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연준 금리 인하 가능성 부각되자 뉴욕 증시 강세 마감

S&P 500,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 나스닥 100이 4일(현지시간) 일제히 급등하며 전 거래일의 급락분을 상당 부분 만회했다. S&P 500 지수는 전장 대비 +1.47% 오른 5,613.21, 다우지수는 +1.34% 오른 40,398.24, 나스닥 100 지수는 +1.87% 상승한 18,999.35에 장을 마쳤다. 같은 시각 9월물 E-미니 S&P 선물은 +1.58%, 9월물 E-미니 나스닥 선물은 +1.96% 올랐다.

2025년 8월 5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투자자들은 지난주 부진했던 비농업 고용ISM 제조업 지수 결과가 연방준비제도(Fed)의 조기 금리 인하를 자극할 수 있다는 기대감에 베팅했다. 실제로 연방기금(FF) 선물 시장은 9월 FOMC에서 -25bp 인하 가능성을 90%로 반영하고 있으며, 이는 지표 발표 전 40%에서 대폭 상향된 수치다.

미국 6월 공장재 주문은 전월 대비 -4.8% 감소해 5년 만의 최대 낙폭을 기록했다. 다만 운송장비를 제외한 주문은 +0.4% 증가해 7개월 만의 최고치를 보였다. 시장 예상치(+0.3%)를 상회한 점은 제조업 경기 저점 통과 가능성을 시사한다.

무역·관세 변수

도 증시에 변동성을 더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인도의 러시아산 원유 수입을 이유로 인도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현행 25%에서 ‘대폭’ 인상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8월 1일에는 캐나다 일부 제품에 부과하는 관세를 25%에서 35%로 높였고, 8월 7일 0시 이후 대미 흑자국에 대해 최소 15% 관세를 적용하는 ‘글로벌 최저 관세율 10%’도 발표했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는 새로운 조치가 모두 시행될 경우 미국 평균 관세율이 13.3%에서 15.2%로 올라 2024년 2.3% 대비 6배 이상 뛴다고 분석했다.

이번 주 주요 일정

으로는 6일 발표 예정인 6월 무역수지(예상 –611억 달러), 7월 ISM 서비스업 지수(예상 51.5), 7일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예상 22만1000건), 8일 공개되는 2분기 비농업 생산성(+2.0%) 및 단위노동비용(+1.5%) 등이 있다.

2분기 실적은 호조세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 자료에 따르면 S&P 500 기업의 66%가 실적을 발표한 가운데, 82%가 예상치를 상회했다. 이에 따라 2분기 순이익 증가율 추정치는 +9.1%로, 어닝 시즌 전 예상(+2.8%)을 크게 웃돌며 4년 만의 최고 성장률을 가리킨다.

해외 증시

도 혼조세를 보였다. 유로 스톡스 50 지수는 +1.49% 급등했고,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0.66% 반등했다. 반면 일본 닛케이225는 –1.25% 하락하며 1주일 반 만의 저점을 기록했다.

채권 시장 동향

을 살펴보면 9월물 미 10년물 국채선물은 +5.5틱 상승해 3개월래 최고가를 기록했고, 현물 10년물 금리는 4.192%로 1개월 저점으로 떨어졌다. 지난주 발표된 약세 지표와 WTI 유가 1% 하락이 인플레이션 기대를 낮추며 채권 강세를 견인했다. 다만 주가 급반등이 안전자산 수요를 제한했고, 이번 주 1,250억 달러 규모의 분기 재정조달(3·10·30년물 입찰)이 공급 부담으로 작용했다.

같은 날 독일 10년물 금리는 2.624%로 –5.4bp, 영국 10년물 금리는 4.509%로 –1.9bp 하락했다. 유로존 8월 센틱스 투자자 신뢰지수가 –3.7로 예상치(+6.9) 대비 부진하며 국채 매수세를 자극했다.

주요 종목별 동향

미국 시장에서는 ‘매그니피센트 세븐’으로 불리는 대형 기술주가 지수 상승을 주도했다. 엔비디아(▲3% 이상), 알파벳·메타(▲3% 이상), 마이크로소프트·테슬라(▲2% 이상), 애플(▲0.48%)이 나란히 올랐다.

반도체 섹터도 강세였다. 브로드컴·KLA가 3% 넘게 뛰고, AMD·마이크론·마벨·램리서치가 2% 이상 상승했다. 이에 더해 ARM,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 ASML도 1% 이상 올랐다.

Steelcase는 HNI가 주당 18.30달러, 총 22억 달러에 인수하기로 하면서 60% 급등했다. Idexx Labs는 2분기 매출 11억1000만 달러(예상 10억7000만 달러)와 연간 EPS 가이던스 상향(12.40~12.76달러)으로 27% 뛰어 S&P 500·나스닥100 상승률 1위에 올랐다. Wayfair 또한 조정 EPS 0.87달러(컨센서스 0.33달러)로 11% 상승했다.

반면 ON세미컨덕터는 3분기 조정 총마진 가이던스(36.5~38.5%)가 예상치(37.7% 중간값)와 비슷하거나 낮아 16% 급락했다. 브루커(–8%), 라이온델바젤(–4%), 버크셔 해서웨이(–3.8%), 워터스(–1%) 등도 실적 실망감에 하락했다.

다음 발표 예정 실적

5일(미국 동부 기준)에는 AMD, 에이플락, 암젠, 아폴로 글로벌 매니지먼트, ADM, 아리스타 네트웍스, 캐터필러, 듀폰, 슈퍼마이크로컴퓨터 등 40여 개 기업이 2분기 성적표를 공개한다.

전문가 해설

현재 연준은 인플레이션 둔화경기냉각 신호를 동시에 확인하고 있다. 만약 8월 고용보고서와 7월 CPI가 추가적으로 약세를 보인다면, 9월 인하는 기정사실화될 가능성이 크다. 다만 관세 인상에 따른 ‘수입 물가 재상승’ 위험이 있어, 연준이 인하 속도를 늦출 수도 있다는 견해도 존재한다. 또, 대선 변수가 결합되면 정책 불확실성은 더 커질 여지가 있다.

용어 설명

ISM 제조업·서비스업 지수: 미국 공급관리협회(Institute for Supply Management)가 매월 발표하는 경기 선행 지표로, 50을 기준으로 확장·수축을 판단한다.
매그니피센트 세븐: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알파벳, 아마존, 엔비디아, 메타, 테슬라 등 시가총액 1조 달러 규모를 중심으로 시장을 주도하는 7개 기술주를 일컫는다.
연방기금(FF) 금리: 미국 은행 간 초단기 자금 거래 금리로, 연준이 통화정책 목표금리로 삼는다.


ⓒ 2025 Barchart.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