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증시가 15일(현지시간) 소비자 심리 둔화와 금리 불확실성에 대한 경계심 속에 혼조세로 마감했다. S&P 500 지수($SPX)는 -0.20% 하락했고, 나스닥 100 지수($IUXX)는 -0.43% 밀렸다. 반면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DOWI)는 방어주 강세에 힘입어 +0.17% 상승했다.
2025년 8월 16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같은 날 9월물 E-미니 S&P 500 선물은 -0.22%, 9월물 E-미니 나스닥 선물은 -0.44% 각각 하락했다. 시장은 미시간대학교 소비자심리지수 부진과 10년물 국채금리 3bp 상승, 그리고 연방준비제도(Fed)의 추가 기준금리 인하 기대 약화에 동요했다.
특히 미시간대 8월 잠정 소비자심리지수는 전월 대비 3.1포인트 떨어진 58.6을 기록해 예상치(62.0)를 크게 밑돌았다. 설문에 따르면 미 소비자들은 향후 1년 기대 인플레이션을 4.9%, 5~10년 장기 기대치를 3.9%로 제시했으며, 58%가 “물가 압력 탓에 지출을 줄이겠다”고 답했다.
같은 날 발표된 7월 소매판매는 전월 대비 +0.5%로 예상치(+0.6%)를 소폭 밑돌았으나, 6월 수치가 +0.6%에서 +0.9%로 대폭 상향 조정되면서 전반적인 충격은 제한적이었다. 자동차를 제외한 소매판매는 +0.3%로 시장 예상과 일치했다.
“노동시장 둔화 우려 속에도 소매판매가 완만하게나마 증가세를 이어간 점은 미 경기 모멘텀에 안도감을 준다.”
7월 수입물가지수는 전월 대비 +0.4%를 기록해 예상치(+0.1%)를 상회했으며, 석유 제외 물가는 +0.3% 상승했다. 같은 달 산업생산은 -0.1%로 예상치(0%)를 밑돌았으나 6월이 +0.4%로 수정돼 일부 상쇄됐다. 뉴욕주 제조업 경기를 가늠하는 8월 엠파이어 스테이트(Empire) 지수는 11.9로 전월(5.5) 대비 급등, 시장 전망(0)을 크게 웃돌았다.
시카고 연방준비은행 오스턴 굴스비 총재는 “향후 한두 개 월간 인플레이션 지표를 더 확인한 뒤 정책 결정을 내리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그는 7월 CPI에서 서비스 물가상승률이 높았다는 점을 우려했으나, 단일 지표에 과도한 해석을 경계했다.
전일 발표된 7월 PPI(생산자물가지수)가 전년 대비 +3.3%(헤드라인), +3.7%(근원)로 시장 예상을 웃돌자 연내 연준의 대폭 인하 기대가 후퇴한 것도 투자심리를 짓눌렀다. 연방기금선물은 9월 FOMC에서 -50bp 인하 가능성을 전면 배제하고 -25bp 인하 확률을 93%에서 85%로 낮췄다.
금리 측면에서는 10년 만기 미 국채수익률이 4.318%로 3bp 상승했다. 물가연동채 기대인플레이션(BEI)은 2.385%로 1.1bp 하락해 실질금리 하락 폭을 일부 상쇄했다. 유럽 국채도 매도 압력이 이어지며 독일 10년물 수익률은 2.788%(+7.6bp), 영국 길트는 4.696%(+5.6bp)를 기록했다.
글로벌 변수: 중국 지표 부진·트럼프 관세 발언
같은 날 새벽 공개된 중국 7월 소매판매(+3.7% YoY)와 산업생산(+5.7% YoY)은 모두 예상치를 밑돌았다. 실업률은 5.2%로 전월 5.0%에서 상승했으며, 부동산 투자는 -12.0%(연초 대비)로 낙폭을 키웠다. 이는 글로벌 수요 둔화 및 중국 정부의 경쟁 규제 영향으로 해석된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이날 “다음 주 또는 그다음 주에 철강·반도체 관세를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반도체에 대해 100~300%에 달하는 고율 관세를 예고했으며, 미국 내 생산 이전 기업은 예외로 두겠다고 말했다. 앞서 트럼프는 중국과의 90일 추가 관세 휴전을 선언했으나, 인도·제약 부문에 대해선 관세를 확대하겠다고 시사한 바 있다.
주요 종목 움직임
‘매그니피센트 7(Magnificent Seven)’ 종목 중 테슬라(TSLA)가 -1.49%로 가장 약세를 보였으며, 알파벳(GOOG)·메타(META)는 소폭 상승했다. 반면 다우존스 지수는 UnitedHealth Group(UNH, +12%)·Salesforce(CRM, +3.9%) 급등에 힘입어 상대적 강세를 기록했다.
반도체주는 Applied Materials(AMAT, -14%)의 실적 가이던스 실망으로 일제히 하락했다. KLA(-8.4%), Lam Research(-7.3%)가 뒤를 이었으나, 미 정부의 CHIPS법 자금 지원·정부지분 검토 소식에 인텔(INTC)은 +2.7% 상승 마감했다.
암호화폐 시장에서도 비트코인 가격이 -0.7% 밀리며 Riot Platforms(-7.5%), Coinbase(-2.2%) 등 관련주가 동반 약세를 나타냈다.
워런 버핏의 Berkshire Hathaway가 2분기 13F 보고서에서 UnitedHealth Group·Lennar·DR Horton 지분을 매입한 사실이 확인되면서 해당 종목들은 추가 상승했다. 반면 Target(TGT)은 뱅크오브아메리카가 ‘중립’에서 ‘언더퍼폼’으로 강등하며 -1.2% 하락했다.
용어 풀이 & 투자 참고사항
PPI는 생산 단계에서의 물가 변동을 나타내며, 기업이 부담하는 비용 상승이 소비자물가(CPI)로 전가될 가능성을 가늠하는 선행지표다. 또한 연방기금선물(Fed Fund Futures)은 시장이 예상하는 향후 기준금리를 실시간으로 반영하며, 트레이더들은 이를 통해 FOMC 결과를 판가름한다.
아울러 CHIPS법(Chips and Science Act)은 미국 반도체 산업 육성을 위해 2,800억 달러 규모 보조금·세제 혜택을 제공하는 법안으로, 이번 인텔 정부지분 검토는 국가안보와 공급망 안정성 차원에서 나온 추가 조치로 해석된다.
투자자들은 소비자심리 둔화와 금리 방향성, 그리고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주식·채권·원자재 전반에 미칠 파급 효과를 면밀히 주시할 필요가 있다.
※본 기사에서 언급된 개별 종목 및 자산에 대해, 작성자 Rich Asplund는 보유 지분이 없다고 밝혔다. 모든 정보는 투자 자문 목적이 아닌 일반 정보 제공에 한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