상치(+2.8%)를 크게 웃돌아 4년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추산된다.


5. 용어·개념 설명

① FOMC: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연 8회 열어 통화정책을 결정하는 회의다. -25bp는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한다는 뜻이다.
② 마진(총이익률, Gross Margin): 매출액에서 매출원가를 제외한 비율로, 기업의 수익성을 보여준다.
③ E-미니 선물: S&P500·나스닥 등 주요 지수를 소액으로 거래할 수 있는 CME 소형선물이다.
④ 매그니피센트 세븐: 시가총액 상위 빅테크 7개 종목(NVDA, AAPL, MSFT, AMZN, META, GOOGL, TSLA)을 일컫는 용어다.


6. 기자의 시각·전망

연준이 9월 혹은 10월에 금리를 인하한다면, 명목금리보다 실질금리 하락 속도가 빨라져 리스크자산 선호 현상이 당분간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다만 관세 전면 확대가 현실화될 경우, 물가 재상승과 글로벌 무역갈등 심화라는 이중 리스크가 부각될 수 있다. 투자자들은 금리 인하 랠리와 관세발 인플레이션 리스크를 동시에 고려해 포트폴리오를 재점검할 필요가 있다.

※ 본 기사는 원문 정보를 바탕으로 객관적 사실을 전달하며, 투자 판단의 책임은 독자 본인에게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