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3대 지수가 16일(현지시간) 한 주를 마감하며 혼조세를 보였다. S&P500 지수는 전장 대비 –0.20% 하락했고,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0.17% 상승했으며, 나스닥100 지수는 –0.43% 떨어졌다. 선물 시장에서도 9월물 E-미니 S&P500은 –0.22%, 9월물 E-미니 나스닥은 –0.44%로 동반 약세를 나타냈다.
ⓒBarchart
2025년 8월 17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이날 주식시장의 하락 압력은 미시간대학교 소비자심리지수가 예상치를 밑돌며 악화된 데서 비롯됐다. 동시에 10년 만기 미 국채금리가 3bp(0.03%p) 상승하며 4.318%를 기록해 금리 부담이 커졌고, 차기 두 차례 FOMC 회의에서 연준이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도 축소됐다.
시장 안팎의 관심은 이날 막을 내린 알래스카 트럼프–푸틴 정상회담 결과로도 이어졌다. 회담 결과는 관세 정책·유가·유럽 안보에 광범위한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투자자들은 신중한 자세를 유지했다.
소매판매·산업생산 지표는 대체로 예상치 부합 혹은 상향 수정되며 미 경제의 완만한 회복세를 뒷받침했다. 7월 소매판매는 전월 대비 +0.5%로 컨센서스(+0.6%)를 소폭 밑돌았으나, 6월 수치가 +0.6%에서 +0.9%로 상향 조정되면서 전체적으로 ‘중립’적 평가를 받았다. 자동차를 제외한 소매판매는 +0.3%로 예상과 일치했다.
반면 미시간대학교 8월 예비 소비자심리지수는 58.6으로 전월 대비 –3.1p 하락, 시장 전망치(62.0)를 크게 밑돌았다. 조사에 따르면 미국 소비자들의 1년 기대 인플레이션은 4.9%, 5~10년 기대 인플레이션은 3.9%로 상승했다. 응답자의 58%는 ‘높은 물가로 지출을 줄이겠다’고 답해 소비 위축 우려가 부각됐다.
수입물가는 7월 한 달간 +0.4% 올라 예상치(+0.1%)를 웃돌았고, 석유를 제외한 수입물가도 +0.3%로 전월 –0.2%에서 반등했다. 같은 달 산업생산은 –0.1%로 소폭 부진했지만, 6월치는 +0.4%(종전 +0.3%)로 수정돼 제조업 회복 흐름을 다소 상쇄했다. 뉴욕 연은의 8월 엠파이어 제조업지수는 11.9로 시장 예상치(0)를 크게 넘어섰다.
“적어도 한 차례 더 인플레이션 지표를 확인한 뒤 움직이고 싶다.” – 오스탄 굴스비 시카고 연방준비은행 총재
굴스비 총재는 서비스 물가의 지속적 상승 가능성을 우려하며 다소 매파적 발언을 내놨다. 전날 발표된 생산자물가지수(PPI)가 전년 대비 3.3%(헤드라인)·3.7%(근원)으로 급등한 점도 통화정책 완화 기대를 빠르게 후퇴시켰다.
중국 경기 둔화도 위험자산 심리에 부정적이었다. 7월 중국 소매판매는 +3.7%(전년 대비)로 예상치(+4.6%)를 밑돌고, 산업생산도 +5.7%로 예상치(+6.0%)에 미달했다. 실업률은 5.2%로 전월(5.0%) 대비 상승했다. 중국 정부의 경쟁 과열 억제 및 미·중 관세 전쟁 여파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풀이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철강·반도체에 대해 다음 주, 혹은 그다음 주에 100%~300%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중국과의 90일 관세 휴전을 11월까지 연장했지만, 인도산 수입품에는 관세율을 기존 25%에서 50%로 두 배 인상한다고 발표했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는 이 조치들이 시행될 경우 미국 평균 관세율이 15.2%로 높아질 것으로 추산했다1.
연방기금선물(Fed Funds Futures)은 9월 16~17일 FOMC에서 –25bp(0.25%p) 금리 인하 가능성을 85%로 반영했으며, 10월 28~29일 회의에서 추가 인하 가능성은 40%로 내려앉았다.
2분기 실적 시즌이 막바지에 접어들면서 S&P500 기업의 이익은 전년 대비 +9.1%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는 시즌 시작 전 예상치(+2.8%)를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이미 82%의 기업이 실적을 발표했으며, 그중 82%가 시장 예상치를 상회했다.
해외 주식시장도 대체로 강세였다. 유로 Stoxx 50은 +0.26%,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0.83%, 일본 닛케이225는 +1.71% 올랐다. 다만 두 아시아 지수 모두 연중 고점에는 미치지 못했다.
금리 동향을 보면, 9월물 10년 만기 미 국채선물은 –5.5틱 하락했고 10년물 금리는 4.318%로 +3.3bp 상승했다. 반면 기대 인플레이션(10년 손익분기 인플레이션율)은 –1.1bp 하락해 2.385%를 기록했다. 독일 10년물 분트 금리는 +7.6bp(2.788%), 영국 10년물 길트 금리는 +5.6bp(4.696%)로 뛰었다.
종목별 등락
대형 기술주 ‘매그니피센트 세븐’이 엇갈렸다. 테슬라 –1.49%가 낙폭을 키웠지만, 알파벳·메타는 소폭 상승했고 아마존은 보합권에 머물렀다. 다우지수는 유나이티드헬스(+12%)·세일즈포스(+3.9%)가 지수 방어를 주도하며 상대적 강세를 보였다.
ⓒBarchart
반도체주는 관세 우려에 일제히 매도세가 쏟아졌다. 어플라이드 머티리얼즈 –14%, KLA –8.4%, 램리서치 –7.3% 순으로 하락폭이 컸다. 반면 인텔은 +2.7% 상승했는데, CHIPS법(반도체 지원법) 자금을 활용해 미 정부가 인텔 지분을 취득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는 블룸버그 보도가 영향을 미쳤다.
비트코인 가격은 –0.7% 밀리며 암호화폐 관련주도 약세였다. 라이엇 플랫폼스 –7.5%, 코인베이스 –2.2%가 동반 하락했다.
버크셔 해서웨이가 13F 보고서에서 유나이티드헬스·레나·DR호튼 지분을 매입한 사실이 알려지며 해당 종목들이 강세를 보였다. 특히 유나이티드헬스는 데이비드 테퍼의 아팔루사 매니지먼트가 지분을 늘린 사실까지 겹치면서 14% 가까이 상승했다.
반면 샌디스크는 실적 가이던스 부진으로 –4.6%, 뱅크오브아메리카가 ‘언더퍼폼’으로 하향 조정한 타깃은 –1.2% 하락했다.
한편 18일(현지시간) 발표 예정인 8월 18일 실적에는 팔로알토 네트웍스·XP Inc.가 포함돼 있다.
용어 설명2
FOMC(Federal Open Market Committee)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통화정책 결정 기구다. PPI(Producer Price Index)는 생산자가 받는 상품·서비스 가격을 측정해 향후 소비자물가(CPI)의 선행 지표로 활용된다. T-노트는 만기 2~10년 사이의 미 국채를 통칭하며, 10bp(basis point)는 0.1%p를 의미한다. 13F 보고서는 운용자산 1억 달러 이상 기관투자자가 분기마다 미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하는 보유종목 보고서다.
또한 ‘CHIPS법’은 미국 내 반도체 제조·연구 투자를 촉진하기 위한 2022년 제정법으로, 세액공제·보조금 등 인센티브를 제공하며 동맹국과의 공급망 재편을 목표로 한다.